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중규모 하도

Search Result 1,226,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A Genetic Algorithm for the Maximal Covering Problem (유전 알고리즘을 이용한 Maximal Covering 문제의 해결)

  • 박태진;이용환;류광렬
    • Proceedings of the Korea Inteligent Information System Society Conference
    • /
    • 2002.11a
    • /
    • pp.502-509
    • /
    • 2002
  • Maximal Covering 문제(MCP)란 행렬 상에서 n개의 열(column) 중 p개를 선택하여 m개의 행(row)중 최대한 많은 행을 cover하는 문제로 정의된다. 본 논문에서는 MCP를 유전 알고리즘(Genetic Algorithm)으로 해결하기 위해 문제에 적합하게 설계된 교차 연산자(crossover operator)와 비발현 유전인잔(unexpressed gene)를 가진 새로운 염색체 구조를 제시한다. 해결하고자 하는 대상 MCP의 규모가 매우 큰 경우 전통적인 임의교차(random crossover) 방법으로는 좋은 결과를 얻기가 힘들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그리디 교차(greedy crossover) 방법을 제시하여 문제를 해결한다. 그러나 이러한 그리디 교차를 사용하더라도 조기 수렴 등의 문제로 인해 타부 탐색 등의 이웃해 탐색 방법에 비해 그리 좋은 결과를 얻기가 힘들다. 본 논문은 이러한 조기 수렴 문제를 해결하고 다른 이웃에 탐색 방법보다 더 좋은 결과를 얻기 위해 비발현 유전인자(unexpressed gene)를 가진 염색체를 도입하여 해결함을 특징으로 한다. 비발현 유전인자는 교차 과정에서 자식 염색체의 유전인자로 전달되지 않은 정보 중 나중에라도 유용할 가능성이 보이는 정보를 보존하는 역할을 하여 조기 수렴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을 주어 보다 나은 결과를 얻을 수 있게 해준다. 대규모 MCP를 해결하는 실험에서 새로운 비발현 유전인자를 적용한 유전 알고리즘이 기존의 유전 알고리즘뿐만 아니라 다른 탐색 기법에 비해 더욱 좋은 성능을 보여줌을 확인하였다.

  • PDF

Effectiveness of en-route traffic information service for various network structure and congestion level (가로망구조 및 통행수요 변화에 따른 통행중 교통정보제공 효과분석)

  • 조중래;홍영석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6 no.4
    • /
    • pp.225-237
    • /
    • 1998
  • 본 연구의 목적은 가로망의 구조 및 통행수요의 변화에 따라 통행 중 교통정보제공의 효과가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모의실험을 통하여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실제의 대규모 가로망에 대하여 적용할 수 있는 통행배정기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모형은 시간의 흐름에 따른 가로망의 상태를 고려하여 통행을 배정하는 방법으로 $\ulcorner$시간종속적 통행배정$\lrcorner$이라 명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가로망 형태(격자형 및 방사환상형), 가로망 크기, 통행수요의 지역별 분포, 그리고 교통혼잡정도에 따라 각각 시나리오를 작성하고, 각 시나리오에 대하여 모의실험 및 사례연구(노드 348개, 링크 1179개)를 통해 정보를 받는 차량의 비율에 따른, 그리고 정보를 제공하는 빈도에 따른 통행중 교통정보제공에 대한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모의실험에서는 정보를 받는 차량의 비율이 30%~70% 구간에서 14%까지의 총체계비용의 감소효과가 나타났으며, 가로망의 규모가 클수록, 혼잡이 심할수록, 그리고 대안도로가 많을수록 교통정보제공의 효과는 커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중소기업 전자상거래 활성화를 위한 지역 ECRC의 운영방향

  • 정영수;한상린
    • Proceedings of the CALSEC Conference
    • /
    • 1999.11a
    • /
    • pp.499-508
    • /
    • 1999
  • 최근 인터넷 이용자의 폭발적인 증가로 전자상거래 시장 규모는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WEFA에 의하면 우리나라 전자상거래 시장규모는 1998년 약 3.6억불로 추정하고 있으며, 1999년도에는 전년 대비 6배 성장한 21.6억불로 세계 10위 규모를 기록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국내 인터넷 이용자수는 96년 말부터 매년 약 2배씩 증가해왔으며, 1999년 말에는 700만명, 2000년말에는 최고 1400만명까지 확대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이러한 인터넷의 이용자의 확산은 금세기 들어 가장 빠른 속도로 보급된 매체인 TV보다 무려 4배 빠른 속도로 보급되고 있는 셈이다. 요컨대, 전세계가 인터넷 기반하의 전자상거래체제로 비즈니스 환경이 급격히 전환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한국이 인터넷 이용자 숫자면 에서나 전자상거래 규모면 에서나 유별나게 성장성이 돋보이는 것이다. (중략)

  • PDF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Cataloging Outsourcing in Public Libraries (편목업무 아웃소싱의 성과에 대한 논의 -공공도서관을 사례로 하여-)

  • Rho, Jee-Hyun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40 no.2
    • /
    • pp.47-67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gain and loss of cataloging outsourcing in Korea public libraries. To this end, the following specific research questions are investigated: (1) How much has cataloging outsourcing enhanced the efficiency of cataloging operations? (2) What is an influence of cataloging outsourcing on the quality of catalogs? and finally, (3) Is there any evidence to strengthen core library service by outsourcing cataloging? The data needed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a survey with 3 public libraries which have experienced outsourcing. To make a comparative study, a survey with 3 public libraries against outsourcing are also included.

  • PDF

The Impact of Spatio-temporal Resolution of GEO-KOMPSAT-2A Rapid Scan Imagery on the Retrieval of Mesoscale Atmospheric Motion Vector (천리안위성 2A호 고속 관측 영상의 시·공간 해상도가 중규모 대기운동벡터 산출에 미치는 영향 분석)

  • Kim, Hee-Ae;Chung, Sung-Rae;Oh, Soo Min;Lee, Byung-Il;Shin, In-Chul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37 no.5_1
    • /
    • pp.885-901
    • /
    • 2021
  • This paper illustratesthe impact of the temporal gap between satellite images and targetsize in mesoscale atmospheric motion vector (AMV) algorithm. A test has been performed using GEO-KOMPSAT-2A (GK2A) rapid-scan data sets with a temporal gap varying between 2 and 10 minutes and a targetsize between 8×8 and 40×40. Resultsshow the variation of the number of AMVs produced, mean AMV speed, and validation scores as a function of temporal gap and target size. As a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the change in the number of vectors and the normalized root-mean squared vector difference (NRMSVD) became more pronounced when smaller targets are used. In addition, it was advantageous to use shorter temporal gap and smaller target size for the AMV calculation in the lower layer, where the average speed is low and the spatio-temporal scale of atmospheric phenomena is small. The temporal gap and the targetsize are closely related to the spatial and temporalscale of the atmospheric circulation to be observed with AMVs. Thus, selecting the target size and temporal gap for an optimum calculation of AMVsrequires considering them. This paper recommendsthat the optimized configuration to be used operationally for the near-real time analysis of mesoscale meteorological phenomena is 4-min temporal gap and 16×16 pixel target size, respectively.

Effects of 4 major river project on the flood management in Yeongsan-river basin (영산강유역 홍수관리에서 4대강 사업의 효과)

  • Song, Jin Keun;Jung, Jae 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301-301
    • /
    • 2021
  • 영산강 유역은 상류 급경사 지역에 있는 유역 내 댐들의 홍수조절용량과 평야지역에 있는 하굿둑의 홍수배제능력이 부족하여 나주시 등 하류부에 홍수피해가 빈번하였다. 영산강에서 4대강 사업의 주요내용은 하도내 퇴적토준설과 홍수조절지 건설, 농업용저수지 증고를 통한 홍수방어능력 증대, 다기능 보설치를 통한 용수확보, 하구지역 홍수배제능력 증대 등이었다. 동 사업에서 본류 하천의 홍수위 저감과 내수배제 개선을 위해 담양댐 하류부터 영암천 합류점까지 하도를 준설하고, 담양과 화순홍수조절지, 나주 강변저류지, 승촌보와 죽산보를 건설하고, 하굿둑 배수능력 증대와 농업용 댐 및 저수지들을 증고를 수행하였다. 4대강 사업이 준공된 2012년 이후로 2014년부터 5년간 가뭄이 지속되었고 큰 홍수가 없다가 2020년 8월에 장기간의 집중호우로 영산강 중상류인 광주시와 영산강 하류지역에서 큰 수해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시설물 운영 실적에 근거한 홍수저감 효과의 기술적 검토를 수행하였다. 사업전·후 수문관측자료와 하천시설 운영 실적에 근거한 홍수저감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사업전·후 유사 규모의 강우 발생 시 수위표 지점별로 계측된 첨두 수위 및 유량자료를 비교하여 홍수저감 효과를 분석하였다. 사업전·후 유사 규모 강우를 선정하기 위해 발생된 강우 사상 중 호우특보 발령 기준이상의 강우 사상에 대하여 총 강우량 및 강우의 지속시간, 시간 분포를 비교하여 유사 규모의 호우를 선정하였다. 사업전·후 유사 규모의 호우 사상 발생 시 계측된 홍수위와 홍수량 비교 결과 영산강 중·상류부와 중·하류부 수위표 지점(극락교,승용교,나주대교)에서 사업 시행 후 사업 전보다 첨두 수위가 1.36~2.81m 감소한 것으로 검토되었다. 이는 여러 가지 사업들의 복합적인 결과로 영산강유역의 홍수관리여건이 개선된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2020년 8월7일~8일 발생한 호우에 의해 영산강 본류의 중·상류부와 중·하류부의 주요 수위표 지점에서는 200년빈도 계획홍수위를 초과한 홍수가 발생하였다. 상시개방과 철거로 처리방안이 결정된 승촌보와 죽산보의 여건을 반영하여 2개보 유무에 따른 홍수위 검토를 실시하였다. 홍수위 비교 결과보가 없을 경우 영산강 중·상류부(극락교,승용교)와 중·하류부(나주대교,영산교) 수위표 지점에서 홍수위가 0.01~0.07m 감소되는 것으로 검토되어 홍수시 보의 영향은 비교적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홍수시 상류댐과 저수지, 홍수조절지, 하굿둑, 하천의 연계운영에 대해서는 추가연구가 필요하다.

  • PDF

Oral Health Behaviors according to Socioeconomic Characteristic in Korean Adolescents (청소년 사회경제적 특성별 구강보건행태)

  • Jun, Mee-Jin
    •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 /
    • v.10 no.6
    • /
    • pp.417-424
    • /
    • 2010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relevancy to oral health behaviors and socioeconomic characteristic among Korean adolescents. From '2007 Youth Behavior Risk Factor Surveillance 73,836 subjects database' which provided from 'Korean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We conducted statistically analyzed binary logistic regression to determine the relation between dental health behavior and socioeconomic characteristic. Compared to adolescents in high-economic group, adolescents in medium or low-economic group had more likely poor dental health behaviors(p<0.05, p<0.01, p<0.001). In particular, there were significantly difference in toothbrushing the frequency of visiting a dental clinic and had received dental health education experiences. Conclusions, Because of the strong relation with demographic socioeconomic characteristic, must consider it when we improve of oral health by behavioral change. These results the need for the further development spread of oral health programs.

Analysis of the variation of the river bed and the possibility of inland navigation in the Han river mouth (한강 하구 하도의 변동과 주운 가능성 분석)

  • Won Kim;Chaewoong Ban;Myounghwan Kim;Duhan L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122-122
    • /
    • 2023
  • 한강 하구는 조석의 변화가 매우 크고 이로 인한 하상의 변화가 많이 발생하는 지역이다. 더불어 남북간 군사상황으로 인해 접근이 불가능하거나 어려운 지역이며, 이로인해 그동안 개발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자연상태로 남아있다. 남북관계의 상황변화에 따라 그동안 한강 하구의 개발이나 보전에 대한 다양한 논의가 있었고, 그 중 뱃길 복원에 대한 이야기도 다양하게 진행되어 왔다. 하지만 아직까지 구체적으로 어떤 규모의 선박이 얼마동안 운행할 수 있는지에 대한 분석은 거의 이루어진 바가 없다. 본 연구에서는 한강 하구 신곡수중보 하류에서 공릉천 합류부 구간에 대한 주운 가능성을 분석하였다. 최근 하상측량 결과를 바탕으로 조석변화에 따라 형성되는 지점별 수심을 분석하였고 이를 토대로 형성되는 수로를 분석하였다. 선박 규모에 따라 필요로 하는 흘수와 수심을 이용하여 대상 구간에서 운행가능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이와 같이 형성된 수로가 안정적이지 않음을 하상변동 자료를 이용하여 제시하였다. 대상구간에서 조석변화에 따라 형성되는 수심과 선박 규모에 따른 필요수심을 비교 분석한 결과 대형 선박의 상시적 운행은 매우 제한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규모 선박의 경우에도 연간 운행 가능시간이 제한적인 것으로 나타나 일반적으로 추정하는 것보다 상업적인 대규모 주운의 가능성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구간의 하상변동도 매우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지난 10년, 20년 동안의 장기적인 변화 뿐만아니라 1년 사이의 단기적인 변화도 크게 나타나 안정적인 수로 확보는 쉽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강 하구에서는 대규모 홍수가 발생하지 않더라도 조차가 큰 조석영향에 의해 하상이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 PDF

Study on the River Characteristics of the Hwang-Gang and the Gamcheon (하도특성 파악에 관한 연구(황강과 감천을 중심으로))

  • Jang Chang-Lae;Kim Jeongkon;Baek Seung-Hwan;Lee Kwang Man;Kim Woo-G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1259-1263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유역의 황강과 감천의 하토특성을 조사하여 보았다. 황강은 15년 전에 상류에 합천댐이 건설되어 하류하천에 많은 변동을 가져왔으나, 감천은 상류에 감천댐을 개발할 예정이므로 두 하천의 하천 특성을 비교하여 향후 하천계획 및 관리를 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공하는데 있다. 황강과 감천은 중규모 영역구분을 수행하여 본 결과 모래로 구성된 망상하천이며, 또한 하상토 및 소류력을 분석하여 본 결과 부유사가 지배적인 하천으로 판단되었다. 이는 그동안 우리나라 하천 계획 및 관리를 하는 데 간과된 것이다. 감천에서는 현재 홍수터 및 사주에 식생이 크게 번성하지 못하고 있다. 하천에서의 식생의 관리는 치수관리 측면과 생태학적 측면에 균형을 맞추어 관리를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향후 이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PDF

구축사례 / 국내 최대 디지털콘텐츠 마켓플레이스 콘피아닷컴

  • Park, Seung-Hui
    • Digital Contents
    • /
    • no.3 s.118
    • /
    • pp.90-93
    • /
    • 2003
  • "대한민국~디지털 세상으로" 2002년 8월 콘피아(www.conpia.com) 사이트 개설 기념식에서 내걸렸던 구호 중 하나이다. 그런데 인터넷의 현실은 항상 그러했듯이 구호가 앞서갔다. 월드컵, 촛불추모, 대선, 초고속인터넷 가입자 1000만명, 그리고 주요 인터넷 서비스 업체의 대규모 이익 실현 등 2002년 대한민국의 인터넷의 발걸음 하나 하나는 전인미답의 영역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