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중금속 이동도

Search Result 240,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Deposition of Heavy Metals on Wood Leaves in Ulsan (울산지역 나뭇잎에서의 중금속 침적도 분석연구)

  • 고일하;황혜진;이병규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0.11a
    • /
    • pp.334-335
    • /
    • 2000
  • 울산지역의 고정배출 및 이동배출원과 같은 각종 배출원에서 발생되는 대기오염물은 건물, 도로, 토양 각종 식물 및 수목, 강, 호수, 바다 등과 같은 아주 다양한 수용체로 침적되고 있다. 최근의 연구에 의하면 울산지역은 대단위 산업공단을 가지고 있는 대형산업도시이므로 대기중의 중금속 농도는 타 지역에 비하여 매우 높고 상당한 정도의 산성비도 내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울산지역의 수목의 잎에 침적되어 있는 중금속을 산성비수준의 pH로 조절한 산성용액으로 용출하여 그 성분을 분석하여 각종 대기 오염물이 나무를 비롯한 식물에 침적되는 정도를 각 특성지역별로 비교ㆍ분석하였다. (중략)

  • PDF

Study of Atmospheric Dry Deposition Fluxes of Heavy Metals (대기 중 입자상 중금속의 건식 침적량에 관한 연구)

  • 윤희정;이승묵;김용표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1.11a
    • /
    • pp.111-112
    • /
    • 2001
  • 대기로부터 침적된 물질로 인해 토양오염과 수질오염 현상이 심화될 뿐만 아니라 환경 생태계도 영향을 받는다는 것이 밝혀지면서 대기 침적 현상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침적은 대기 중의 여러 미량 물질들이 환경계에 미치는 영향과 그들의 이동을 조절하는 중요한 기작 중 하나이다. 중금속은 가장 오래전부터 알려진 독성물질로서, 약 30가지 금속이 사람에게 독성을 발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그 중 일부 중금속은 발암성을 가지고 있다. (중략)

  • PDF

덕음광산 광미의 심도별 고상시료에 대한 광물학적 연구

  • 문용희;문희수;박영석;송윤구;문지원
    • Proceedings of the KSEEG Conference
    • /
    • 2003.04a
    • /
    • pp.245-248
    • /
    • 2003
  • 현재까지 폐석 및 광미의 환경적 영향에 대한 많은 연구들은 중금속원소 등의 총 농도 분석 및 화학용매를 이용한 부분추출을 통해 중금속의 존재형태를 규명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하지만 대부분 지표환경에 제한되어 중금속 원소들의 오염원으로서의 잠재성, 즉 심도별 중감속원소 함유 광물의 pH 및 산화ㆍ환원 조건변화에 따른 용해도 특성과 이동성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에는 미흡하다. (중략)

  • PDF

Estimation of Cadmium, Copper, Lead Mobility in Column Packed with Furnace Slag (제강슬래그로 충전된 컬럼에서의 카드뮴, 구리, 납의 이동성 평가)

  • Lee, Gwang-Hun;Chung, Jae-Shik;Nam, Kyoung-Phile;Park, Jun-Boum
    •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 /
    • v.13 no.4
    • /
    • pp.54-61
    • /
    • 2008
  • Permeable reactive barriers (PRBs) technology has been focused in contaminated groundwater remediation. It is necessary to select adequate reactive material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contaminant in groundwater. In this research, the reaction between reactive material and heavy metal contaminants was estimated through column test. Reactive material was slag, which has been produced in Gwangyang power plant, and heavy metal contaminants were cadmium, lead and copper. Column test was performed in the condition of 1) single and multi contaminated solution and 2) different initial concentration of cadmium. Retardation factor of cadmium is 3.94 in multi contamination. But that of copper is 40.3 in single and 25 in multi. The difference of retardation between cadmium and copper is due to affinity, resulted from the difference of electronegativity. In multi-contamination, copper effluent concentration was above initial copper concentration and at the same time lead effluent concentration was decreased. This phenomenon was considered that lead extract copper sorbed in slag and then lead was sorbed to the vacant sorption site instead. And as the initial concentration was increased, the retardation factor of cadmium became decreased.

상이한 삼림생태계에서의 토층분화 특성과 변화에 따른 수분 이동 특성

  • 정덕영;오종민;진연호;손요한;주영특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1998.06a
    • /
    • pp.69-73
    • /
    • 1998
  • 경기도 퇴촌에 위치한 경희대학교 연습림내의 경사도와 수종을 달리하는 3개의 서로 다른 임반에서 등고선을 따라 지표면의 토층분화를 조사하였고 이에 따른 수분침투특성을 조사하였다. 3개의 임반은 낙엽송, 잣나무 및 굴참나무의 천연활엽수로 구성되었고 이에 구성 수종에 따라 지표면에 퇴적되는 O, A, B층의 깊이를 달리한다. 토층분화 길이는 3개 임반 모두 경사도가 낮은 하부사면에서 양호하게 발달하였으며 경사도가 높은 산사면이나 수간우가 많은 일부 지역에서는 유거수에 의해 유기물이나 표층토가 유실되어 바로 암반층 또는 풍화층이 나타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잣나무 임반의 경우 밀식 수간에 의해 유기물퇴적층과 A층의 발달이 다른 낙엽송이나 굴참나무 임반보다 토층 발달 깊이가 약 2배 이상으로 깊게 발달되었다. 그리고 조사된 임반의 하부사면의 경우 A층의 발달이 약 35cm부터 약 60cm에 이르고 있으나 토성을 구성하는 요소 중 직경 2mm 이상의 자갈에 토양입자들이 전체 토양의 40%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토층분화 특성을 달리하는 임반에서의 수분 이동특성은 퇴적된 유기물의 두께가 깊으면 깊을수록 수분침투율은 낮아지는 반면 포면 유거수량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지표면, 유기물 퇴적층 아래, 지표면으로부터 30cm 아래에 설치된 Lysimeter를 이용하여 조사된 침출수의 분포는 전체를 100으로 환산시 지표면은 약 55%, 유기물퇴적층 아래는 30%, 그라고 30cm의 위치에서는 나머지 15%정도의 침출수가 포집되었다. 따라서 본 실험의 결과를 살펴보았을 때 지표 층에 존재하는 유기물이 전체 수분이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양 실험 결과, 서식지에서 조사된 결과인 잎과 줄기에서 Pb$\alpha$ 추정시에는 SeaWiFS 위성과 관련된 global algorithms 중에서 490nm와 555nm의 복합밴드를 포함하는 OC2 알고리즘(ocean color chlorophyll 2 algorithm)을 사용하는 것이 OC2 series 및 OC4 알고리즘보다 좋은 추정 값을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환경에서는 5일에서 7월에 주로 이 충체의 유충이 발육되고 전파되는 것으로 추측되었다.러 가지 방법들을 적극 적용하여 금후 검토해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잡은 전혀 삭과가 형성되지 않았다. 이 결과는 종간 교잡종을 자방친으로 하고 그 자방친의 화분친을 사용할 때만 교잡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여교잡을 통한 종간잡종 품종육성 활용방안을 금후 적극 확대 검토해야 할 것이다하였다.함을 보이고 있다.X> , ZnCl$_{3}$$^{-}$같은

  • PDF

청양중석광산 주변 토양의 중금속 오염 및 황화광물의 산화작용 연구

  • 이평구;강민주;최상훈
    • Proceedings of the KSEEG Conference
    • /
    • 2003.04a
    • /
    • pp.48-52
    • /
    • 2003
  • 폐광된 금속광산의 폐광석 적치장, 선광시설, 광미장 등에는 폐광석과 황화광물의 분말이 그대로 방치되어 있어, 풍화작용에 기인된 황화광물의 산화과정에서 용해된 유해 중금속의 이동과 확산이 심각한 중금속 오염문제를 발생시키고 있다 그러므로, 황화광물의 산화작용에 의해 형성된 2차 광물에 대한 광물학적 연구는 유해 중금속의 물리$\cdot$화학적인 거동, 오염물질의 확산 등을 규제하고 있는 지구화학적 메카니즘 규명에 매우 중요한 자료가 되며, 폐광석 및 광미에 대한 복원 결정을 내리는데 있어 결정적인 판단 자료가 될 수 있다 (강민주, 2003). (중략)

  • PDF

Sequential Extraction of Heavy Metals in the Vicinity of the Oksung Cu-Zn Mine (옥성(玉城) 동(銅)-아연(亞鉛) 광산(鑛山) 주변(周邊) 토양중(土壤中) 중금속(重金屬)의 형태별(形態別) 함량(含量))

  • Cho, Jae-Young;Kim, Euen-Hyuk;Han, Kang-Wan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
    • v.33 no.6
    • /
    • pp.446-452
    • /
    • 200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ine activity on paddy fields, agricultural water, and plants in the ruined Oksung Cu-Zn mine area. Soil samples collected from paddy fields adjacent to the Cu-Zn mine sites were sequentially extracted and determined the contents of heavy metals such as Cd, Zn, Cu, Pb, Cr and Ni. Distribution of exchangeable heavy metals in soils was 30.2% of Cd, 11.3% of Zn, 2.2% of Cu, 4.6% of Cr, 0.6% of Pb and 3.9% of Ni. Water soluble heavy metals were only detected with Zn. The contents of heavy metals in water collected from the mine were 0.01 of Cd, 27.35 of Zn, 4.86 of Cu, 1.04 of Pb, 0.03 of Cr and $0.08mg\;L^{-1}$ of Ni. while the contents in waler collected out of the mine were 16.67 of Zn, 0.59 of Cu, 0.49 of Pb, 0.05 of Cr and $0.06mg\;L^{-1}$ of Ni. On the other hand, agricultural water near mine area were 1.26 of Zn, 0.05 of Cu, 0.05 of Pb and $0.02mg\;L^{-1}$ of Ni. Both Cd and Cr were not detected in the agricultural water.

  • PDF

Effect of Calcium Chloride and Sodium Chloride on the Leaching Behavior of Heavy Metals in Roadside Sediments (염화칼슘과 소금이 도로변 퇴적물의 중금속 용출에 미치는 영향)

  • Lee Pyeong koo;Yu Youn hee;Yun Sung taek
    •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 /
    • v.9 no.4
    • /
    • pp.15-23
    • /
    • 2004
  • Deicer operations provide traffic safety during winter driving conditions in urban areas. Using large quantities of de-icing chemicals (i.e., $CaCl_2$ and NaCl) can cause serious environmental problems and may change behaviors of heavy metals in roadside sediments, resulting in an increase in mobilization of heavy metals due to complexation of heavy metals with chloride ions. To examine effect of de-icing salt concentration on the leaching behaviors and mobility of heavy metals (cadmium, zinc, copper, lead, arsenic, nickel, chromium, cobalt, manganese, and iron), leaching experiments were conducted on roadside sediments collected from Seoul city using de-icing salt solutions having various concentrations (0.01-5.0M). Results indicate that zinc, copper, and manganese in roadside sediments were easily mobilized, whereas chromium and cobalt remain strongly fixed. The zinc, copper and manganese concentrations measured in the leaching experiments were relatively high. De-icing salts can cause a decrease in partitioning between adsorbed (or precipitated) and dissolved metals, resulting in an increase in concentrations of dissolved metals in salt laden snowmelt. As a result, run-off water quality can be degraded. The de-icing salt applied on the road surface also lead to infiltration and contamination of heavy metal to groundwater.

The Characteristics of Heavy Metal Contamination in Tailings and Soils in the Vicinity of the Palbong Mine, Korea (팔봉광산 선광광미와 주변토양의 중금속 오염 특성)

  • 이영엽;정재일;권영호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34 no.3
    • /
    • pp.271-281
    • /
    • 2001
  • The characteristics of the heavy metal contamination in the soils affected by the tailings of the Palbong mine have been studied. The soils in the studied area consist mostly of loam by the particle size analysis, but a little of it, located near the stream, consist of loamy sand to sandy loam, finally to loam downward. The organic contents of soils are significantly low aoom 2 percent and the pH is in acidic ranging 6.0 $\pm$ 0.1. The samples of the parent rocks, the normal soils, the tailings and the channel deposits from the studied area were chemically analysed. From the result, the heavy metal concenlration of the soils is a little Jow compared with that of the parent rocks, shows the hydrologic process of the surface and the groundwater. The contamination of the tailings from the ore mining are high in lead, copper and arsenic. In the channel deposits the concenlrations of lead and copper are abnormally high but that of arsenic is uniquely low. And most of heavy metal contamination are decreased with the distance from the mine. It is caused by the properties of the surface and the ground water during the process of the heavy metal migration. The correlation-coefficient between sand and silt contents and the concentrations of Cd, Cu and Pb are significant but the amounts of As and Hg are increased with the clay contents. The dispersion of the heavy metals with the distance shows that the concentrations of them in the soils sampled at distance of 100 m to 200 m along the stream started near the Palbong mine are extremely high compared with those from other distances. These discrepancies are significant in Cd, Cu, Pb and Hg, but low in As. All the samples contain below detection limit of Cr+6 In the present stream water the concentrations of the heavy metals are not detected. So, it is interpreted that the concentrations in the soils are caused by the activities of the mining during the operation and have been continued by the dispersion from the tailings since after the closure of the mining, especially by the surface and ground water. The concentrations are diminished with the distance from the mining site, but in the interval of 800-2000 m increases abruptly. In the soil samples counted on the dispersion direction by wind, the lowering of the concentration is relatively uniform with the distance from the mining site. So, the rapid increase of the heavy metal concentrations is presumed to have been caused by the ground-water movement. In the migration of the heavy metals, the groundwater conditions, such as pH, Eh, the contents of colloidal particles, and Mn and Fe oxides are closely involveo. Integrating with these factors, it is interpreted that the groundwater conditions which have caused the heavy metal contamination of the studied area are those that the pH is about 3 in oxidized conditions, the contents of the colloidal particles are low, and Mn and Fe oxides are not involved in the migration of the heavy metals. Meanwhile, the vegetables growing on the soils in the studied area are not affected by the contamination of the heavy metals.

  • PDF

Environmental Pollution and Geochemical Behavior of Heavy Metals in Roadside soil and Settling Particles from Retention Pond, A-71 Motorway, France (프랑스 A-71 고속도로변 토양과 부유퇴적물의 중금속의 지화학적 거동과 오염 연구)

  • 이평구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1997.05a
    • /
    • pp.30-38
    • /
    • 1997
  • 고속도로변에 설치된 retention pond는 drainage system의 일부분으로 우기에 빗물의 양을 조절하고 고속도로 노면에서 운반되어 retention pond에 유입된 오염된 입자를 침전, 제거시키기 위해 설치되었다. 빗물에 입자상태로 이동된 납, 아연, 카드뮴를 제거하기 위해 설치된 retention pond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수리지질학적 연구 및 부유퇴적물의 물리화학적 특징을 규명하기 위한 연구가 수행되었다. 부유퇴적물과 비교하기 위해 심하게 오염된 roadside soil과 오염되지 않은 background soil에 대해서도 연구가 수행되었다. 부유퇴적물의 중금속함량은 background Sologne soil에 비해 원소에 따라 2-8배 높다. 그러나, roadside soil의 중금속함량은 부유퇴적물에 비해 7-26배 높다. Sequential extraction methods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심하게 오염된 roadside soil에 존재하는 납, 아연, 카드뮴은 대부분 쉽게 용해될 수 있는 상태 (Fraction FII, FIII)로 존재하며 반면에 규산염광물과 수반되는 금속함량의 비율은 매우 낮다. 부유퇴적물에서는 규산염광물과 수반되는 금속함량이 전체 금속함량의 1/3까지 크게 증가한다. Roadside soil 과 부유퇴적물사이의 중금속함량 차이가 매우 큰 것은 중금속의 대부분이 retention pond에 이르기 전에 고속도로변과 배수로 일부에 축적되어 모두 상실하기 때문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