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중국 여성소비자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22초

의복구매동기에 의한 중국 $20\~30$대 중$\cdot$상류층 여성소비자시장 세분화 (Segmentation of Middle and High Class Chinese Women in their 20's and 30's based on Clothing Purchasing Motive)

  • 박혜원;장춘희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49-63
    • /
    • 2005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segment Chinese consumers by clothing Purchase motive, and then to analyze and compare the clothing purchasing behavior among the segmented groups. The subjects were 655 career women of middle and high class in their 20's and 30's living in Benjing, Shanghai, Shenzhen, and Changchun. A total of 655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by using frequency, mean, factor analysis, ANOVA, Duncan's multiple range test, cluster analysis, and X^2 _ 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Chinese consumers were segmented into clothing high-involvement group, fashion pursuing group, practicality pursuing group, and characterless group. 2. The clothing purchase behavior variables such as purchasing motive, using informants, clothing selection standards, store selection standards, purchasing place, satisfaction after purchasing clothes, price of purchase, shopping time, shopping companion, and paying method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4 segmented groups. 3. The demographic variables such as a city, marriage, total monthly income, and average monthly expenditure on clothing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4 segmented groups.

'신중국풍'(New Chinese) 여성복 디자인 개발 -중국 20대 여성의 디자인 선호도를 기반으로- (Development of 'NewChinese' women's clothing design on based on the design preferences of Chinese women in their 20s)

  • 고리;김차현
    • 패션비즈니스
    • /
    • 제28권4호
    • /
    • pp.21-44
    • /
    • 202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modern reinterpretation of traditional Chinese culture and design development of fashion items in the context of globalization and technological advancements, reflecting fashion demands of young female consumers in their 20s in China. To achieve this, this study investigated fashion preferences of young women in major Chinese cities, focusing on design elements such as form, details, patterns, and colors in 'New Chinese Style' fashion. Results indicated a high preference for overlapping collars, Mandarin collars, oblique front pieces, and slit sleeves. Additionally, there was a strong preference for natural and eco-friendly materials such as plant dyes and embossed velvet. Based on survey results and analysis of the popular brand 'TUYUE,' this study proposed two design themes. The first theme, 'natural symbiosis,' focused on casual wear with a soft and free image with a simple design. The second theme, 'chivalrous guest,' targeted work attire with minimal designs emphasizing power and confidence. Both themes aimed to meet aesthetic and practical needs of modern women by incorporating overlapping collars, asymmetrical front pieces, slit sleeves, and preferred colors and patterns. In conclusion, although this study was limited to design preferences of young Chinese women in their 20s, results offer valuable direction for future design innovation, contributing to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fashion industry and the preservation and innovation of traditional culture.

일러스트레이션과 광고 사회학의 관계 - 한국과 중국의 상품광고 포스터속의 근대 여성이미지를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Advertising Sociology and Illustration - Focused on the Images of Modern Women in Commercial Posters in Korea and China-)

  • 장미경
    • 디자인학연구
    • /
    • 제18권2호
    • /
    • pp.27-36
    • /
    • 2005
  • 상품을 팔기 위한 경제적 현상인 광고의 일러스트레이션은 일차적으로 상품내용을 전달하고자 소비자의 구매 욕구를 자극하기 위해 다양한 사회 문화적 코드를 사용하고 있다. 특히 현대사회에서 광고디자인은 대량생산을 통해 표준화된 상품을 차별화하기 위한 전략이드로 제품자체의 물리적 특징이나 사용가치 못지 않게 광범위한 상품외적 요소들인 사회학적 요인들이 개입하게 된다. 그 결과 상품판매 효과와는 상관없이 광고에 쓰인 문안이나 시각 이미지들이 독립된 사회적 영향력을 지니기도 하는데, 이러한 점에서 광고디자인은 시대상과 의식을 반영하고, 만들어 가는 공공의 문화적 현상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앞서 제시한 광고디자인의 특성과 역할을 전제로 본 논문은 근대기인 1900-1945년도의 한국과 중국의 광고포스터를 중심으로 당시 근대성의 성립과 전개를 개진한 시대상과 여성이미지의 관계를 고찰하고자 한다. 근대기의 한국과 중국이 서구화되면서, 광고 포스터에 등장한 여성이미지, 상품가치, 소비, 생활양식과 취향의 상관관계를 정치, 경제, 문화 현상 등을 광고일러스트레이션을 매개로 살펴보려고 한다.

  • PDF

Effects of consumption Propensity to spend on shopping live broadcast of in Chinese Women on selection attributes of beauty products

  • Ying, Qiaomeng;Kim, Kyeong-Ra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1호
    • /
    • pp.149-156
    • /
    • 2022
  • 본 연구는 중국 쇼핑 생방송에서 뷰티제품 소비경험이 있는 20, 30대 여성들을 대상으로 소비자의 소비성향이 뷰티제품 선택속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2021년 4월 29일에서 5월 25일까지 위쳇(WeChat), 왠쥬엔씽 프로그램(wenjuanxing program)을 이용하여 조사한 572부를 최종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WIN 21.0프로그램 이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 검정,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일반적 특성은 20~25세, 대학교, 50~100만원 미만 높게 조사되었다. 소비성향은 내적 추구 소비 3.76점, 충동적인 소비 3.63점, 외적 추구 소비 3.56점, 뷰티제품 선택속성은 제품 내적 속성 3.91점, 제품 외적 속성 3.69점으로 평균 높게 나타났다. 뷰티제품 선택속성의 제품 외/내적 속성은 모두 소비성향 정의 상관이 높게 나타났다. 소비성향의 외적 추구 소비, 내적 추구 소비, 충동적인 소비 모두 제품 외/내적 속성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의 결과 쇼핑 생방송 소비자의 소비성향이 뷰티제품 선택속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점을 확인하였다. 중국 여성의 소비성향에 따라 뷰티제품 브랜드, 품종, 디자인 등의 특성을 고려한 차별화된 쇼핑 생방송 마케팅 전략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한국과 중국의 남성 장신구 선호도 비교 분석 (넥타이핀과 커프스 버튼을 중심으로) (Comparative Analysis on Preference of Men's Jewelry in Korea and China (Focused on Tie-pin and Cufflinks))

  • 고승근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201-206
    • /
    • 2018
  •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의 남성 장신구 선호도에 관한 연구로서 점점 커지고 있는 현대의 남성장신구 시장의 변화와 발전을 위해 시작되었다. 한국의 남성장신구는 여성 장신구의 일부로서 소규모 시장으로 발전하다가 2006년 이후부터 남성 장신구로서 따로 분류되어 성장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아직까지도 매우 일부의 브랜드에서만 취급하고 있고 디자인의 다양성이 취약하여 혁신을 필요로 하는 시점이다. 중국의 남성 장신구 시장은 젊은 신흥부자들의 영향으로 급속하게 발전하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한국과 마찬가지로 중국 또한 남성 장신구의 디자인에 대한 연구가 미흡하여 남성 장신구에 대한 선호도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 이를 위해 한국과 중국의 남성 장신구 중 대표적인 넥타이핀과 커프스 버튼의 선호도를 설문을 통해 조사한 결과 양국 모두 현재 판매되고 있는 디자인에 만족하지 못하고 있었으며, 한국은 넥타이핀과 커프스 버튼의 대중화가 어느정도 이루어져 소비자의 맞춤형 혁신적 발전이 요구되고 중국은 넥타이핀과 커프스 버튼의 대중화를 통해 남성 주얼리 시장의 성장을 기대할 수 있는 결과를 얻었다.

중국 기성복의 호칭과 맞음새 관련 소비자 만족도 조사 -북경에 거주하는 성인 여성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ize System for Women's Suits and the Customer Satisfaction with Fitness in China -With the Focus on the Adult Female Residents of Beijing-)

  • 석혜정;김인숙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25-136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ize system of women's suits on the market in China and the levels of satisfaction on the fit experienced by Chinese customers, and thereby to look into the problems relating to the fit of Chinese women's suit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1. The size fur women's suits currently on sale in China was indicated by the number by all manufacturers. The size of the largest production was in the order of 165-88A, 160-84A, and 170-92A for jackets; 160-68A, 165-72A, and 170-76A far pants and skirt. 2. The survey on the recognition of the size for ready-made suits showed the response rate of $91.1\%$ for jackets, $58.7\%$ for pants, and $56.3\%$ for skirts, indicating the higher recognition level in the measure for jackets in comparison with pants. 3. The survey on the satisfaction with the fitness for each item of women's suits(jackets, pants, and skirts) showed the satisfaction levels of $3.05\~3.63$ for all items, above the ordinary figures. Of the three items, the satisfaction level of pants was lowest. 4. The survey on the repair frequency for each item of suits showed $53.2\%$ for jackets, $52.5\%$ for pants, and $30.4\%$ for skirts, that of the skirts being lower than those of the other items.

21세기 동북아시아의 문화융합과 문화적 취향의 공유: <꽃보다 남자>의 유행 현상을 중심으로 (The Convergence and Sharing of Cultural Tastes in Northeast Asia in the 21 Century: On the Popularity of the TV Drama "Boys over Flower")

  • 김종수
    • 비교문화연구
    • /
    • 제40권
    • /
    • pp.41-60
    • /
    • 2015
  • 이 논문은 21세기 한국과 중국, 일본, 대만에서 제작, 유행한 TV 드라마 <꽃보다 남자>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동북아시아의 문화융합을 살펴보고 이 지역 대중이 공유하는 문화적 취향을 귀납하였다. 일본 만화를 원작으로 한 4개국의 <꽃보다 남자>는 원작이 지니고 있는 기본적인 서사구성을 토대로 캐릭터의 설정과 서사공간의 혼합, 소비주의적 욕망의 재현에서 각국의 사회적이고 문화적인 특수성을 재현하였다. 이를 통해 수용자들은 동북아시아 각국의 사회문화적 환경이 자연스럽게 혼성적으로 결합된 서사를 접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로맨스 플롯을 기본으로 전개되는 TV 드라마 <꽃보다 남자>는 원작인 만화에서 가능했던 구성적 특질이 매체변환 과정에서도 드러나고 있다. 특히 전통적인 성 관념에서 탈피한 남성 캐릭터의 설정과 독립적인 여성 캐릭터의 재현을 통해 미래의 역할 모델을 제시하는 순정만화의 상상력이 동북아시아 대중들에게 공유되고 있다. <꽃보다 남자>의 주 수용자 계층인 10-20대 초반 젊은 여성들의 이해에 기반한 감수성과 취향이 21세기 동북아시아에서 공유되고 유행한다는 점은 "소녀"의 부상이라는 점에서 주목을 요한다. 부르주아 가족 구조를 단위로 하는 현대 자본주의 체제에서 엄격한 보호와 구속의 대상이었던 소녀는 21세기 동북아시아 대중문화콘텐츠 산업에서 중심 소비자로서 자리를 확고히 했음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모바일게임 이용자의 지속사용 영향요인분석: 성별과 국적에 따른 라이프스타일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f Influential Factors from Continuous Use by Mobil Game Users : Lifestyle under Gender and Nationality)

  • 심선애;정형원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5호
    • /
    • pp.381-390
    • /
    • 2017
  • 라이프스타일은 사회전체 또는 사회의 일부 구성원들이 공통으로 가지고 있는 생활양식이므로 소비자 행동을 이해하는 중요한 변수이다. 이에 본 연구는 모바일게임 이용자의 라이프스타일과 게임 지속사용의도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한국과 중국의 20세 이상 성인 모바일게임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으며 수집된 데이터는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인 SPSS 20.0을 사용하여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설문에 참석한 인원은 총 212명으로 성별의 비율은 남성과 여성이 50 대 50이고 국적은 대한민국 107명, 중국 105명이다. 연구결과 첫째, 라이프스타일을 고려하지 않는다면, 남자일수록, 대한민국 국적이 아닐수록(중국 국적일수록) 지속사용의도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모바일게임 사용자의 라이프스타일 중 도전추구, 유행추구, 보수 및 과시형은 게임의 지속사용의도에 중요한 원인변수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라이프스타일의 영향력은 개인의 성별이나 국적에 따라 다르다는 것과 연관 지어 설명할 수는 없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중국 모바일게임 시장에 진출하고자 하는 기업과 정부 정책의 전략적 방안 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화장품의 세계적인 개발동향과 21세기 아시아인을 위한 기능성 화장품 (Global Cosmetics Trends and Cosmceuticals for 21st Century Asia)

  • T.Joseph Lin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5-20
    • /
    • 1997
  • 2차대전 이후에 미국, 유럽, 일본의 사례와 냉전 종식 후의 동구권 국가의 사례 등을 볼 때, 전쟁과 가난에 의하여 화장품 소비는 억제되며, 평화와 번영의 시기에는 그 소비가 증대된다. 그 외에도 화장품시장의 성장은 아시아권 국가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경제성장, 대중매체의 발달에 의해서, 혹은, 중국본토에서 볼 수 있는 경제제도의 변화 및 정치 흐름에 의한 것일 수도 있다. 앞에서 본 전쟁, 경제, 정치흐름, 대중매체 등의 요소 이 외에도 생활방식, 종교, 윤리, 가치관 등도 화장품 시장의 성장에 영향을 줄 수 있다. 화장품은 사회의 산물이다. 사회와 그 구성원의 needs가 변하면 그에 따라 화장품도 내용물, 포장, 배송, marketing concepts, 소구사항 등도 변하게 된다. 많은 점에서 화장품은 우리사회의 거울이며, 사회변화를 반영한다. 1970년대 초반까지 미국에서의 화장품은 주로 백인 영성을 위하여 개발되었다. 그러나 60년대의 시민권운동 이후, 70, 80 년대에는 미국의 흑인 여성을 위한 제품(색조화장)시장이 급성장하였으며, 안전성이 제대로 검토되지 않은 원료의 사용으로 부작용이 증가하였다. 이에 따라 FEA 규제에 의하여 70년대부터는 제품에 사용원료를 명기하게 되었다. 기존 원료의 안전성이 다시 검토되었으며 안전성이 확인되지 않은 많은 원료, 특히 기존에 사용되던 많은 색소의 사용이 제한되었다. 결과적으로 안전을 중시하는 "hypoallergenic" 화장품이 유행하였고, 원료의 사용에서도 기능성 있는 복잡한 이름의 원료보다는 소비자에게 쉽게 인식되는 이름의 원료를 선택하게 되었다. 유럽에서도 신원료명기법이 제정되어 신제품 개발을 위한 개발자의 원료선택에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그러나 원료의 명기에 따라 경쟁사의 제품복제가 매우 쉬워졌다. 환경오염도 마찬가지로 화장품 흐름에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성층권의 오존층이 얇아지면서 suncare 제품의 소비가 늘었다. Hair spray제품에 있어서는 propellant로 사용되는 CFC가 오존층 파괴의 주범임이 밝혀지고 나서는 propellant를 다른 것으로 대체한 제품들이 많이 나왔으나 예전에 hair spray가 끌었던 만큼의 인기는 회복할 수 없었다. 이외에도 천연화장품원료의 증가. 비 동물시험법의 개발, 포장의 간소화 등은 시대의 변화를 반영하는 것 들이다. 한편 70년대에 고조에 달했던 아무런 효과도 없는 화장품에 대한 비판에 대해서 80년대에는 효능 위주의 제품이 미국을 휩쓸었으며, FDA에 의하여 이에 제동이 걸렸다. 그러나 고기능성 화장품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는 끊이질 않았다. 이때에 유명한 원료로는 AHA가 있으며 이를 사용한 화장품이 의약품이냐 화장품이냐 하는 논쟁이 있었다. 이와 같이 의약품과 화장품의 구분을 명확히 할 필요성이 제기되었으며, 기능성 화장품은 미국에서는 OTC, 일본에서는 quasi-drug 라고 구분하였다. Cosmeceuticals는 cosmetics와 pharmaceuticals의 합성어이며, 90년대 미국에서 관심을 끌었고, 세계적인 관심사가 되었다. 과거에 식품업계에서 nutraceuticals라는 단어가 사용되었으나 FDA에 의하여 의약품으로 분류될 위험성으로 인하여 이 단어를 전면으로 사용하진 않았으며, 무기물과 비타민을 사용한 경우에는 nutra-cosmeceuticals라는 단어를 사용할 수도 있었으나 이 또한 FDA와의 문제가 생길 소지가 있어 사용이 자제되었다. 법적규제에도 불구하고, 소비자의 요구와 새로운 기술에 의하여 계속 개발되고 있으며, 수많은 아시아의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기위한 새로운 종류의 cosmeceuticals가 21세기의 문턱에서 범람하고 있다. 아시아권의 화장품시장은 성장을 계속하고 있으며, cosmeticals중에서도 미백 제품이 가장 중요한 종류이다. 백인여성은 갈색의 피부를 갖길 원하는 반면 일본, 중국, 한국의 여성들은 하얀 피부를 갖고자 한다. 단순히 안료를 사용하는 방법이 아닌 피부자체가 하얗게 되길 바라는 것이다. 미국에서는 OTC로 구분된 hydeoquinone이 일본과 한국에서는 사용이 금지되고 있으며, 안전하고 새로운 미백원료의 개발을 위한 탐색이 계속되고 있다. 즉 미국과 유럽의 화장품 회사는 피부를 검게 하기 위하여 melanogenesis를 활성화시키는 방법을 찾고 있으며, 이와 반대로 아시아권의 화장품회사는 melanin합성을 억제하기 위한 방법을 찾고 있다. 각기 다른 소비자의 취향을 만족시키기 위해서 21세기의 화장품 과학자는 상당히 바쁠 것임에 틀림이 없다.임에 틀림이 없다.

  • PDF

한류 휴먼브랜드의 특성과 애착 및 자아일치성이 브랜드 자산에 미치는 영향 - 중국 여성 소비자를 대상으로 - (Influence of characteristics, attachment and self congruity of Korean wave human brand on brand equity - Focused on Chinese female consumers -)

  • 김은혜;이진화
    • 복식문화연구
    • /
    • 제27권5호
    • /
    • pp.479-495
    • /
    • 2019
  • This study defines Korean wave stars as Korean wave human brands and examines the influence of the characteristics, attachment, and self-congruity of the Korean wave human brand on brand equity. For this, this study surveyed Chinese female consumers in their 20s and 30s who consume many Korean wave products from May 2018 to June 2018. First, human brand characteristics, attachment, self-congruity, Korean wave aspiration level, and brand equity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ere identified. Second, characteristics, attachment, self-congruity, and the aspiration level of the Korean wave human brand showed correlations with brand equity. However, brand awareness, a sub-factor of brand equity, does not show correlations with self-congruity. Third, characteristics, attachment, self-congruity, and Korean wave aspiration level had a positively influenced brand equity. Fourth, when looking into the mediated effect of attachment on brand equity, both human brand characteristics and self-congruity showed a partially mediated effect. Fifth, when analyzing the adjustment effect in the Korean wave aspiration level, a group with higher Korean wave aspiration level showed more correlations with attachment and brand equity. This study found that attachment and self congruity are important elements in forming human brand and brand equity.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verified the influence of Korean wave brand power that has been on the rise recently on brand equity and provided a theoretical basis that has allowed researchers to determine that the characteristics, attachment, and self-congruity of Korean wave human brand significantly influence brand equ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