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중금속 독성

검색결과 345건 처리시간 0.028초

우리나라 패류의 계절에 따른 중금속 오염도 변화

  • 김정민;권훈정;김찬국;이창복
    • 한국독성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독성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86-86
    • /
    • 2003
  • 국내에서 식용되고 있는 패류 내의 중금속 오염도를 검색하기 위하여 5, 6, 7, 8, 10, 12월 동안 12종, 70개의 시료를 수집하였다. 젖은 시료 약 3g에 질산과 과산화수소를 가하여 마이크로파 분해 장치로 습식분해하고 희석하여 ICP-MS, 원자흡광 광도계, 원자 형광 광도계로 분석 하였다. 분석 원소는 Hg, Pb, Cd, As를 포함하여 13종이며 계절에 따른 중금속 오염도의 변화양상을 보았다. (중략)

  • PDF

대기 중 입자상 중금속의 건식 침적량에 관한 연구 (Study of Atmospheric Dry Deposition Fluxes of Heavy Metals)

  • 윤희정;이승묵;김용표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11-112
    • /
    • 2001
  • 대기로부터 침적된 물질로 인해 토양오염과 수질오염 현상이 심화될 뿐만 아니라 환경 생태계도 영향을 받는다는 것이 밝혀지면서 대기 침적 현상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침적은 대기 중의 여러 미량 물질들이 환경계에 미치는 영향과 그들의 이동을 조절하는 중요한 기작 중 하나이다. 중금속은 가장 오래전부터 알려진 독성물질로서, 약 30가지 금속이 사람에게 독성을 발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그 중 일부 중금속은 발암성을 가지고 있다. (중략)

  • PDF

중금속에 의한 대장균 성장 저해의 정량적 평가 (Quantification of Inhibitory Impact of Heavy Metals on the Growth of Escherichia coli)

  • 조경숙;구소연;김지영;류희욱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341-346
    • /
    • 2004
  • Escherichia coli의 생장을 저해하는 중금속(Cu, Cd, Cr, Hg, Zn) 영향을 정량적으로 조사하였고, 중금속 독성에 대한 적응과정에서의 독성변화를 노출시간대별로 평가하였다. 중금속에 의한 E. coli의 생장저해 작용은 중금속의 종류에 따라 다른 동향을 보였고, 생장을 완전 저해하는 중금속의 농도는 각각 Cu 3.5mM, Zn 2.5mM, Cd 1.5mM, Cr 1.2mM, Hg 0.12mM 이었다. $EC_{50}$을 기준으로 한 E. coli의 중금속에 대한 내성은 Cu > Zn > Cr > Cd > Hg 순이다. 노출 시간에 따른 $EC_{50}$의 변화를 plotting하여 그 기울기에 따라 피시험체의 독성물질에 대한 적응성 평가가 가능함을 보였다. 기울기 값이 작은 경우에는 피검사체가 독성물질에 대한 적응성이 약하고, 기울기 값이 크면 클수록 피시험체가 독성물질에 대한 적응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E. coli의 독성물질인 중금속에 대한 적응성은 Zn > Cd > Cu >> Cr > Hg 순 이었다.

야생동물(조류)에 대한 중금속 독성평가

  • 이두표
    • 한국환경독성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독성학회 2001년도 춘계심포지움 및 학술발표회
    • /
    • pp.26-35
    • /
    • 2001
  • 화석연료의 덕택에 세계 경제는 20세기에 들어서면서부터 눈부신 성장을 거듭하여 왔으며 절정에 달했던 1980년대의 경제생산 증가분은 인류문명의 시작 후 1950년까지 수 천년 동안의 경제생산 증가분을 능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한편으로 이처럼 급속한 경제성장을 이룩하는 과정에서 중금속을 포함하는 다종 다량의 오염물질이 환경 중에 무제한 투입되어 환경오염을 야기시켜 왔으며, 그 결과 선진 공업국을 필두로 하여 세계 각 지역에서는 사람을 포함한 야생생물들이 생존까지 위협받을 정도에 이르렀다. (중략)

  • PDF

Daphnia magna 및 Ceriodaphnia dubia 에 대한 As과 Se의 급성, 그리고 번식독성

  • 류성민;조화진;박정규;황인영
    • 한국환경독성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독성학회 2002년도 추계국제학술대회
    • /
    • pp.158-158
    • /
    • 2002
  • 최근 들어, 일반적으로 알려진 중금속 외에 As 및 Se의 생래독성(예를 들면, 어류 및 양서류의 번식독성)이 많은 연구자나 환경관리자들의 관심대상으로 부각되고있다. 상수원 보호구역내 위치하는 하천이나 호소 인근에 As이나 Se의 오염원이 분포되어 있는 경우, 수서 생태계뿐만 아니라 인체의 건강에 큰 위협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하천수나 하상 퇴적토의 잠재적 오염 물질인수 종의 중금속에 대한 급성독성과, As 및 Se의 급성, 그리고 번식 독성을 수서곤충을 이용하여 측정하고 이를 상호 비교하였다. 본 실험에 적용된 생물은 생활사가 짧고 배양이 용이하며, 번식력이 높은 물벼룩 (Daphnia magna)과 소형물벼룩 (Ceriodaphia dubia)이었다.

  • PDF

잔류중금속에 대한 고찰

  • 이문한
    • 월간 양돈
    • /
    • 제12권9호통권133호
    • /
    • pp.140-143
    • /
    • 1990
  • 중금속이란 비중이4.0이상인 금속류로서 독성을 가진 것이나, 사람이나 가축에 대하여 노출될 가능성이 큰것은 비소.카드뮴.납.수은.주석.아연.철.구리.셀레늄 등 10여종에 이른다 이와같은 중금속에 의한 중독은 대체로 중금속이 함유된 공산품을 취급하는 근로자들의 직업병으로는 흔히 보고되어 있으나, 식품중에 잔류하는 중독은 이따이 이따이 병등이 보고되어 있다.

  • PDF

Photobacterium phosphoreum의 중금속에 대한 반응성 (Response of Photobacterium phosphoreum to Heavy Metal)

  • 정계훈;김현숙;이은수;정성제;이정건;김은기;전억한
    • KSBB Journal
    • /
    • 제14권3호
    • /
    • pp.342-350
    • /
    • 1999
  • P. phosphoreum을 이용하여 연속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free cell과 고정화 세포의 중금속 물질에 대한 반응을 일차로 조사하였다. 고정화 물질로는 절차가 비교적 간단하고 bioluminescence 투과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 sodium algmate를 사용하였다. Alginate는 발광미생물의 빛 발생 대사를 저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bioluminescence의 투과성이 탁월하였다. 중금속 물질 중에서 $HgCl_2$, $CdCl_2$, $MnSO_4$, $ZnSO_4$를 선택하여 free cell과 alginate 혼합 세포 및 strontium alginate에 고정화한 세포에 노출시켜 반응을 조사하였으며, 또한 독성 및 strontium alginate에 고정화한 gel을 disc type으로 제조하여 중금속 물질에 대한 bioluminescence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Free cell과 disc type의 세포가 alginate 혼합세포 및 strontium alginate로 고정화한 세포에 비해서 비교적 민감한 반응을 보였으며 중금속 물질의 농도에 대하여 bioluminescence intensity의 감소율이 비례하여 나타났다. 특히, 고정화 세포인경우 free cell 보다 중금속의 mass transfer에 미치는 영향 때문에 민감성은 떨어지지만 모두 linear regression curve를 나타내었다. Disc type의 경우 alginate에 혼합한 세포와 strontium alginate로 고정화한 세포보다 민감한 반응을 보인 것은 중금속에 노출된 면적이 넓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독성물질에 대한 반응분석을 위하여 Gamma value로부터 $EC_{50}$을 계산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각 중금속 물질의 농도와 P. phosphoreum의 bioluminescence intensity와의 상관관계 및 각 중금속 물질의 독성정도를 산출하였다. $EC_{50}$값을 이용하여 독성정도를 볼 때 4가지 type 모두 $HgCl_2$가 가장 독성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때 P. phosphoreum을 고정화 할 경우 bioluminescence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을 뿐만 아니라 bioluminescence의 안정성에도 기여하기 때문에 모니터링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다. 특히 disc type의 고정화 제재는 free cell과 동등한 민감도를 나타내었기 때문에 빛 안정성을 유지하면서 수질 모니터링을 위한 bioluminescence제재로 이용이 가능하다.

  • PDF

발광미생물을 이용한 중금속 6종의 생물독성 평가 및 모델링 (Bio Toxicity Assessment and Kinetic Model of 6 Heavy Metals Using Luminous Bacteria)

  • 김일호;이재엽
    • 한국도시환경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547-555
    • /
    • 2018
  • 북미, 유럽 뿐 아니라 우리나라에서도 유해물질 관리제도가 도입되는 등 매년 크게 증가하는 화학물질의 생산, 유통으로 인한 독성 피해에 대응하고 있다. 유해물질의 생물독성을 평가하는 방법은 널리 소개되어 왔으나, 모델링을 위한 정량적이고 신속한 정보가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발광 미생물인 Vibrio fischeri를 이용하여 아연, 구리, 크롬, 카드뮴, 수은, 납 등 중금속 6종에 대한 독성 평가를 실시하고, 독성 모델링을 통해 생존율을 재현하였다. 발광 미생물의 활성 정도 및 중금속에 의한 독성은 photomultiplier가 내장된 감광 장치를 이용하여 상대발광도를 측정, 독성의 영향을 판단하였다. 30분 내 저해율이 20% 미만에 이르는 농도 및 $EC_{50}$ 등을 통해 독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생물 독성은 수은, 납, 구리, 크롬, 아연, 카드뮴 순으로 나타났다. 시간별 $EC_{50}$의 추세선을 통해 얻은 $EC_{{50},{\infty}}$는 독성 모델링의 주요 파라미터와 선형 관계가 높았다. 실험결과로부터 DAM, TDM 모델링에 필요한 주요 파라미터를 얻었으며, 재현된 독성 영향은 아연, 구리, 크롬, 카드뮴 등에서 오차율 평균 10.2%이었다. Vibrio fischeri를 및 감광 장치를 이용한 미생물 독성 측정 방법은 짧은 시간에서 $EC_{{50},{\infty}}$ 및 독성 모델링 구현에 필요한 주요한 인자들을 신속하게 얻을 있어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새만금 갯벌의 중금속 분포 특성

  • 김종구;유선재;조은일;안욱성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2년도 추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146-148
    • /
    • 2002
  • 국내에서는 많은 간척사업이 이루어졌으며 이로 인한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아주크게 작용하고 있다. 연안 매립 및 간척사업으로 인한 환경오염 중에서도 부영양화나 중금속오염 문제가 중요한 요인으로 제기되었고, 대부분의 중금속은 환경중에서 지속성을 가지며 수계로 유입된 중금속은 퇴적물에 축적되거나 여러 과정을 거쳐 수중에 재용해 되기도 한다. 또한 먹이사슬을 거쳐 사람에게 다량 축적될 경우 독성을 일으키는 물질로써 세계 각국에서 일부 중금속에 대해서는 유해물질로 규정하여 규제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일부 중금속 항목은 환경기준에 지정되어 있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