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중.노년층 여성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26초

남녀노년층의 의복태도, 의복행동, 쇼핑에 인구 통계적 특성이 미치는 영향 연구

  • Jin, Sook-Hwang
    • 복식
    • /
    • 제37권
    • /
    • pp.5-15
    • /
    • 1998
  • 본 연구의 목적은 노년층 남성과 여성의 인구통계적 특성이 의복태도, 의복행동, 쇼핑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설문지를 통하여 나이 55세 이상의 미국 남부에 거주하는 67명의 남성과 75명의 여성이 자료분석에 이용되었다. 의복 및 쇼핑과 관련된 변수로 의복태도, 유행의사 선도력, 기성복에 대한 만족, 쇼핑관심, 점포충성도가 사용되었으며, 인구통계적 특성은 수입, 결혼여부, 사회참여도, 학력, 나이, 성으로 구성되었다. 결과로 의복태도는 미혼일수록, 사회참여도가 높을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그 수치가 높은 것으로 낱났다. 기성복에 대한 만족은 수입과 학ㄱ력이 높을수록 또 남성이 여성에 비해 만족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쇼핑에 대한 관심의 정도는 결혼여부, 학력, 성과 관련이 있었다. 즉 미혼일수록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남성보다는 여성이 쇼핑에 관심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 유해의사선도력은 오직 성에 의해서만 영향을 받았으며, 점포충성도 역시 학력에 의해서만 영향을 받았다. 남성과 여성 각각의 차이에 대한 분석에서는 남녀에 따라 인구통계적 특성이 의복태도, 의복행동, 쇼핑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게 나타나 남녀간의 차이를 보여주었다. 예로 남성에게 있어 결혼여부는 쇼핑관심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변수이나 여성의 경우 교육수준이 쇼핑관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유통업 종사자들은 노년층 남성 중 미혼자를, 노년층 여성 중 고학력자를 주요 표적으로 삼아 마케팅 전략을 세울 필요가 있다 하겠다.

  • PDF

중·노년층 여성 초심상담자의 상담과 학업스트레스에 관한 질적연구 (Qualitative Research on Counseling and Academic Stress of Novice Elderly Female Counselors)

  • 김진옥;정문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573-586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중 노년층 여성 초심상담자들의 상담과정과 상담학습에 있어서 경험하게 되는 어려움과 관련된 스트레스에 대한 질적 탐색이다. 연구 참여자는 종교기관, 각 상당대학원과 일반대학원에서 상담을 전공하거나 학습하고 있는 중 노년층 여성참여자로서 15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수집에 있어서 연구 참여자들 각 개인에게 먼저 기술을 통한 자료를 획득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2017년 5월부터 8월까지 3개월간에 걸쳐 일대일 개인별 면접을 실시하였다. 자료를 분석을 위해서 CQR을 통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로서 중 노년층의 초심상담자들은 학업과 상담 두 가지 영역에서 각 어려움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업영역에서는 학업적 어려움으로 경험하는 스트레스 증상, 내용, 가중 요인의 세 가지 핵심요인으로 분류되었으며, 상담영역에 있어서는 상담 실제에서의 스트레스가 내담자, 슈퍼비전, 상담자 역량, 사회 환경적 요인의 네 가지 핵심요인으로 구분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중 노년층의 여성 초심 상담자들이 경험하고 있는 스트레스 영역을 구체화하여 중 노년층 여성 초심상담자들이 향후 전문 상담자로서 성장해나가는데 있어서 이들을 교육하는 교육기관에 구체적인 도움이 되는 정보를 제공하였다는데 있다. 이후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안 점을 논의하였다.

노년층을 위한 스마트 재킷의 개발 및 평가 - 미국 여성을 대상으로 - (Development and Analysis of Smart Jacket for the Elderly -Focused on American Women-)

  • 백경자;수잔 애쉬다운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315-325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시판 중인 디바이스를 활용하여 외관에서는 기성복의 스타일을 유지하면서 기능성을 부여한 노년 여성을 위한 스마트 재킷을 개발하였다. 노년기에 접어들면서 시력은 약화되며 효과적인 체온조절도 저하된다. 이에 열과 빛의 기능을 제공하는 연구재킷을 제작하고 노년층 소비자들의 평가를 실시하여 그 수용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재킷에 대한 만족도 평가는 전문가 외관 평가 및 소비자 착용 평가로 실시되었으며 재킷의 피트성, 활동성, 디바이스의 기능성, 수용 가능성 여부 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전반적으로 높은 만족도를 보였으며 노년층에서도 충분히 미적요소와 기능성이 결합된 스마트 의류가 일상복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여전히 스마트 의류의 문제점 중의 하나인 디바이스의 무게를 경량화 할 수 있는 방법이 모색되어야 할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가 노년층을 위한 스마트 의복의 가능성과 만족도 향상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기초 자료가 되기를 바란다.

중.노년층 여성이 경험하는 패션 감성.관계체험이 장기적 관계지향성에 미치는 효과 비교 연구 (A Comparison Study on the Effects of Fashion Emotional and Relationship Experience on Long-Term Relationship Orientation of Middle and Old Aged Women)

  • 서은경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2권9호
    • /
    • pp.1407-1417
    • /
    • 2008
  • This study intended to compare the effects of fashion emotional and relationship experience of middle and old aged women on their long-term relationship orientation. The survey was conducted in September and October in 2006 on 579 middle old aged women whose age varied from 40 to 70 years old, who lived in Seoul and the metropolitan area and had experienced fashion shopping. The SPSS 12.0 was used to do an analysis of frequency,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a multi-regression analysis and Lisrel 8.14 was applied to make a path analysis.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Comparing the two age groups, the most important fact was that fashion related experience had more affective on long-term relationship orientation for old aged than middle aged women. Secondly, the effects of fashion emotional experience of middle and old aged women affected the long-term relationship orientation were the same. This analysis suggested that intensive marketing strategy effort of emotional experience for middle aged women and relational experience for old aged women should be more effective in fashion market.

머신러닝 기반 중노년층의 기능성 위장장애 예측 모델 구현 (Prediction model of peptic ulcer diseases in middle-aged and elderly adults based on machine learning)

  • 이범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4호
    • /
    • pp.289-294
    • /
    • 2020
  • 기능성 위장장애는 Helicobacter pylori 감염 및 비 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의 사용 등의 원인으로 발생하는 소화기 계통 질환이다. 그동안 기능성 위장장애의 위험요인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수행되어졌으나, 한국인에 대한 기능성 위장장애 예측 모델 제시에 대한 연구는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중년 및 노년층을 대상으로 인구학적정보, 비만정보, 혈액정보, 영양성분 정보를 바탕으로 머신러닝을 이용하여 기능성위장장애 예측 모델을 구현하고 평가하는 것이다. 모델생성을 위해 wrapper-based variable selection 메소드와 naive Bayes 알고리즘이 사용되었다. 여성 예측 모델의 분류 정확도는 0.712의 the area under the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s curve(AUC) 값을 나타냈고, 남성에서는 여성보다 낮은 0.674의 AUC값이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후 중년 및 노년층의 위장장애 질환의 예측과 예방에 활용될 수 있다.

중.노년층 여성의 의복추구 이미지 연구 (A Study on Clothing Preference Images of the Middle-Aged and Elderly Women)

  • 김유덕;김미영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746-757
    • /
    • 2004
  • This study was intended to analyze clothing preference images according to the age groups (30's, 40's, 50's and 60's) and to clarify the differences between present clothing preference images and that of the future after 60.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a questionnaire and a total of 482 questionnaires on the age groups ranging from 30s through 60s were used in the analysis. As for the present clothing preference images in accordance with age groups, the younger age groups in the range of 30's and 40's presented higher scores in most of these images. But the older age groups in the 50's and 60's had lower scores in most of these images. On the contrary, the older age groups had higher scores than the younger age groups with respect to similar, mature, magnificent, innocent, plump and virtuous images. As for the future clothing preference images after 60 in the elegant, luxurious, graceful, intellectual, chic, urbane, slimy and sociable images, the age groups in the 30's and 40's presented higher scores than the age groups in the 50's and 60's did. However, with respect to the youth-oriented images such as fashionable, innocent, remarkable, cute and vigorous images, the age group in the 60's had a higher score than the age group in the 30's, 40's and 50's did.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the present clothing preference images and future clothing preference images after 60. The 30's and 40's presented distinctively different clothing preference images in the present and future after 60. Thus, distinct images were pursued in the older age group. The 50s showed closest images to that of the older age group, presenting more conservative inclination in clothing preferences.

고객요구속성을 반영한 중.노년층 니트정장 품질특성 (The Quality Characteristics Based on Customer-required Attributes of Middle and Elderly Women's Formal Knitwear)

  • 이윤미;박재옥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844-855
    • /
    • 2010
  • An important issue for the improvement of product quality is to identify and understand the customer-required attributes of a product. This paper identifies and analyzes customer-required attributes of formal knitwear for middle age and elderly women through the use of the Kano model in order to develop competitive products. Various research methods were used in this study. Customer voices for formal knitwear were collected by means of brainstorming and in-depth interviews. The collected customer voices were transformed into customer-required attributes with the use of an affinity diagram. In addition, the data was collected by means of a questionnaire and was statistically analyzed to examine the dimensions of customer-required attributes on the basis of the Kano model.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ve categories of customer-required attributes were identified (symbolism, aesthetic, fitness, usefulness, and maintenance). The analysis based on the Kano model identifies a strong one-dimensional quality in all of the categories of customer-required attributes and the attractive quality that includes a one-dimensional quality in the categories of fitness and usefulness. The findings of this study demonstrate the applicability of the affinity diagram for apparel that educates formal knitwear developers of the customer-required attributes that they should strategically focus on in order to develop competitive products.

여성패션 체험마케팅이 장기적 관계지향성에 미치는 효과 연구 -중.노년층 여성을 중심으로- (A Study of Effects on Long-Term Relationship Orientation of Women's Experiential Fashion Marketing -Focused on Middle.Old Aged Women-)

  • 서은경;이선재
    • 복식
    • /
    • 제58권3호
    • /
    • pp.34-48
    • /
    • 2008
  • Modern fashion market is being developed by emotional values rather than rational idea of customers. Experiential marketing is an effective marketing strategy for fashion marketplace because customers tend to consider fashion shopping as an enjoyable experience. Among the fashion markets, the fashion stores for middle.old aged women that have various points of contacts could be appropriate place where emotional and relational marketing strategies would be applied to. The effects of the procedure "emotional and relational experience$\rightarrow$commitments$\rightarrow$long-term relationship orientation" that fashion customers are experiencing, by forming a path model, two types of experiential effects from emotion and relation were examined. It was found that fashion emotional and relational experiences were important factors because these factors affected a long-term relationship orientat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provide marketing strategy that enables to promote a consistent relationship between fashion stores and customers. Furthermore,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criteria for segmentation of middle and old aged women's fashion market who have own desire for fashion emotional and relational experience.

중-노년층 여성의 실버타운 개발유형에 대한 태도분석 (Attitudes of the Middle and Old Age about Types of Silver Town)

  • 조성희;강혜경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9권3호
    • /
    • pp.39-48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ttitude of the middle and old age about the elderly housing and the planning elements according to the types of silver town. For this study, a pre-interview and a survey method were used for data collection. A questionnaire survey of 372 women over 45 years old was carried out. Among the data, 321 cases were analyzed by SPSS for Windows V12.0.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1) Regarding the elderly housing, While the couple cohabitation type preferred the existing housing and the general housing, the single habitation type preferred the apartment and silver town. Some people wanted silver town occupancy due to the decrease of children support burden, the other did not want it due to economical burden and the absence of homelike affection. When they move into silver town, they wanted to take money, clothes, and photo album. 2) In silver town development, while the couple cohabitation type preferred the apartment, independent house, the single type preferred the apartment, housing complex and group-home. The unit housing sizes of them were around 82.6 and 49.6 square meters respectively. In the space composition of unit housing, while the couple cohabitation type preferred bath room, kitchen, living room and two of bed room, the single type preferred one of bed room and bath room at least. On the other hand, this study found out that it was possible to plan the space for eating and washing as the common space. 3) According to single or couple, and ag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eferred spatial planning elements, which needs to be reflected in the silver town development. These results can provide improvement guidelines for the development of the silver town with the differentiation of design factors for the silver town planners.

서울, 춘천지역 중·고령자의 부양책임감 변화: 세대효과와 연령효과를 중심으로 (Changes in filial Responsibility Expectation among Middle and Old Aged People in Seoul & Chuncheon Area: Focusing on Cohort Effect and Aging Effect)

  • 김영범
    • 한국노년학
    • /
    • 제29권4호
    • /
    • pp.1413-1425
    • /
    • 2009
  • 본 연구는 서울 및 춘천지역 거주 중·고령자를 대상으로 부양책임감이 나이와 세대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4차에 걸쳐 진행된 한림고령자패널 자료를 대상으로 램덤상수모델을 통해 세대 효과와 연령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실바흐(Sealbach)가 개발한 부양책임감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출생연도 1940년을 기준으로 이전 세대는 식민지·전쟁경험세대로, 이후세대는 산업화 민주화 세대로 구분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식민지·전쟁경험세대는 산업화·민주화 세대에 비해 부양책임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령효과를 살펴보면 일반적인 예상과는 달리 나이와 부양책임감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이지 않는다. 서구의 연구는 노인부양의 어려움에 대한 인식이나 타인을 부양해야 한다는 의무감의 종료 등으로 인해 나아가 많은 노인일수록 부양책임감이 감소한다는 연구 결과를 제시하고 있는데, 이러한 측면이 우리나라에서는 적용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첫째와 둘째 결과에 비추어 볼 때 노인층이 장년층에 비해 부양책임감이 높은 것은 연령효과라기 보다는 세대효과일 가능성이 크다. 셋째, 남성이 여성에 비해, 서울이 춘천에 비해, 면지역 거주자가 동지역 거주자에 비해 부양책임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주관적 건강 상태가 좋을수록, 학력 및 소득이 높을수록 부양책임감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