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중등 과학과 교육과정

Search Result 287,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Development of a Tool for K-12 Science Curriculum Articulation (유아, 초등, 중등 과학교육과정의 연계성 분석을 위한 도구 개발)

  • Paik, Seoung-Hey;Kim, Hyo-Nam;Cho, Boo-kyu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20 no.2
    • /
    • pp.262-273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tool for K-12 science curriculum articulation analysis, especially the concept map of 'properties of matter' and the table of the key concepts of 'properties of matter' by grade. We have 5 steps for the purpose; to extract common subject of K-12 science curriculums, to analyze the contents of K-12 science curriculum related to the common subject, to develop and analyze concept maps of K-12 science curriculums, to develop common concept map and the table of key concepts by grade of K-12 science curriculum, and to modify and clear up the concept map and the table. First two steps are related to the develop of 'water' concept map, and the others are related to the 'properties of matter' concept map.

  • PDF

Suggesting a New Curriculum for K-12 Computer Science Education (현행 초.중등 컴퓨터 교육과정의 문제점 분석 및 개선에 관한 연구)

  • Ko Dea-Sung;Lee Jeong-A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6.05a
    • /
    • pp.821-824
    • /
    • 2006
  • 지식 정보화 사회에서 사회구성원들이 원활히 생활하고 당면한 문제들을 알고리즘적 사고에 바탕에 두고 해결하기 위해서는 컴퓨터교육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현행 초 중등과정에서 컴퓨터 교육과정을 살펴보면, 도구적 관점에서 문맹탈피를 위해 특정한 응용 소프트웨어 사용법을 가르치는 단순한 컴퓨터 소양, 활용교육 중심으로 교육과정이 편성되어 있다. 본 논문에서는 미국의 초 중등과정에서 컴퓨터 교육과정 개발에 관련된 기존 연구를 소개하고, 이를 기반으로 초 중등과정에서 컴퓨터과학 교육과정을 새롭게 제시하고자 한다. 이 새로운 교육과정의 특징은 컴퓨터교육을 도구적 관점이 아닌, 컴퓨터과학의 관점에서 소양, 활용, 과학교육을 포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 PDF

과학 영재 교육과정 구성을 위한 기초 연구

  • 이해명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 /
    • v.9 no.1
    • /
    • pp.37-62
    • /
    • 1999
  • 이 연구는 과학 영재 교육과정 구성을 위한 기초 연구다. 과학자의 생애를 통하여 그들이 어떤 방법으로 학습을 하였고, 어떤 교육을 받았으며, 어떤 환경의 영향을 받았는가를 알아보고, 그 결과를 토대로 과학 영재 교육과정 구성의 방향을 설정해보려는 것이다. 아인슈타인, 하이젠베르크, 슈뢰딩거, 뉴턴, 갈릴레이, 다윈, 빠스뙤르, 파인만 등을 중심으로 초등학교, 중등학교, 대학교에서의 학습내용, 학습-교수 방법, 교육환경 등을 추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학습내용은 초등학교에서는 과학적 기반 형성에 필요한 공통교과, 중등학교에서는 과학적 지식의 축적에 필요한 전공 교과, 대학에서는 과학적 지식의 생산에 필요한 교과가 중심이 된다. 둘째, 교수-학습 방법은 초등학교에서는 관찰, 중등학교에서는 실험과 토론, 그리고 대학의 과정에서는 연구가 중심이 된다. 셋째, 환경적 영향은 초등학교에서는 가정의 영향이, 중등학교에서는 학교의 영향이, 그리고 대학의 과정에서는 사회적 영향이 중심이 된다.

  • PDF

중등 수학 및 컴퓨터과학 교육에서 컴퓨터 교육의 연결성 및 통합성

  • Jeong, Chi-Bong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0
    • /
    • pp.303-324
    • /
    • 2000
  • 수학 교육에서 새로운 정보기술의 교육적 사용의 범위는 커지고 교육 모형은 다양해지고 있다. 특히 중등 수학교육에서의 변화에 대한 기대도 커지고 있다. 본 논문은 미국 및 한국의 수학 교육계의 폭넓은 지지를 받는 NCTM의 컴퓨터 및 정보기술 활용에 관한 규준들의 교육적 의미, 방법, 효용 등을 정리하였다. 이어서 컴퓨터과학 교과과정에 포함된 수학 분야에 대한 컴퓨터과학자 Hamming의 견해를 소개하였다. 본 논문은 한국의 중등 교육에도 컴퓨터과학 교과가 시행될 것을 예정하면서 수학 교사들이 미리 컴퓨터과학을 교과과정을 이해함으로 통합 교과적 요소, 특성 그리고 역할 관계를 알아보았다.

  • PDF

Science teachers and Secondary students' Perception of Pseudoscience (사이비과학에 대한 과학교사와 중등학생의 인식조사)

  • Kang, Kyunglee
    •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 /
    • v.37 no.1
    • /
    • pp.87-116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cience teachers and secondary students' perception of pseudoscience. Subjects were 491 secondary students and 65 science teachers who enrolled in secondary schools located in Korea. The instrument of this study was a questionnaire which consisted of 33 items on 7 domains: fortune and fate, parapsychology, spiritual beings, alternative medicine, UFO and mystery, creationism, and introduction of the pseudoscience concepts in science education. The results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science education programs focused on the pseudoscience for secondary students and science teachers. Media such as television, movie, and books should provide a well-organised scientific programs.

  • PDF

Direction of Computer Science for Computer Education (컴퓨터교육을 위한 컴퓨터과학의 연구방향)

  • 신수범;유인환;이태욱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04b
    • /
    • pp.681-683
    • /
    • 2000
  • 컴퓨터 교육은 다양한 형태로 초.중등 학교 교육에서 확대되어 나가고 있다. 하지만, 초.중등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컴퓨터교육은 무엇을 어떻게 가르쳐야 할지 올바르게 정립되지 않고 있다. 이것은 컴퓨터의 모학문인 컴퓨터과학에서 연구할 필요가 있으며 미국에서도 이와 같은 연구가 계속해서 진행되고 있다. 컴퓨터과학은 정보처리에 관한 원리를 탐구하는 학문으로서 그 응용분양가 빠르게 변하고 있어 교육과정을 확립하는데 여러 가지로 어려움이 따르지만, 다음과 같은 연구 방향은 초.중등학교 컴퓨터교육의 정상화를 꽤하는데 기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첫째, 컴퓨터과학의 기초지식을 명확하게 제시하며, 둘째, 초.중등학교 정보소양 차원에서 필수적인 지식과 기술에 대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하며, 셋째, 전문 교과 교육과정에서 실제 필요한 내용에 대한 조사가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 PDF

A Note on the revise ICT curriculum (초.중등학교정보통신기술교육운영지침의 개정방안)

  • Kim, Chong-Woo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1a
    • /
    • pp.159-166
    • /
    • 2011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and to analyze the contents validity on the unit related in computer of practical arts education text of the 7th national curriculum, to look deep into the problem on contents and to propose the strategy of reformation, to suggest in strategies for development of subject for the 8th national curriculum in our society on current IT-based. And this thesis suggests the revised operating guide of ICT education according to 2009 curriculum and new IT-environment.

  • PDF

A New Computer Education Curricula Considering IT Fluency (IT 숙련의 의미를 새로운 컴퓨터교육 과정)

  • Song, Ki-Sang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8 no.3
    • /
    • pp.9-18
    • /
    • 2005
  • The 7th curricula of computer education as a general subject for secondary schools in Korea has relatively stressed on the application softwares as a learning tools. Such approach might be very successful in terms of ICT literacy education, but it is not enough to teach fundamental concepts and principles of information technologies and computer science and it has also limitation to apply such knowledge to expand students' intellectual capabilities. Therefore, in this paper we first investigates the reason of introducing computer science principle education according to IT fluency and show appropriate direction of computer education curricula for secondary schools.

  • PDF

An Analysis of Science Process Skills for K-12 Science Curriculum Articulation : Focused on the Concept of the State and the State Change of Matter (유치원, 초등, 중등 과학 교재의 연계성을 위한 탐구능력 분석 -물질의 상태 및 상태 변화 개념을 중심으로 -)

  • 백성혜;박진옥;박재원;임명혁;고영미;김효남;조부경
    •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 /
    • v.20 no.1
    • /
    • pp.91-105
    • /
    • 2001
  • This study was to analyze science process skills related to 'state of matter' and 'state change of matter' in the kindergarte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On the base of articulation, we analyzed science textbooks of the 5th kindergarten curriculum, the 6th elementary school science curriculum and the 6th middle school science curriculum. The findings indicated that the scientific inquiry abilities of predicting, classifying, hypothesizing and designing investigations are not enough in all grade science textbooks. Also, while young children have measuring ability theoretically, it was represented only in high grade textbooks. We concluded that these were inappropriate from the viewpoint of articulation which is related to scientific inquiry ability.

  • PDF

Exploring Ways to Improve the First Major Area of the Examination for Appointing Secondary Science Teachers with the Change of Educational Environment (교육환경 변화에 따른 중등 과학교사 임용시험의 1차 전공영역에 대한 개선 방안 탐색)

  • Kwak, Youngsun
    •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 /
    • v.44 no.1
    • /
    • pp.122-132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eacher expertise to be evaluated in the secondary science teacher employment test (TET, hereafter) in order to respond to changes in educational environments including the transition to competency-based curriculum, and ways to improve the first exam in major areas in the current TET. For this purpose, Delphi survey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8 professors of science education who have experience in the TET.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teacher expertise such as subject teaching, student understanding, intelligence information utilization, community competencies, and so on were suggested. Ways to improve science content exam in the TET include securing fairness and validity by increasing the number of questions, strengthening the connection with the secondary school curriculum, updating assessment areas for certificate subjects periodically, etc. Ways to improve science education exam in the TET include research and development on the types of science education questions, introducing essay test to science education exam, development of a standardized curriculum on science education, etc.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necessity of revising the curriculum for teacher training colleges, differentiating curriculum between teachers' colleges and natural science colleges, and reforming the teacher training system by introducing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ere sugg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