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각된 재미

Search Result 38,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A Study on the Reuse Intention of Virtual Reality(VR) Content Using Technology Acceptance Model (기술수용모델을 이용한 가상현실(Virtual Reality : VR) 콘텐츠 재이용 의도에 관한 연구)

  • Qiao, Rongrong;Han, Dongsoong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 /
    • v.19 no.5
    • /
    • pp.115-132
    • /
    • 2019
  • This study analyzed factors affecting the perceived fun of VR contents' reuse intention through use of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 The factors associated with perceived fun were identified by setting the content quality, VR characteristics, emotional character and flow.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perceived fun exercises a positive effect on VR characteristics, emotional character and flow, but that high content quality does not have an affect on perceived fun. Also perceived fun,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 of use are all influenced by the intention to reintegrate.

The Effects of Fun Sound and User Interface on ATVM's usability (소리의 재미수준과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승차권 자동발매기 사용성에 미치는 영향)

  • Tae, Eun-Ju;Kim, Jong-Wan;Han, Kwang-Hee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b
    • /
    • pp.526-534
    • /
    • 2007
  • 사용성의 주관적인 판단기준으로써 재미(Fun)라는 요소는 사용성 지각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논의는 제기된 반면 개념자체의 모호성과 객관적인 측정의 어려움으로 인해 실증적인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지 못했다. 재미와 관련된 기존의 연구들은 시각적인 요인에만 국한되었다. Shneiderman(2004)은 재미를 설계하기 위한 5가지 fun-feature 중 하나로 만족스러운 소리(satisfying sound)를 제시하였는데, 시각적인 요인 못지않게 청각적인 요소는 인간-컴퓨터 상호작용에서 사용자에게 과제를 적절하게 수행해나가고 있는지에 대한 하나의 피드백으로도 작용할 수 있고, 즐거움을 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승차권 자동발매기를 중심으로 소리의 유무와 소리의 재미수준이 사용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소리가 없는 조건, 재미없는 소리 조건, 재미있는 소리 조건에 따라 사용성을 다르게 지각할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또한 모형의 사용성 수준이 매개 변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보고 사용하기 좋은 모형과 좋지 않은 모형 두 가지를 제시하였다. 참가자들은 두 가지 모형에 대해 각각의 소리조건에 따라 과제를 수행하고 모형과 소리 조건에 대해 집단 면접을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 재미있는 소리조건에서는 정답률이 다른 소리 조건들에 비해 더 높았으며 총클릭수는 더 적었다. 면접 결과에서는 좋지 않은 모형에 재미있는 소리는 긍정적으로 인식되지 않음을 발견하였다. 이는 Davis(1992)가 사용성이 뒷받침 되지 않은 상황에서 재미는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지 않는다는 주장을 지지한다. 본 연구는 재미의 한 구성 요소인 소리를 통해서 사용성에 있어 재미가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과 사용성을 전제하지 않은 것에 있어 재미요소의 적용은 부정적으로 인식될 수 있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 PDF

The Effects of Users' Motivation on their Perception to Trading Systems of Online Game Items (온라인 게임 아이템의 거래 방식이 사용자의 재미와 유용성에 주는 영향에 관한 실증적 연구)

  • Lee, Ki-Ho;Choi, Bo-Ruem;Lee, In-Seong;Jung, Seung-Ki;Kim, Jin-Woo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a
    • /
    • pp.8-15
    • /
    • 2007
  • 최근 온라인 게임 시장이 급속하게 성장하고 있다. 온라인 게임은 컴퓨터 게임의 장르 중에 상당히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많은 사용자들은 온라인 게임을 매일 즐기고 있다. 온라인 게임 시장이 커지면서, 온라인 게임 아이템의 거래 시장 역시 성장하고 있으며, 온라인 게임 아이템은 게임 안에서 거래가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게임 밖에서도 실제 화폐를 통해 거래되고 있다. 게임 아이템에 대한 경매 사이트가 국내뿐만 아니라 외국에도 존재하여 활발히 거래가 이루어 지고 있으며, 2004년에는 게임 아이템의 구매를 위해서 최대 8억 8000만 달러에 이르는 실제 화폐가 지불될 정도로 게임 아이템의 거래 시장은 거대하다. 이렇게 규모가 커진 게임 아이템 거래 시장은 학술적으로, 실용적으로 많은 중요성을 갖는다. 그러나 온라인 게임 아이템 거래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는 많지 않다. 몇몇 온라인 게임 아이템 거래에 대한 연구는 게임 아이템의 권리를 중심으로 연구가 되었으며, 게임에 대한 많은 연구는 게임 아이템보다는 몬스터와 싸우는 것이나 게임 캐릭터를 만드는 것과 같은 게임 플레잉 설계에 집중하고 있다. 또한 전자 상거래 분야에서는 사용자들이 거래를 통해 최대한의 이윤을 얻기 위할 것이라는, 즉 외적 동기를 가지고 있을 것이라는 가정을 바탕으로 거래의 효율성과 거래 비용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가 진행되었다. 그러나 온라인 게임 아이템은 실용적인 성격뿐만 아니라 유희적 성격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온라인 게임 아이템 거래에서 사용자는 외적 동기뿐만 아니라 내적 동기도 함께 가지게 된다. 본 연구는 거래 비용이론과 몰입, 그리고 재미와 관련된 이론을 바탕으로, 온라인 게임 아이템의 거래 방식이 사용자의 지각된 재미와 사용자가 느끼는 거래비용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 방법론을 통해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거래에서 내적 동기를 가진 사용자는 게임 아이템 거래 의도에 지각된 재미가 거래 비용에 비해 더 많은 영향을 미쳤으며, 외적 동기를 가진 사용자는 게임 아이템 거래 의도에 지각된 거래비용이 지각된 재미에 비해 더 많은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과거 대부분의 관련 연구가 거래 방법의 유용성만을 강조해왔던 것과는 달리, 거래 자체의 재미와 즐거움, 그리고 거래에 대한 몰입 등의 감성적 측면을 고려함으로써 거래 비용 이론을 확장했다는 데 이론적 의의가 있을 것이다. 또한 실용적 측면에서 게임 아이템 거래 방식을 어떻게 설정해야 사용자들에게 유용성과 더불어 재미를 제공해 줄 수 있는지에 대한 실질적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Effect of Experience of Fashion Brand Metaverse Virtual Reality Store on Perceived Avatar Identification, Perceived Fun, and Consumer-Brand Self-Congruity (패션브랜드 메타버스 가상현실매장 체험이 지각된 아바타 동일시성, 지각된 즐거움, 소비자-브랜드 자아 일치성에 미치는 영향)

  • Lee, Eun-Jung;Jeon, Jihye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8 no.4
    • /
    • pp.387-395
    • /
    • 2022
  • This study empirically studied the effect of the characteristics of consumer experience in a virtual store in the metaverse of a fashion brand on consumers' perceived utility and self-congruence for the mediu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ll three factors (reality, ubiquity, anonymity) of the fashion brand metaverse virtual reality store experience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perceived avatar consistency. On the other hand, realism and ubiquity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perceived fun, but the effect of anonymity on perceived fun was not significant. On the other hand, perceived avatar identity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perceived consumer-brand self-congruence. Finally, it was found that the perceived fun in the metaverse fashion brand virtual reality stor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perceived consumer-brand self-congruence.

The Impact of Flow and Experience on the Usage Time of Online Games (Flow와 Experience가 온라인게임 사용시간에 미치는 영향)

  • 최동성;김호영;김진우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Cognitive Science Conference
    • /
    • 2000.05a
    • /
    • pp.214-219
    • /
    • 2000
  • 최근 들어 많은 사람들이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다양한 경험을 하고 있다. 특히 온라인게임의 경우 더욱 더 많은 사람들이 더 오랜 시간동안 게임을 즐기고 있다. 본 연구는 Flow 이론을 중심으로 왜 사람들이 온라인 게임 속에 오래 머물러 있는가에 대해 분석하였다. 온라인 설문을 통해 사용시간과 Flow 상태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Flow의 4가지 차원 중에서 Intrinsic interest와 Curiosity를 많이 느끼면 그에 따라 온라인 게임을 이용하는 시간이 늘어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렇다면 온라인 게임을 통해 사람들에게 Intrinsic interest와 Curiosity를 많이 느끼게 하기 위해 어떻게 해야하는지를 본 연구에서는 인지적 재미와 지각적 재미라는 이론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사람들은 인지적 재미와 지각적 재미를 많이 제공해 주면 줄수록 Intrinsic interest와 Curiosity를 많이 경험할 수 있게 해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Do hedonic icons work better? (아이콘의 유희적 요소가 사용성에 미치는 영향 - 모바일 아이콘을 중심으로 -)

  • Tae, Eun-Ju;Jung, Dae-Hyun;Han, Kwang-Hee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2b
    • /
    • pp.274-280
    • /
    • 2008
  • 최근에는 정보 가전의 사용이 크게 증가하였고, 다양한 제품 출시와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제품에 따른 사용성에 있어 큰 차이가 없게 됨에 따라 사용성(usability)의 개념(Gould and Leuis, 1985; Benner, 1984)이 단순한 편리성과 기능성에서 사용자의 경험을 중시하는 방향으로 확장되었다(Carroll, J.M., 2004). 이러한 측면에서 유희적인 측면은 점점 강조되고 있는 실정이다. 아이콘은 GUI 환경에서 사용자가 이루고자 하는 바를 실제 공간에서 대상을 직접 조작하는 방식과 비슷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해줌으로써 중요한 구성요소로 인식되고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 아이콘과 관련된 대부분의 연구들은 아이콘의 기능적인 측면만을 다루어 왔으며, 아이콘이 가질 수 있는 재미나 즐거움과 같은 유희적인 측면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재미와 즐거움을 유희적인 요소로 규정하고 아이콘의 사용성과 주관적인 평정에 있어 재미가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았다. 그 결과 전형적인 인터페이스와 재미있는 인터페이스는 객관적인 사용성(Ergonomics quality)에 있어서 차이가 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사용자들은 재미있는 인터페이스에 대해 더 호감이 가고 매력적이고, 좋다고 평가하였다. 본 연구는 아이콘 디자인에 있어 기본적인 기능을 유지하면서도 참신성을 기준으로 재미요소를 추가하였을 때에 본래의 아이콘이 가지는 장점을 살리면서도 사용자의 경험을 풍부하게 해줄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PDF

Gender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Utilitarian and Hedonic Gift Attributes among American Consumers

  • Kim, Eun-Young;Kim, Young-Kyung;Kim, Yeon-Sook
    • Journal of Families and Better Life
    • /
    • v.20 no.4
    • /
    • pp.127-133
    • /
    • 2002
  • 본 연구는 두 가지 선물상황(생일, 크리스마스)과 선물수용자(가족, 친구)에서 성별에 따라 선물 속성지각에 차이가 있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질문지를 이용하여 미국 남녀 비자 97명을 대상으로 자료수집 하였으며, 자료분석을 위해 MANOVA(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ble)를 실행하였다. 분석결과, 가족과 친구를 위한 생일선물상황에서 성에 따라 쾌락적 속성(독특한, 유행하는, 재미있는)의 중요성 지각에 차이를 보여 여성이 남성보다 선물의 쾌락적 속성을 더 중요하게 지각하였다. 또한 가족과 친구를 위한 크리스마스 선물상황에서도 성별에 따라 쾌락적 속성에 차이를 보여 여성이 남성보다 가족을 위한 선물로써 독특한, 유행하는 속성을 더 중요하게 지각하고, 친구를 위한 선물은 독특한, 재미있는 속성이 더 중요하게 지각되었다. 그러나 실용적 속성(내구성있는, 실용적인, 비싸지 않은)에서는 두 가지 상황의 가족과 친구를 위한 선물지각에 대해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 소비자들은 선물구매상황에서 일반제품과 달리 쾌락적 가치를 더욱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으며, 성별에 따라 선물 상황과 수용자에 대한 선물의 쾌락적 속성지각에 차이를 나타냄으로써 성별에 따른 차별화된 선물상품개발 및 이미지 포지셔닝 전략을 통해 효과적 마케팅 관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Fun of Animation-on the Correlation among the Perceptive fun, the Cognitive fun and the Psychological fun (애니메이션의 재미 - 감각적 재미, 인지적 재미, 심리적 재미의 상관관계)

  • Sung, Re-A
    • Cartoon and Animation Studies
    • /
    • s.33
    • /
    • pp.99-126
    • /
    • 2013
  • This study is meant to be seeing how fun of animation works by reviewing it theoretically and coordinating it to suggest the structure which integrates fun of animation and validates the proposed fun model. After reviewing fun theoretically, the fun of animation could be able to coordinate that fun of animation is consist of perceptive fun, cognitive fun, and psychological fun. Perceptive fun is induced by visual, auditory and other sensory information and it is directly affected the image, sound, and movement. Cognitive fun can be obtained by reasoning and interpretation to mobilize their knowledge with sensuously perceived stimulation and it is directly affected the story. Psychological fun occurs when the audience see the animation. The psychological fun is the psychological emotional state when the audience watches animation by relieving psychological congestion. It consists of fun of unfamiliarity or identification. By suggesting research model and validating it how the perceptive fun, cognitive fun, and psychological fun affects each other, perceptive fun enhances cognitive fun and psychological fun. Although cognitive fun enhances psychological fun, cognitive fun enhances psychological fun twice than perceptive fun. Also when perceptive fun affects psychological fun, cognitive fun shows the indirect effect as a parameter. In conclusion, perceptive fun affects psychological fun directly and be enhanced through cognitive fun. Fun of animation can be experienced when perceptive fun caused by accepting sensory information of animation instantly, cognitive fun caused by interpretation and understanding sensory information of animation, and psychological fun caused by relieving psychological identity through recognition fuses and acts as one. An animation emphasized a certain element is difficult to be loved by the audience. In this reason, an harmonical combination among the elements of story, image, sound and movement are important to combinate harmoniously for a successful animation to make the audiences fun by arising funny emotions.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Fun Perception Scale for the Korean Employees (직장인의 일에 대한 재미지각척도 개발 및 구성타당도 검증)

  • Cheongyeul Park ;Youngmi Sohn ;Chungwoon Kim
    • Korean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
    • /
    • v.17 no.2
    • /
    • pp.241-260
    • /
    • 2011
  •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fun perception scale measuring what conditions employees experience fun feeling in work and to examine the construct validity of it. For this, the pre-studies(open-ended questionnaire, in-depth interviews, literature survey, pre-survey) were conducted to develop the preliminary questions of fun scale. In main study, 250 employees(male: 125, female, 125) were responded to a questionnaire consisted of 40 questions of fun perception scale extracted by pre-studies. The results were as follow. First, through the item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7 factors composed of 29 items were extracted: 'self-determination', 'extrinsic reward', 'goal achievement', 'pleasure in the process', 'contribution to the company', 'worthless', 'challenge'. Cronbach's alpha reliability coefficient of each factor was suitable. Secondly, EFA was conducted to test the construct validity of fun scale with AMOS 16.0. Several goodness of fit indexes were used to assess model fit: X2/df, TLI, CFI, RMSEA. The results were revealed that all the indexes were acceptable with no additional modific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e theoretical and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fun perception scale were discussed.

  • PDF

The Effect of Personal trait on Perceived Value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 Focus on one-person media contents (개인성향에 따른 1인 미디어 콘텐츠의 가치 지각 및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 Ju, Seon-Hee;Song, Min-Young;Kim, Byung-Kuk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9 no.12
    • /
    • pp.159-167
    • /
    • 2018
  • As the popularity of single-person media content increases, We investigated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value and intention to recommend to others. Individuality was studied on the tendency to sensation seeking and novelty seeking, which is a tendency to take boredom sensitive to monotonous and repetitive daily routines, and novelty seeking refers to new information and stimuli. The hypothesis was that high sensation seeking and high novelty seeking would perceived emotional value, epistemic value, and economic value for a single person 's media content. Hypothesis testing was performed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21. As a result of the hypothesis test, The novelty seeking has a positive effect on emotional value, epistemic value, and economic value. Users who want to explore and enjoy new things could perceived the emotional value of having fun, fun, and sadness through single-person content, perceived a epistemic value and enjoy new information and situations as a tool to recognize new stimuli and know what they didn't know. And it could be seen that users perceive the economic value that they can enjoy at low cost or free service. The sensation seeking has a significant effect on epistemic value, but it did not affect emotional value and economic value significantly. Those who have a high tendency to sensation seeking can perceive curiosity about one-person media contents, so that they can perceive epistemic value. However, those who feel that they have not significant influence on economic value and emotional value can easily understand that expecting one's content does not feel bored by paying for a low cost or free ser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