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지각된 장애

검색결과 277건 처리시간 0.041초

장애인행정도우미의 직무만족에 대한 자기효능감의 영향: 장애수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Effects of Job Satisfaction on Self-Efficacy: Mediation by Disability Acceptance among Public Assistants with Disabilities)

  • 최정아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4년도 추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375-376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행정도우미가 지각하는 직무만족에 대한 자기효능감의 영향을 장애수용정도가 매개하는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수도권 주민센터 253개소의 장애인행정도우미 253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수집된 자료에 대하여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여 자기효능감, 장애수용, 그리고 직무만족 간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장애인행정도우미가 지각하는 자기효능감은 장애수용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장애수용은 직무만족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반면, 자기효능감은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어 장애수용이 자기효능감과 직무만족 간의 관계를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검증되었으며, 이러한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에 근거하여 장애인행정도우미의 직무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 PDF

Comparing the Effect of Visual Perception of Autism with Mental Retardation using Crafts Programmes

  • ;김희정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41-47
    • /
    • 2011
  • 목적 : 본 연구는 수예공작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폐아동과 지적장애아동의 시지각 효과를 비교함으로써 그 필요성을 밝히고자 한다. 연구방법 : 선정기준에 따라 자폐아동 10명, 지적장애 아동 10명을 선별한 후 시지각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사용된 수예공작 프로그램은 수예공작을 치료로 적용하고 있거나 적용한 경험이 있는 전문가에 의해 의뢰되고 만들어졌다. 항목에 들어가는 것은 도예작업, 모빌공예작업, 밀가루 반죽작업, 지점토작업, 골판지공예작업, 칼라믹스작업이 선택되었다. 이 프로그램은 4주 동안 일주일에 두 번 적용하였고, 치료 전후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MVPT-3를 사용하였다. 결과 : 첫째, 수예공작 프로그램이 자폐아동과 지적장애아동 모두 효과가 있었다. 둘째, 수예공작 프로그램 적용 후 각각을 비교하였을 때, 지적장애아동에게 더 높은 효과가 있었다. 결론 : 수예공작 프로그램이 자폐아동과 지적장애아동의 시지각 기능 발달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청지각적 평가 방식에 따른 음성장애 심한 정도 판단과 자가 신뢰도에 대한 차이 (Effects of EAI and VAS on perceptual judgement and confidence rating by listeners for voice disorders)

  • 이옥분;김선희;정한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3046-3050
    • /
    • 2014
  • 본 연구는 음성장애 청지각적 평가인 EAI(등간척도)와 VAS(시각적 아날로그 척도)의 차이점, 각 평가방법에 대한 평가자 자가-신뢰도(confidence rating)을 알아보았다. 30명의 언어병리전공 학생들이 음성장애로 진단받은 화자(N=25)의 발성과 읽기 샘플을 듣고 EAI는 7점 척도, VAS는 0-10cm의 직선에 음성장애 정도를 표시했고, 판단에 대한 자가 신뢰도 점수는 7점 척도로 실시했다. 음성장애 정도에 대한 판단의 준거가 제시되는 상황(조건 1)과 그렇지 않은 상황(조건 2)에서 모음 연장발성과 읽기 과제에 대해 각각 실시했다. 연구 결과, 발성이나 읽기과제에서 모두 동일하게 모두 VAS평가 점수가 높게 산출되었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그 외 조건 1의 읽기과제와 조건 2의 발성과제에 대한 EAI와 VAS평가 점수 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음성장애 화자들의 발화 과제와 청지각적 평가유형이 청취자들의 지각적인 판단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보다 집중된 임상 연구가 계속되어야 할 것을 시사한다.

장애인도서관 원문서비스 모바일 앱의 특성이 사용자의 만족도 및 재사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Mobile App for Disabled Libraries' Full-text Service on User's Satisfaction and Reuse Intention)

  • 장보성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329-347
    • /
    • 2020
  • 본 연구는 시각장애인의 독서 및 정보활용을 위한 장애인도서관 원문서비스 모바일 앱의 특성(혁신성, 편의성, 접근성, 정확성, 신뢰성, 즉시 접속성, 상호작용성)과 기술수용모델의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용이성을 활용하여 앱의 특성이 사용자의 만족도와 재사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조사는 국립장애인 도서관 국가대체자료공유시스템 앱을 대상으로, 사용 경험이 있는 시각장애인에게 설문지를 배포하여, 유효한 345부의 표본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앱의 접근성, 편의성, 혁신성, 신뢰성이 지각된 유용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며, 즉시접속성, 정확성, 상호작용성은 유의미한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든 앱의 특성은 지각된 용이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지각된 용이성이 지각된 유용성에 미치는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으며, 지각된 용이성과 지각된 유용성은 이용자의 만족도에, 만족도는 재사용 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양병원 간호사의 표준주의지침 수행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Factors Affecting the Compliance of Standard Precautions in Long Term care Hospital nurses)

  • 장미옥;이진희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813-823
    • /
    • 2021
  • 본 연구는 요양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표준주의지침 수행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분석결과 표준주의지침 인식 8.50, 건강신념 3.76점(하위영역- 지각된 민감성 4.03점, 지각된 심각성 4.04점, 지각된 유익성 3.91점, 지각된 장애성 3.54점, 행동계기 2.92점), 표준주의지침 수행도 37.90점이었다. 표준주의지침 수행도는 표준주의지침 인식(r=0.419, p<.001), 건강신념(r=0.443, p<.001), 건강신념 하위영역인 지각된 민감성(r=0.169, p=.044), 지각된 유익성(r=0.207, p=.013), 지각된 장애성(r=0.486, p<.001), 행동계기(r=0.204, p=.014)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표준주의지침 수행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지각된 장애성(β=0.373, p<.001), 행동계기(β=0.271, p<.001), 표준주의지침 인식(β=0.245, p=.004) 이었고 설명력은 32.5%이었다.

시각장애인의 스마트폰 수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martphone Acceptance for the Visually Impaired)

  • 김은정;박성제;김종원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79-94
    • /
    • 2016
  • 스마트 폰, 태블릿 PC 등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해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에 접속하여 다양한 정보를 습득할 수 있다. 그러나 장애인의 경우 이러한 IT 환경을 적절히 활용하지 못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발생하는 정보격차에 대한 사회적 문제가 많은 연구를 통해 지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TAM을 활용하여 시각장애인의 스마트기기 수용의도 및 사용행위에 대한 실증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혁신성은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용이성, 지각된 즐거움 모두에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아존중감과 자아효능감은 지각된 용이성에만 유의미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용이성, 지각된 즐거움 모두 재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관련 실무자와 연구자들에게 많은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따라말하기 과제를 통한 자폐범주성 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의 평서문과 의문문의 음향학적 특성 비교 (A study of the prosodic patterns of autism and normal children in the imitating declarative and interrogative sentences)

  • 이진형;성철재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12권2호
    • /
    • pp.39-49
    • /
    • 2020
  • 언어의 운율은 억양, 리듬, 강세로 구성되어 있고 운율 요소는 상호 복합적인 작용을 통하여 언어의 고유한 리듬을 형성한다. 자폐범주성 장애 아동은 자연스러운 운율 학습에 어려움이 있어 정확한 의미와 정보 전달에 어려움이 있어 자폐범주성 장애 아동의 운율에 대한 연구가 중요하다. 평서문과 의문문 따라말하기 과제를 통하여 자폐범주성 장애 아동 집단과 일반 아동 집단 간의 운율 특성 차이를 구명하고 어말 길이에 따라 의문문에서의 음도기울기와 청자와의 지각관계를 알아보았다. 7-12세 일반 아동 30명, 자폐범주성 장애 아동 20명을 대상으로 언어 평가 후 20문장 따라말하기 과제를 실시하였다. 청지각 과제로는 115문장이 사용되었다. 자폐범주성 장애 아동이 일반 아동에 비해 음도와 강도가 높고, 발화속도가 느리며 음도 기울기가 낮았다. 자폐범주성 장애 아동은 평서문과 의문문의 산출에서 음도와 강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자폐범주성 장애 아동은 의문문 1음절에서 평서문과 가장 큰 기울기 차이를 보였으며 5음절 의문문 산출에서 가장 낮은 기울기 값을 보였다. 청지각 평가 결과 청자는 4.3%만 자폐범주성 장애 아동의 의문문을 의문문으로 지각하였다. 결과적으로 평서문과 의문문 따라말하기에서 자폐범주성 장애아동이 일반 아동에 비해 음도와 강도가 높고, 발화속도가 느리며, 낮은 음도기울기를 보였다. 이러한 운율패턴 때문에 청자는 의문문을 평서문으로 인식하였고 원인은 규명되지 않았지만 화용능력이나 다른 자폐적 특징의 결함과 관련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폐범주성 장애 아동의 이러한 억양 패턴을 확인하였고 운율 개선을 위한 치료 개발의 필요성을 제시했다.

지각된 통제소재 (Locus of Control)가 통증환자의 심리상태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s of Perceived Locus of Control to Patients with Pain)

  • 조선미;진범수;송호정;김찬;한경림
    • 정신신체의학
    • /
    • 제10권2호
    • /
    • pp.101-109
    • /
    • 2002
  • 연구목적: 통증환자의 인지적 특정은 통증에 대한 지각이나 치료에 대한 반응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지각된 통제소재와 같은 인지적 특정이 통증환자의 정서장애나 대처방식과 어떤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통증클리닉을 내원하여 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 96명을 대상으로 지각된 통제소재를 알아보는 질문지와 미네소타 다면적 인성검사 (MMPI), 대처방식질문지, 주관적으로 통증의 정도와 시간, 괴로움정도, 통제정도를 평정하도록 하여 이 자료를 토대로 분석하였다. 결과: 자료분석결과 환자가 지각하는 통제소재가 내부에 있다고 믿을수록 통증에 대한 통제감이나 통증을 감소시키려는 노력을 했을 때 감소정도가 높은 것으로 보고하였다. 반면 외부통제감이나 우연에 의한 통제감이 높을수록 지각된 통증정도나 통증경험시간, 일상생활 장애정도가 높았다. 또한 내부통제감은 MMPI척도중 자아방어관련척도와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으며, 우울, 불안, 정서억압과 같은 척도와는 부적상관을 보였다. 대처방식 중에서 자기진술 및 감각의 재해석과 같은 방식은 내부통제감를 유의한 정도로 설명하였고 외부통제감과 우연에 의한 통제는 재앙화에 의한 설명변량이 유의한 수준에 이르렀다. 결론: 통증은 비록 신체적 장애이지만 주관적 통증지각이나 일상생활기능정도, 정서적 어려움에는 지각된 통제감과 같은 인지적 요인이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환자가 통증에 효율적으로 대처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내부통제감을 증가시키고 보다 효율적인 대처방식을 사용하도록 인지들 수정해수는 것이 필요하다.

  • PDF

전정 중심의 감각통합치료가 발달장애아동의 안구진탕, 시지각,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Vestibule-Oriented Sensory Integration Treatment on the Nystagmus, Visual Perception and Balancing Ability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 김현호;황보각;유병국;김명권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290-302
    • /
    • 2011
  • 이번 연구의 목적은 전정 중심의 감각통합치료가 발달장애아동의 안구진탕, 시지각, 균형능력에 미치는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이다. 발달장애를 가진 23명의 아동이 이번 실험에 참여하였다. 대상은 12주동안 Ayres의 감각통합이론에 바탕을 둔 전정중심의 감각통합치료를 받았다. 치료 효과는 SCPNT, DTVP-2, P-CTSIB, SCSIT등과 BOT의 일부 평가항목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Wilcoxon test를 사용하여 분석되었다. 연구결과는 회전후 안구진탕 측정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시지각과 균형능력의 측정결과에서도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전정중심의 감각통합치료가 발달장애를 가진 아동에서 안진, 시지각, 균형능력의 증진에 효과적이었다.

지각된 낙인이 정신장애인의 삶의 만족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erceived Stigma on Life Satisfaction and Self-Esteem of the Mental Illness)

  • 서미경;김정남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6권4호
    • /
    • pp.173-194
    • /
    • 2004
  • 수정된 낙인이론에 의하면 정신장애인에 대한 일반인의 낙인은 사회화과정에서 정신장애인에게 내면화되어 사회적응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런 이론적 전제를 가지고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서 생활하는 정신장애인 377명을 대상으로 지각된 낙인이 삶의 만족과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지각된 낙인은 삶의 만족에 직접적 효과를 갖기도 하지만 차별경험을 매개로 한 간접적 효과를 가지기도 한다. 둘째, 지각된 낙인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직접적 효과는 없지만 차별경험과 차별상황에 대한 내재적 귀인을 매개로 한 간접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지각된 낙인의 부정적 효과를 줄이기 위해서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교육과 정보제공도 중요하지만 정신장애인과 그 가족이 주도하는 낙인극복캠페인을 통해 스스로를 옹호하고 권한부여 하는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