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Narrative Inquiry Research on the Experience of Married Middle-aged Women

기혼 중년 여성의 박사 과정 수행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서현 (조선대학교 교육학과) ;
  • 윤경아 (조선대학교 교육학과) ;
  • 김윤주 (동신대학교 아동영어교육학과)
  • Received : 2019.04.30
  • Accepted : 2019.06.12
  • Published : 2019.06.30

Abstract

Objective: In this study, I explored the difficulties and rewards of the experience of married middle-aged five women with jobs through narrative inquiry. The graduate course work of married women with jobs is accompanied by more difficulties due to the multiple roles of wife, mother, worker, and student. Methods: Data from this study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It took 15 weeks from September 1, 2017 to December 20, 2017. Six in - 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each of the five participants, and 60 to 120 minutes were required for one meeting. Results: The researchers gathered stories of married middle-aged women who had undergone doctoral studies and divided them into three categories: 'motivation for entry, difficulty during doctoral study, and rewarding during doctoral study'. Conclusion/Implications: This is expected to be a concrete resource for supporting married middle-aged women in doctoral programs.

본 연구에서는 내러티브 탐구를 통해 5명의 직장을 가진 기혼 중년 여성들의 박사 과정 수행 경험에 관한 어려움과 보람에 대해 탐색하였다. 직장을 가진 기혼 중년 여성들의 대학원 수행은 아내, 어머니, 직장인, 학생 등의 다중 역할이 요구됨으로써 더욱 어려움을 동반한다. 연구자는 박사 과정 수행을 경험한 기혼 중년 여성들의 이야기를 수집하고, 이를 '입문 동기, 박사 과정 수행 중의 어려움, 박사 과정수행 중의 보람'이라는 세 가지 범주로 나누어 기술하였다. 입문 동기는 차별에서 오는 부담감, 내적성장에 대한 갈망, 외적 보상에 대한 열망으로 분류하였고, 어려움은 학문적 성장에 대한 어려움, 학문 외적인 어려움, 보람은 학문적 보람과 학문 외적 보람으로 분류하여 박사 과정 수행 경험이 함의하는 의미와 시사점을 알아보는 것에 의의를 두었다. 이는 박사 과정에 다니는 기혼 중년 여성들을 지원하기 위한 구체적인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설화(2012). 기혼여성이 느끼는 대학원생활의 의미와 갈등.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고범석(2013). 주부의 상담대학원 진학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교육과학기술부(2012. 9. 12). 2012년 교육기본통계 조사결과 발표. 보도자료, p.13.
  4. 권귀염(2018).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교육과 유아교사의 역할.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4), 47-72.
  5. 김미량, 이동현(2014). 중년여성의 규칙적인 운동 참여와 건강상태지각에 따른 건강증진행동 및 행복의 차이. 한국체육학회지, 53(2), 175-186.
  6. 김성현(2017). 내러티브 탐구를 활용한 사회참여미술 지도방안 연구: 고등학교 미술 수업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은하, 임연옥, 박경숙, 김남영(2008). 기혼여자 대학원생의 다중역할 수행 경험과정. 성인간호학회지, 20(1), 113-125.
  8. 김효선(2013) 신규 여성 박사들의 경력개발에 관한 탐색적 연구: 교육계열 전공자를 중심으로. 디지털융복합연구, 11(12), 685-696. doi:10.14400/jdpm.2013.11.12.685
  9. 노상우, 안동순(2012). 학문융합 관점에서 본 현대 교육의 이론적-실천적 변화 모색. 교육종합연구, 10(1), 67-88.
  10. 박주희(2003). 동아시아 기혼여자대학원생들과 미국 기혼여자대학원생들의 가족 및 직업역할 만족도와 긴장도: 동아시아의 기혼여자 대학원생들의 성역할 재사회화에 관련하여. 대한가정학회지, 41(6), 29-45.
  11. 서봉언, 박명희, 김경식(2014). 직무일치 임금 및 업무만족이 직장만족에 미치는 영향: 최종학력 집단 차이를 중심으로. 교육학논총, 35(1), 1-18.
  12. 서정원(2015). 엄마대학원생의 학업-육아 양립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여성연구, 89(2), 83-118. https://doi.org/10.33949/TWS.2015.89.2.003
  13. 안은미, 허정무(2015). 중년여성의 평생학습 참여가 주관적인 삶의 질 인식에 미치는 영향. 노년교육연구, 1(1), 91-111.
  14. 이경민(2017). 새로운 시대 인재상의 유아교육적 함의: 4차 산업혁명시대와 행복교육에서 추구하는 역량의 담론을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 37(3), 137-156. doi:10.18023/kjece.2017.37.3.007
  15. 이동훈, 원지영, 이영순(2010). 여교사의 대학원 재학유무가 양육스트레스 및 부부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상담학연구, 11(1), 355-374. doi:10.15703/kjc.11.1.201003.355
  16. 이선영(2017).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교육심리학. 한국교육학연구, 23(1), 231-260.
  17. 이성은, 이상돈, 백종면(2016). 등록금 조달방법과 근로시간, 학습시간, 학업성취도 관계 분석. 한국교육문제연구, 34(2), 1-25.
  18. 이한아, 유영미(2019). 보육교사의 우울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보육학회지, 19(1), 1-13. doi:10.21213/kjcec.2019.19.1.1
  19. 조경원(2006). 젠더와 교육: 무엇이 문제인가. 여성연구논집, 17, 29-62.
  20. 조남희, 성춘희(2016). 중년여성과 중년남성의 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융합학회논문지, 7(6), 89-97. doi:10.15207/jkcs.2016.7.6.089
  21. 최성광(2014). 박사과정을 수행하는 초등학교 30대 남교사들이 갖는 이상과 현실의 딜레마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교육인류학연구, 17(1), 197-232. doi:10.17318/jae.2014.17.1.005
  22. 허은하, 김상림(2019). 유아교사의 교사전문성과 직무만족도가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19(1), 145-157. doi:10.21213/kjcec.2019.19.1.145
  23. Clandinin, D. J. (2011). 내러티브 탐구를 위한 연구 방법론(강현석 외 역). 파주: 교육과학사(2011 원저 발간).
  24. Czarniawska, B. (2004). Narratives in social science research. London: Thousand Oaks, CA.
  25. Lincoln, Y. S., & Guba, E. G. (1985). Naturalistic inquiry. Beverly Hills, CA.
  26. OECD. (2012). Education at a Glance 2012. Paris.
  27. Spradley, J. P. (1980). Participant observation. New York: Holt, Rinehart & Winst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