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증식활성(增殖活性)

검색결과 1,313건 처리시간 0.033초

마늘즙의 미생물증식 억제효과 (Growth Inhibition of Garlic (Allium sativum L.) Juice on the Microorganisms)

  • 지원대;정민선;최웅규;최동환;정영건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1권1호
    • /
    • pp.1-5
    • /
    • 1998
  • 향신료중에서 항균성 물질을 찾고자하는 연구의 일환으로 검정균의 생육에 대한 항생제와 보존료의 영향을 조사하였고, 마늘즙과 생강즙이 미생물의 생육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조사하였다. 마늘즙은 세균과 효모 및 곰팡이에 대해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반면, 생강즙은 세균과 효모에 대하여는 항균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마늘즙의 균증식 억제작용은 마늘즙의 농도에 따라서 증가하였으며, 비증식 생장속도를 조사한 결과, 마늘즙의 항균 효과는 세균보다 효모에서 월등하게 높았다.

  • PDF

재배상황버섯의 장내 세균 유해효소 및 알파글루코시다제 저해효과 (Effect of Artificially Cultured Phellinus linteus on Harmful Intestinal Bacterial Enzymes and Rat Intestinal ${\alpha}-glucosidases$)

  • 김동현;최혁재;배은아;한명주;박순영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20-23
    • /
    • 1998
  • 재배 상황버섯의 유산균 증식 효과를 측정한 결과 B. breve에 대한 증식 효과와 배양배지의 pHwj하 효과가 우수했다. 사람 및 흰주의 장내 세균을 버섯추출물 함유 배니에서 배양시 배지의 pH저하 효과가 우수할뿐만아니라 ${\beta}-glucosidase$의 효소 활성을 억제하였다. 그외에도 대장암 및 방광암 등의 원이효소로 주목되고 있는 사람 및 흰쥐의 장내 세균총 효소인 ${\beta}-glucosidases$ 및 tryptophanase 효소 활성을 억제하였다. 이외에도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의 치료제로 사용되는 acarbose보다는 약하지만 maltase, sucrase 및 알파아밀라제를 효과적으로 저해하였다.

  • PDF

In vitro에서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QACs)이 뱀장어의 면역반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QACs) on the Immune Response of eel(Anguilla japonica) In vitro)

  • 최민순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03-110
    • /
    • 2000
  •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QACs)가 뱀장어의 면역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기 위해서 뱀장어의 혈액으로부터 림프구를 분리하여 증식능을 측정하였으며 또한 신장으로부터 탐식세포를 분리하여 탐식능, pinocytosis 및 superoxide anion활성능 등을 측정하였다. 림프구의 증식능은 mytogen(T-cell mitogen: ConA and PHA, B-cell mitogen: LPS) 및 QACs처리농도에 따라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한편 신장 유래의 대식세포의 세균살해능은 QACs첨가농도에 따라 유의성 있게 증가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QACs이 작동대식세포로의 분화 및 활성을 촉진시켜서 탐식능, pinocytes 및 superoxide생성 등의 분비를 증가시킨 것으로 사료된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QACs가 어체의 면역반응에 관여하는 작용기전은 면역작동세포의 수를 증가시키기보다는 세포의 기능활성을 증강시킴을 알 수 있다.

  • PDF

Xylogone sphaerospora 유래 ${\beta}$-mannanase 정제 및 Konjac Glucomannan 가수분해 올리고당의 중합도별 Bifidobacterium spp.에 대한 증식활성 (Purification of Xylogone sphaerospora ${\beta}$-mannanase and Growth Activity of Bifidobacterium spp. by Konjac Glucomannan Hydrolysates)

  • 이희정;박귀근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1권3호
    • /
    • pp.159-163
    • /
    • 2008
  • Sephadex G-100 column chromatography에 의해 Xylogone sphaerospora 유래 ${\beta}$-mannanase의 정제를 수행하여 비활성 8.44 units/ml, 정제배율 56.27을 나타내었다. SDS-PAGE에 의한 단일밴드를 확인하였고, 분자량은 42kDa으로 결정되었다. 정제효소에 의해 konjac glucomannan을 가수분해하여 activated carbon column chromatograph)에 의해 당가수분해물을 분리 회수하여 TLC에 의해 주요 당가수분해물은 합도 3과 4의 hetero type으로 확인되었으며 D.P. 3과 4의 예상되는 구조는 본 연구실에서 확보하고 있는 standard glucomannooligosaccharides에 의한 TLC에서 나타나는 Rf value 상으로 1차적으로 확인하고, Aspergillus niger 5-16 유래 정제 ${\beta}$-mannanase를 단계적으로 처리하여 가수분해 pattern을 TLC로 해석한 결과 D.P. 3의 구조식은 비환원말단 mannose로 부터 2번째에 1분자의 glucose가 결합하고 있는 hetero type의 구조(M-G-M)로, D.P. 4의 구조식은 비환원말단 mannose로부터 3번째에 1분자의 glucose가 결합하고 있는 hetero type의 구조(M-M-G-M)로 예상하고 있다. B. longumm, B. bifidum, B. infantis, B. adolescentis, B. animalis, B. auglutum, B. breve의 생육활성에 대한 중합도 3과4의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modified-MRS 배지 상에 탄소원으로 중합도 3과 4를 대체하여 생육활성을 비교한 결과 B. longum에서는 D.P 4 glucomannooligosaccharide를 탄소원으로 대체한 경우 표준 MRS배지와 비교하여 3.9배의, D.P. 3을 처리한 경우에도 2.7배의 상대 활성을 나타내어 가장 우수한 생육활성을 나타냈었으며, B. breve의 경우에서도 D.P 4에서 2.47배, D.P 3에서 2.08배의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B. bifidum에 있어서는 D.P. 4의 경우 2.8배의 상대활성을 나타내었다. Bifidobacterium 7균주 모두에 대해서 중합도 4의 올리고당이 중합도 3의 올리고당보다 생육활성에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당귀로부터 분리한 다당의 면역증진 활성과 항전이 활성 (Immuno-stimulating and anti-metastatic activities of the polysaccharides isolated from Angelica gigas)

  • 손승우;신광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3권3호
    • /
    • pp.304-312
    • /
    • 2021
  • 참당귀로부터 열수추출 및 에탄올 침전법을 이용해 조다당을 분리하고 DEAE-Sepharose FF와 Sephadex G-100을 이용하여 얻은 정제 다당 AGE-2c-I을 대상으로 선천 면역 활성 및 항종양 전이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인체의 초기 면역 반응에 있어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보체계 활성화 및 활성화 경로를 확인한 결과, AGE-2c-I은 운지버섯 유래 시판 면역증강제인 PSK에 준하는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본 활성은 주로 고전경로를 통하여 활성화되며 일부 부경로를 경유하는 것으로 최종 확인되었다. 또한 AGE-2c-I은 mouse 복강 유래 대식세포에 대해 직접적인 독성을 나타내지 않으며 종양세포주 YAC-1 및 B16BL6에 대한 직접적인 독성 또한 나타나지 않음을 확인함으로써 시료의 직접적인 독성에 근거한 항암 효과는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에 비장으로부터 분리한 림프구는 8 ㎍/mL의 AGE-2c-I 처리에 의해 증식능이 관찰되었다. AGE-2c-I이 대식세포의 cytokine 분비능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한 결과, 우수한 IL-6, IL-12 및 TNF-α 분비능을 보였으며 시료를 200 ㎍ 및 1,000 ㎍의 고농도로 처리한 실험군에서 IL-10이 분비된 것으로 보아 AGE-2c-I은 immune-stimulator의 역할뿐만 아니라 immune-suppressor로서의 작용 또한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종양 및 암세포에 대하여 직접적인 살해 활성을 나타내는 NK cell 활성을 확인한 실험에서는 농도 의존적인 종양 세포 살해능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100 ㎍/mouse 농도에서 NC 대비 약 1.5배 높은 NK cell 활성을 나타냈을 뿐만 아니라, 폐에 대한 고전이성 종양세포주인 B16BL6 melanoma 세포를 이용한 실험동물 종양 전이 모델에선 100 ㎍/mouse 농도로 처리한 실험군이 NC 대비 58%의 colony가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부터 참당귀 유래 RG-I 구조의 다당은 높은 선천면역계 자극 활성, 특히 보체계, 대식세포, 림프구 증식, NK cell의 활성화를 통해 우수한 항종양 전이 효과를 갖는 것으로 최종 확인되었으며 건강기능성식품 소재로의 개발가치가 우수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생선으로부터 분리한 두유 응고 효소 생산 호냉성 미생물 (Isolation of psychrotrophic microorganism producing soymilk-clotting enzyme from marine fish)

  • 김정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6권1호
    • /
    • pp.45-50
    • /
    • 1993
  • 생선 시료로부터 대두유를 배지원으로 $10^{\circ}C$에서 증식배양하고, 조효소액의 효소활성을 조사하여 대두유 응고활성이 높고 단백질 분해활성이 낮은 호냉성 세균을 최종 선발하여 Pseudomonas sp.로 잠정 동정하였다. 조효소액의 대두유 응고활성은 $20{\sim}60^{\circ}C$에서 관찰되었고 최적온도는 $40^{\circ}C$였으며, 단백질 분해활성의 최적온도는 $40^{\circ}C$였고 $30^{\circ}C$이하 및 $60^{\circ}C$ 이상에서는 단백질 분해활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조효소의 활성은 pH$5.8{\sim}7.3$ 범위에서 pH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되었다.

  • PDF

대두 단백 효소 가수분해물의 항균활성

  • 주정현;이상덕;이규희;이기택;오만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003년도 춘계총회 및 제22차 학술발표회
    • /
    • pp.145.1-145
    • /
    • 2003
  • 대두 단백질을 효소로 가수분해 하였을 때 생성되는 peptide의 항균활성을 조사하고 천연항균제로서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분리 대두 단백질에 5종의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를 작용시켜 생성된 가수분해물의 항균력을 측정하고 한외여과하여 분자량별로 분리된 각 fraction의 항균활성과 HPLC로 정제하여 항균성 peptide 의 아미노산 결합순서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분리대두 단백질에 5종의 단백질 분해효소를 작용시켜 제조한 가수분해물 중 Asp.saitoi protease로 작용시킨 것이 항균활성이 높았다. Asp. saitoi protease로 작용시킨 대두 단백질의 가수분해물을 membrane filter로 여과한 결과 분자량 1000-3000 fraction에서 항균활성이 가장 높았다. 분자량 1000-3000 범위을 가진 가수분해물의 MIC는 0.5-0.8mg/$m\ell$ 이었으며 그람 양성균과 음성균 모두의 증식을 억제하는 경향을 보였다. 분리 대두 단백으로부터 얻어진 항균성 peptide는 121$^{\circ}C$, 10분간 열처리하여도 안정하였으며 한외여과에 의하여 분자량 1000-3000범위의 가수분해물을 동결건조하여 gel filteration하였을 때 2개의 fraction에서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HPLC결과 RT 16.02 의 peak에서 항균활성이 확인되었고 질량은 1,633이었으며 아미노산 결합순서는 H$_2$N-G-P-P-G-V-V-A-T-V-V-A-A-R-COOH 이었다.

  • PDF

어류병원성 그람음성세균 Edwardsiella tarda와 Vibrio anguillarum에 대한 칠피의 항균활성물질 (The antimicrobial compound of Rhus verniciflua barks against fish pathogenic gram-negative bacteria, Edwardsiella tarda and Vibrio anguillarum)

  • 강소영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27-237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주요 어류 병원성 그람음성세균인 E. tarda 및 V. anguillarum에 대하여 14 종의 생약 추출물의 항균활성을 검색하였다. 그 결과, 감초, 지유 및 칠피 추출물이 항균활성을 나타냄을 밝혔다. 그 중, 가장 우수한 항균활성을 나타낸 칠피 추출물에 대하여 활성지향적인 분리기법을 적용하여 활성분획물인 EtOAc분획물로부터 항균활성물질 1종을 분리하고 페놀성 화합물인 methyl gallate로 동정하였다. methyl gallate는 실험에 사용된 E. tarda 및 V. anguillarum의 균주들의 증식을 효과적으로 저해하였으며 이에 대한 MIC는 모두 1 mg/ml로 측정되었다.

아까시재목버섯이 옻나무 껍질의 urushiol 제거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erenniporia fraxinea on Eliminating Urushiol from Rhus verniciflua Stokes Stem Bark)

  • 이지현;정석태;강지은;최한석
    • 한국균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347-357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urushiol 제거에 적합한 장수버섯 종균용 원료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세 가지 곡물조, 현미, 통밀에서의 장수버섯 균사체 증식속도는 각각 4.92±0.05, 2.20±0.03, 1.93±0.03 mm/day 이었다. 장수버섯이 배양된 곡물종균의 laccase의 활성은 각각 0.86±0.02, 0.04±0.01, 0.01±0.00 U/mL 이었다. 증식속도와 효소활성 측면에서 장수버섯 종균용 곡물로는 조를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였다. 조에 배양된 장수버섯 종균을 옻나무에 배양하였더니 3일차에 urushiol이 최대 86.6% 감소하였고 7일차에 98.5%까지 감소하였다. Urushiol 제거를 위한 적정 배양기간은 3일이었으며 이때 flavonoid 잔존량은 68%, phenolic 성분의 잔존량은 42% 이었다. 액체종균을 사용하여 배양한 것과 비교했을 때 urushiol을 제거하기 위한 증식기간이 10일에서 3일로 단축되었다.

저선량 방사선 조사가 배양 세포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MDCK Cell on Low Dose Irradiation)

  • 이송재;장재철
    •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06-112
    • /
    • 1997
  • MDCK 세포를 한국 세포주 은행으로부터 분주 받아 배양한 후 저선량 gamma선 조사에 대한 세포수준에서 방사선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세포 증식능의 변화, Superoxide dismutase(SOD)와 catalase, FOX I의 함량 변화를 측정 검토하였다. 그결과, 저선량의 방사선를 조사했을 때, 세포의 증식능은 방사선 조사후 2시간에서 10 cGy는 $95.1\%$, 50cGy는 $96.4\%$로 대조군보다 약간의 감소가 나타났으나, 24시간 후에서 10cGy는 $96.7\%$, 50cGy는 $73.1\%$로 선량이 증가함에 따라 세포 증식능은 감소하였다. 저선량 조사에 의한 MDCK 세포의 SOD 활성도는 전반적으로 증가하였고, Mn-SOD 활성 역시 증가하였다. 세포 내의 $H_{2}O_2$의 양을 측정한 FOX I에서 선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catalase 효소의 함량은 대조군보다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볼 때 저선량 방사선 조사에 대한 효과는 세포내부의 자체적인 방어기작의 발현으로 인한 결과라고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