• Title/Summary/Keyword: 지각된 즐거움

Search Result 64,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Moderating Effects of Personal Innovativeness in Mobile Banking Service (모바일뱅킹에서 개인혁신성의 조절효과)

  • Kwon, Soon-Jae
    • The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v.22 no.1
    • /
    • pp.201-223
    • /
    • 2013
  • 모바일뱅킹은 빠르게 성장하고있으며 은행서비스의 많은 부분이 모바일뱅킹에서 제공되고 있다. 하지만, 모바일뱅킹을 사용자들이 수용하는데 개인의 혁신성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불행히도 모바일뱅킹은 그 특성상 제한된 화면을 사용자들이 사용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본 연구는 개인혁신성(PI)의 관점에서 모바일뱅킹을 수용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히고 자하였다. 특히 다른 정보시스템에서 많이 사용된 지각된 유용성(USF) 및 사용의 용이성(EOU) 변수뿐만 아니라 지각된 즐거움(ENJ)의 요인을 추가하여 모바일뱅킹 수용에서 영향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336명의 모바일뱅킹의 사용자들에게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응답자들을 두 그룹(개인 혁신성이 높은 그룹과 낮은 그룹)으로 분류하여 구조방정식모형에서 집단간차이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개인 혁신성(PI) 모바일뱅킹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세부적으로 분석해 보면 개인혁신성이 높은 그룹이 낮은 그룹 보다 더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사용의도와 사용의 유용성 그리고 지각된 즐거움 사이의 경로계수 값의 크기가 개인혁신성이 높은 그룹이 낮은 그룹보다 높았다. 여기서 지각된 즐거움의 경우 개인 혁신성이 높은 그룹이 낮은 그룹 보다 더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모바일뱅킹 서비스의 성장과 확대에 실무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된다.

TAM과 유비쿼터스홈서비스 수용 영향요인

  • O, Jae-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11a
    • /
    • pp.112-119
    • /
    • 2006
  • 본 논문은 디지털홈서비스의 실제 이용자들에 대한 실증분석을 통해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밝히기 위한 연구이다. 디지털홈서비스의 특성에 맞게 기술수용모형 (TAM) 을 확장. 수정된 연구모형을 개발, 가설을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외부변수로 이용자의 특성을 채택하였으며, 디지털홈서비스가 가정 내 기술임을 고려하여 신념변수로 ‘지각된 이용용이성’과 ‘지각된 즐거움’ 외에 ‘지각된 편의성’, ‘지각된 안전성’, ‘지각된 삶의 질 향상’이라는 변수를 추가하였고 종속변수로는 ‘이용행동’을 설정하였다. 205명의 실제 이용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중 201개의 유효표본을 분석하였고, 신뢰성과 타당성 모두 통계적으로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AMOS 4를 이용한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통해 24개의 가설검증 결과, 13개의 가설이 채택되었다. 이용자 개인의 특성 중 경험과 교육훈련은 지각된 이용용이성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혁신성은 지각된 즐거움, 지각된 편의성, 지각된 안전성, 지각된 삶의 질 향상에 대하여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또한 지각된 이용용이성이 다른 신념변수인 지각된 즐거움, 지각된 편의성, 지각된 안정성, 지각된 삶의 질 향상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종속변수인 이용행동에는 지각된 즐거움과 지각된 편의성, 지각된 삶의 질 향상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나, 지각된 이용용이성과 지각된 안전성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가정에서 쉽게 이용할 수 있다는 것만으로는 적극적인 이용 행동을 기대할 수 없으며, 즐거움 및 실용적인 효익들의 제공 및 이를 위한 다양한 컨텐츠와 프로그램 개발 등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수십억원의 추가적인 이익을 실현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알고리즘을 확장 적용할 경우 PBUC 문제 해결을 위한 새로운 해법으로도 그 효용성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자료이기 때문에 통계적 활용의 범위가 방대하다. 특히 개인, 가구, 사업체 등 사회 활동의 주체들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추적할 수 있는 자료를 생산함으로써 다양한 인과적 통계분석을 할 수 있다. 행정자료를 활용한 인구센서스의 이러한 특징은 국가의 교육정책, 노동정책, 복지정책 등 다양한 정책을 정확한 자료를 근거로 수립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한다(Gaasemyr, 1999). 이와 더불어 행정자료 기반의 인구센서스는 비용이 적게 드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덴마크나 핀란드에서는 조사로 자료를 생산하던 때의 1/20 정도 비용으로 행정자료로 인구센서스의 모든 자료를 생산하고 있다. 특히, 최근 모든 행정자료들이 정보통신기술에 의해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바뀌고, 인터넷을 근간으로 한 컴퓨터네트워크가 발달함에 따라 각 부처별로 행정을 위해 축적한 자료를 정보통신기술로 연계${cdot}$통합하면 막대한 조사비용을 들이지 않더라도 인구센서스자료를 적은 비용으로 생산할 수 있는 근간이 마련되었다. 이렇듯 행정자료 기반의 인구센서스가 많은 장점을 가졌지만, 그렇다고 모든 국가가 당장 행정자료로 인구센서스를 대체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행정자료로 인구센서스통계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각 행정부서별로 사용하는 행정자료들을 연계${cdot}$통합할 수 있도록 국가사회전반에 걸쳐 행정 체제가 갖추어져야 하기 때문이다. 특히 모든 국민 개개인에 관한 기본정보, 개인들이 거주하며

  • PDF

디지털홈서비스의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실증연구

  • Mun, Hyo-Gon;O, Jae-In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Conference
    • /
    • 2006.06a
    • /
    • pp.130-137
    • /
    • 2006
  • 본 논문은 디지털홈서비스의 실제 이용자들에 대한 실증분석을 통해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밝히기 위한 연구이다. 디지털홈서비스의 특성에 맞게 기술수용모형(TAM)을 확장, 수정된 연구모형을 개발, 가설을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외부변수로 이용자의 특성을 채택하였으며, 디지털홈서비스가 가정 내 기술임을 고려하여 신념변수로 '지각된 이용용이성'과 '시각된 즐거움'외에 '지각된 편의성', '지각된 안전성', '지각된 삶의 질 향상'이라는 변수를 추가하였고 종속변수로는 '이용행동'을 설정하였다. 205명의 실제 이용자를 대상으로 한 설물조사 중 201개의 유효표본을 분석하였고, 신뢰성과 타당성 모두 통계적으로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AMOS 4를 이용한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통해 24개의 가설검증 결과, 13개의 가설이 채택되었다. 이용자 개인의 특성 중 경험과 교육훈련은 지각된 이용용이성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혁신성은 지각된 즐거움, 지각된 편의성, 지각된 안전성, 지각된 삼의 질 향상에 대하여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또한 지각된 이용용이성이 다른 신념변수인 지각된 즐거움, 지각된 편의성, 지각된 안전성, 지각된 삶의 질 향상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종속변수인 이용행동에는 지각된 즐거움과 지각된 편의성, 지각된 삶의 질 향상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나, 지각된 이용용이성과 지각된 안전성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가정에서 쉽게 이용할 수 있다는 것만으로는 적극적인 이용 행동을 기대할 수 없으며, 즐거움 및 실용적인 효익들의 제공 및 이를 위한 다양한 컨텐츠와 프로그램 개발등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3-25%까지 감소하였다. 하지만 산간지역에서는 발육속도가 빨라지고 수량이 증가하거나 큰 변화가 없는 곳도 많아 온난화조건에서도 지역별 정밀기후 추정과 이에 근거한 최적품종의 선택, 이앙기 및 수확기 등 생육기간의 조절이 온난화 대응기술로서 유효할 것으로 기대된다.결과를 분석한 데이터를 차기 메일 발송에 꾸준히 적용함으로써 성공적인 이메일 마케팅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여 수평적인 의견도출과 각자 역할의 확대 및 변화를 시도할 수 있는 제작흐름이 되도록 고안된 제작구조이다.성을 환기시켜 객관적이고 비판적인 의식을 환기시키는 브레히트의 '소격화'의 효과가 소비자의 관심을 환기시켜 특정한 목적을 달성하려는 광고에 효율적으로 적용된 예 인 것이다. 재미, 기타 독특한 체험을 통해 소비자에게 유희라는 쾌락적 경험을 제공하고자 한다.고도로 통계적 유의차(p<0.001)가 있었다. 즐기는 음료로는 ${\ulcorner}$콜라${\lrcorner}$가 가장 많았으며(46.8%), 그 다음은 사이다, 주스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나, 남 여 대학생간에는 유의성있는 차이는 없었다. 음식의 먹는 시기는 점심과 저녁사이의 ${\ulcorner}$간식${\lrcorner}$이 가장 많았으며(42.2%), 남 여 대학생간에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패스트푸드는 많은 사람들이 ${\ulcorner}$${\lrcorner}$이 좋기 때문에 이용하며(62.8%), 남 여 대학생간에는 통계적 유의성(p<0.05)이 인정되었다. 5. ${\u

  • PDF

Acceptance of the Smart Clothing According to Trend and Information Innovation (유행혁신성과 정보혁신성에 따른 스마트의류 수용)

  • Noh, Mi-Jin;Park, Hyun-Hee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1 no.11
    • /
    • pp.350-363
    • /
    • 2011
  •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purchase intention toward smart clothing on the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perceived enjoyment, trust, and social influence,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customers' characteristics like the trend and information innovation. After pictures about the smart clothing for biometric measurement were provided, 256 questionnaires targeted at 20s were gather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perceived enjoyment had an positive effect on the purchase intention of smart clothing. Second, interactions between perceived enjoyment, trust, and social influence and trend innovation had an effect on the purchase intention of smart clothing. Finally, interactions between perceived ease of use, perceived enjoyment, and social influence and information innovation had an influence on the purchase intention of smart clothing. This study can provide various guidelines for researches and companies relative to smart clothing.

A Study on the Factors of Shared Accommodation Services

  • Li, Wei-Jia;Liu, Zi-Yang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26 no.7
    • /
    • pp.83-89
    • /
    • 2021
  • This study explore the perceived differences of factors influencing the shared accommodation in China, and the influencing paths of consumers' use of shared accommodation. This paper collects the questionnaire survey of the Chinese shared accommodation user and applies method of Amos V23.0. The results showed that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pleasure had positive effects on trust, and they also have indirect positive effects on perceived intention through trust, while perceived risk and perceived ease of use had no significant effects on trust. The conclusion is helpful to promote the long-term development of sharing accommodation companies by satisfying the needs of consumers from the point of view of consumers.

An Exploratory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NFC Advertising in Cinema Environment (NFC광고에 대한 극장 관객의 지각된 즐거움, 혁신성이 광고태도와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탐색적 연구)

  • Shim, Sung-Wook;Byun, Hye-Min;Kim, Woon-Han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 /
    • v.18 no.4
    • /
    • pp.681-690
    • /
    • 2017
  • This study is to find the effectiveness of advertising acceptance through NFC advertising and mobile in a cinema environmen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ersonification and participation among interacitivity factors had a positive impact on advertising acceptance. Second, advertising value of NFC advertising had a partially positive impact. Perceived usefulness and ease of use, perceived entertainment, and innovation alos had a positive impact on advertising acceptance. Finally, interactivity, followed by advertising value, had impact on the acceptance of NFC advertising.

Determinants of Users Acceptance of Technology-Based Self-Service (기술기반 셀프서비스 사용자 수용 요인에 관한 연구)

  • Min, Byung-Kwon;Park, Jeong-Yong
    •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 /
    • v.13 no.1
    • /
    • pp.204-230
    • /
    • 2010
  • The accelerating growth in Technology-Based Self-Service (TBSS) today is giving rise to questions about the acceptance of such forms of service delivery by all kinds of consumers. Using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 and TBSS quality evaluation model as a theoretical framework,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y of use, enjoyment of users acceptance of TBSS and self-monitoring as a individual variable. The results lend support to the hypothesist. Implications for service practitioners as well as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 PDF

Understanding User Acceptability Towards to Robo Taxi Based on Value Based Adoption Model (가치기반수용모델 기반의 로보택시 사용자 수용성 분석)

  • In su Kim;Jeong ah Jang;Junghwa Kim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22 no.1
    • /
    • pp.291-310
    • /
    • 2023
  • This study explores the factors which affect user acceptance for Robo Taxi, an electricity-based Autonomous Vehicles based on a Value based Adoption Model. The three main factors of benefit (usefulness and enjoyment), sacrifice (technicality and perceived fee level), and user experience about mobility services such as car sharing, taxi, and autonomous vehicles, were finally selected as independent variables as a influential factors on perceived values and adoption intention of Robo taxi. The study found that usefulness, enjoyment, and perceived fee had a significant effects on adoption intention, and some user experienc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benefit factors. This study has important implications for incorporating the Value-based Adoption Model results into the service design for the activation of Robo taxi, and furthermore, they can provide a theoretical basis for effective use of the research findings.

Study on the Effect of Sociability, Ease of Use, Usefulness, Enjoyment on Acceptance Intention in e-Learning -A Perspective of the Extend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이러닝에서 사회성, 사용용이성, 유용성, 즐거움이 수용의향에 미치는 영향 연구 -확장된 기술수용모델 관점-)

  • Lee, Jong-Ma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2 no.4
    • /
    • pp.417-425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factors influencing e-Learning acceptance intention through extend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TAM) applying TAM, the motivation theory, and the social response theory. To do this, this paper proposes and analyzes a theoretical model consisting of factors such as perceived sociability, perceived ease of use,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njoyment, and e-Learning acceptance intention. Our findings are revealed as following: First,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njoyment have positive effects on e-Learning acceptance intention. Second, perceived ease of use has positive effects on determinants of e-Learning acceptance intention. Third, perceived sociability not only has direct influence on e-Learning acceptance intention but also has indirect influence carried by perceived usefulness.

A Study On Web Shopping Attitude and Purchasing Intention of Internet Self-Efficacy -Focus on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 (인터넷 자기효능감으로 인한 웹쇼핑에 대한 태도와 구매행동의도에 관한 연구 -내재적 동기와 외재적 동기를 중심으로-)

  • Lee, Jong-Ho;Sin, Jong-Kuk;Kim, Mi-Hye;Kong, Hye-Kyung
    • Journal of Global Scholars of Marketing Science
    • /
    • v.10
    • /
    • pp.1-26
    • /
    • 2002
  • The present study examines the role of subjectively perceived factors of the attitude toward web shopping in forming an intention to use a web shopping intention. An integrative research model is presented and tested empirically. It includes the following three aspects of belief in Davis' TAM: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perceived enjoyment. Specially, internet self-efficacy, or the belief in one's capabilities to organize and execute courses of Internet actions required to produce given attainments, is a potentially important factor in efforts to gain more favorable attitude toward web shopping close the digital divide that separates experienced Internet users from novices. Prior research on Internet self-efficacy has been limited to examining specific task performance and narrow behavioral domains rather than overall attainments in relation to general Internet use, and has not yielded evidence of reliability and construct validity. Survey data were collected to develop a reliable operational measure of Internet self-efficacy and to examine its construct validity. Also, much previous research has established that perceived ease of use is an important factor influencing user acceptance and usage behavior of information technologies. However, very littl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o understand how that perception forms and changes over time. The present study examines that higher internet self-efficacy is more getting favorable web shopping attitude, and web shopping intention as more as usefulness, enjoyment through the interne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