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중년 기혼여성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21초

기혼 중년 여성의 박사 과정 수행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Narrative Inquiry Research on the Experience of Married Middle-aged Women)

  • 서현;윤경아;김윤주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35-55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내러티브 탐구를 통해 5명의 직장을 가진 기혼 중년 여성들의 박사 과정 수행 경험에 관한 어려움과 보람에 대해 탐색하였다. 직장을 가진 기혼 중년 여성들의 대학원 수행은 아내, 어머니, 직장인, 학생 등의 다중 역할이 요구됨으로써 더욱 어려움을 동반한다. 연구자는 박사 과정 수행을 경험한 기혼 중년 여성들의 이야기를 수집하고, 이를 '입문 동기, 박사 과정 수행 중의 어려움, 박사 과정수행 중의 보람'이라는 세 가지 범주로 나누어 기술하였다. 입문 동기는 차별에서 오는 부담감, 내적성장에 대한 갈망, 외적 보상에 대한 열망으로 분류하였고, 어려움은 학문적 성장에 대한 어려움, 학문 외적인 어려움, 보람은 학문적 보람과 학문 외적 보람으로 분류하여 박사 과정 수행 경험이 함의하는 의미와 시사점을 알아보는 것에 의의를 두었다. 이는 박사 과정에 다니는 기혼 중년 여성들을 지원하기 위한 구체적인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혼인상태에 따른 중년남녀의 건강행위와 건강상태 (Marital Status, Health Behaviors and Health Status for Middle-Aged Men and Women in Korea)

  • 이윤석
    • 한국인구학
    • /
    • 제35권2호
    • /
    • pp.103-131
    • /
    • 2012
  • 최근 이혼과 미혼이 증가하고 사별이 감소하여서 40대와 50대 혼인상태 분포가 과거보다 훨씬 다양해졌다. 이러한 혼인상태가 건강에 매우 중요한 변수이다. 그러나 한국에서는 중년들의 혼인상태에 따른 건강 차이에 대한 연구가 별로 없는 실정이었다. 본 논문은 2010년 사회조사 자료를 분석하여 중년들의 혼인상태에 따른 건강행위와 건강상태 차이를 살펴보았다. 그런데 많은 연구들이 혼인상태가 미치는 영향은 남녀에 따라 다르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래서 본 연구는 혼인상태가 미치는 영향이 성별에 따라 다른지 확인 한다. 분석결과 대체로 비기혼자들이 기혼자들에 비해 건강에 긍정적인 행위를 덜 했으며 건강에 해가 되는 행위는 더 하는 편이었다. 그리고 비기혼자들이 기혼자에 비해 육체적 건강과 정신적 건강도 더 나빴다. 그런데 성별에 따른 차이를 본 결과 비혼인 상태의 부정적 영향은 남성에게 더욱 심하였다. 이혼한 남성과 사별한 남성은 이혼여성에 비해 건강검진을 덜 받고 있으며 흡연을 더욱 많이 하고 있다. 반면 비혼인 여성들은 몇몇 지표에 있어서는 기혼자들과 별다른 차이가 없기도 했다. 특히나 미혼인 여성들은 삶에 대한 만족도가 다른 비기혼자들은 물론 기혼자들보다 월등히 높은 편이다.

  • PDF

중년기 기혼여성의 자아정체감 및 위기감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go-Identity and Crisis on Quality of Life in Midlife Married Women)

  • 김경신;김정란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105-120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on effects of midlife ego-identity and crisis on quality of life in married women. The data were obtained through 394 midwife married women who live in Kwangju and Chonn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mean scores of ego-identity and quality of life were higher than the medium point. The mean scores of crisis was a little lower than the medium. (2) The ego-identity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religion, health condition, social intimacy, marital relations, and parent-child relations. The crisis was influenced significantly by income, health condition, marital relations, and ego-identity. And the quality of life was influenced significantly by religion, health condition, marital relations, parent-child relations, and crisis. (3) On the result of path analysis, religion, health condition, marital relations, parent-child relations, and crisis directly influenced the Quality of life. Besides, income, social intimacy, and ego-identity indirectly affected the quality of life.

  • PDF

중년기 기혼여성의 사회적지원망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Network on the Life Satisfaction of Married Middle-aged Women)

  • 임효영;김경신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9권12호
    • /
    • pp.189-203
    • /
    • 2001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social support network of married middle-aged women and its effects on the life satisfaction. The data were obtained through 395 middle-aged women living in Kwangju and Chonnam.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1. Married middle-aged women mostly received companionable support and they were intimate with friends and family members of orientation obviously. 2. The life satisfaction of married middle-aged women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emotional support from wife's family members of orientation, contact frequency with husband's family members of orientation, emotional support from their friends and intimacy with wife's family members of orientation.

  • PDF

중년 기혼 여성의 생활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 -고통감내력과 반추의 매개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rried Middle-aged Women's Life Stress and Depression -The Mediating Effects of Distress Tolerance and Rumination-)

  • 김은숙;정은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638-650
    • /
    • 2019
  • 본 연구는 중년 기혼 여성의 생활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고통감내력과 반추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서울과 경기도, 대전 지역의 중년 기혼 여성 328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에는, SPSS와 AMOS를 이용해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구조방정식 등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활스트레스는 반추와 우울에 정적 상관, 고통감내력과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우울은 반추와 정적 상관, 고통감내력과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또한, 고통감내력과 반추도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생활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고통감내력과 반추가 각각 유의미한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셋째, 생활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고통감내력과 반추의 이중매개효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중년 기혼 여성의 생활스트레스, 고통감내력, 반추가 우울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임을 증명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본 연구가 갖는 의의와 제한점, 후속연구에 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고학력 중년 여성의 취업 여부에 따른 영양섭취 실태 비교

  • 최지현;정영진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073-1074
    • /
    • 2003
  • 본 연구는 고학력 중년 여성을 대상으로 취업 여부에 따른 영양섭취 상태의 차이를 분석하여 고학력 중년 여성의 영양 및 건강관리를 위한 대책 마련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행되었다. 연구 대상자의 선정은 유의추출 방법으로 전업 여성은 고학력자 비율이 높은 대전시의 일정 지역에 거주하는 기혼여성으로 하였고, 취업여성은 여러 직업의 특성으로 인한 교란(confounding)을 줄이기 위하여 고학력 여성의 비율이 높은 기혼의 교사로 한정하였다. 연령에 의한 교란을 방지하기 위하여 연령대별로 동일 비율로 무작위 추출하여 전업여성 250명, 취업여성 236명을 대상으로, 24시간 회상법을 이용하여 조사 전일 하루동안의 식이 섭취 내용을 개별 면담으로 조사하였다. 1일 영양소 섭취 조사 결과 취업여성은 전업여성에 비해 인, 비타민 B$_1$, B$_2$를, 전업여성은 취업여성에 비해 지방 및 동물성 지방, 나트륨, 비타민 C, 엽산을 많이 섭취하고 있었다. P/M/S비는 전업여성 1/1.19/1.05, 취업여성 l/l.05/0.87로 나타나 취업여성이 전업여성에 비해서, 그리고 한국인 영양권장량의 기준(1/1/1)에 비해서 포화지방의 비가 낮았다. 또한 지방 에너지 구성비도 전업여성(24.38%)이 취업여성(23.29%)에 비해 높았고, 총 열량에 대한 동물성 지방의 섭취비율이 전업여성 12.44%, 취업여성 11.46%으로 나타나 전업여성이 취업여성에 비해 동물성 지방, 포화지방비, 지방에너지 구성비가 모두 높았다. 영양권장량에 대한 영양소 섭취 백분율에서 전업여성과 취업여성 모두 칼슘과 아연을 권장량에 비해 낮게 섭취하고 있었고, 질적 영양지수(INQ)도 두 군 모두에서 칼슘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인의 영양밀도(Nutrient Density)가 취업주부에서 높았던 점 외에는 영양밀도와 영양소 적정섭취비(NAR) 모두에서 비타민 B$_1$, B$_2$가 전업여성에 비해 취업여성이, 비타민 C가 취업여성에 비해 전업여성이 더 높았다. 한편 두 군 모두 INQ가 가장 높은 영양소는 인이었고, INQ가 가장 낮은 영양소는 칼슘으로 나타났으며, INQ가 1 미만인 영양소는 칼슘과 함께 철분으로 나타났다. 이는 1998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에서 45세 이상 여성의 경우 관절염, 요통.좌골통, 디스크 등 근골격계질환 유병률이 남자보다 3배정도 높게 나타난 결과에 비추어볼 때 이들 관련 영양소에 대한 섭취 방안 지도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고학력 중년 여성중 전업여성에 대해서는 지방 특히 동물성 지방 식품 섭취에 대한 적절한 영양교육과 식사관리 지도가 요구된다 하겠다. 또한 고학력 중년 여성은 취업 여부에 관계없이 칼슘과 철분이 많이 함유된 식품으로 식사량을 증가시켜 주는 영양 지도 및 영양 보강 대책이 요구되며, 칼슘과 인의 적정섭취비가 되도록 인의 섭취를 낮추는 식생활 지도가 필요하다.

  • PDF

중년기여성의 삶의 기대, 마음챙김, 사회적 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ife Satisfaction Expectancy, Mindfulness and Social Support on Depression of the Marital Middle-aged Women)

  • 이희연;전혜성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7호
    • /
    • pp.275-284
    • /
    • 2011
  • 본 연구는 중년기 여성의 우울을 감소시키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삶의 기대, 마음챙김, 사회적 지지의 영향력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하여 1개의 원격대학에서 2009년 3월에서 6월까지 중년기 기혼여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는 총 182부이며 SPSS 15.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t-test 및 ANOVA 분석, Pearson 상관관계,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삶의 기대(p<.001), 사회적 지지(p<.05)가 중년기여성의 우울에 유의미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즉, 우울수준이 높아지고, 삶의 기대가 높을수록, 사회적지지가 높을수록 우울수준이 낮았다. 한면, 마음챙김 변인은 우울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중년기 여성의 우울 감소를 위한 실천적인 개입방법에 대한 제언과 가족내 중년기 여성들의 정신건강 증진이 가족전체에 미칠 긍정적인 영향을 제언하였다.

중년 기혼여성의 용서수준 탐색 (Exploration of Forgiveness Ability in Middle-aged Married Women)

  • 최미옥;오윤자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5권10호
    • /
    • pp.113-126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egree of forgiveness exercised by middle-aged married women. The subjects of the research were 345 married women selected randomly among inhabitants of Seoul. A research questionnaire was employed to gather information. The study results revealed four major patterns. First, they felt hurt by those to whom they were connected continuously in daily life, such as friends, colleagues, siblings, spouses. Second, the respondents stated that they would be very badly hurt and deeply wounded as a result of a hateful speech or suffering experience caused by people of immediate relations. Third, among the three sub-areas of forgiveness, forgiveness in cognitive category was the highest, followed by behavioral and emotional categories. Fourth, as far as the surrounding variables regarding the degree of forgiveness was concerned, physical health and happiness of the family were important while their age, gender, religion, economic levels, experience of forgiving others didn't make a difference at all.

중년 기혼여성이 지각하는 원가족 부모의 양육태도와 부부친밀감과의 관계에서 부부의사소통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marital communic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attitude and marital intimacy of middle-aged married women)

  • 김희정;김용수
    • 한국가족관계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41-62
    • /
    • 2017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attitudes and martial intimacy and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marital communication in order to provide effective help to improve marital intimacy of middle-aged married women who have difficulty in marital relationship. Metho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29 married women aged 40-59. Statistical analysis of this study was performed using the SPSS 18.0 program.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earson 's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attitude, marital intimacy, and marital communication and the resul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the three - step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proposed by Baron and Kenny (1986)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marital communic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attitudes and marital intimacy, it was confirmed that marital communication was partially mediated between parenting attitudes and marital intimacy. Conclus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was confirmed that marital communication was partially mediated between parenting attitudes and marital intimacy.

중년여성의 일상생활 스트레스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우울감의 매개효과 검증 (The Effect of Daily Stress on Happiness of Middle-aged Women: Verification of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 최미연;고정훈
    • 산업융합연구
    • /
    • 제22권5호
    • /
    • pp.49-56
    • /
    • 2024
  • 본 연구는 중년여성의 일상생활 스트레스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과 우울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중년여성의 일상생활 스트레스와 우울감을 감소시키고 행복감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분석을 위해 한국여성정책연구원에서 조사한 여성가족패널 8차 조사를 활용하였다. 표본은 만 55세 이상~ 만 64세 기혼 중년여성 1,673명을 대상으로, SPSS WIN 25.0을 활용하였다. 분석방법은 빈도⋅기술통계⋅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Baron & Kenny의 분석방법을 통해 우울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년여성의 일상생활 스트레스는 행복감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중년여성의 일상생활 스트레스와 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우울감은 부분 매개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중년여성의 행복감을 증진시켜 이후 노년기까지 이어질 수 있는 실천적⋅정책적 방안과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