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중국 소셜 미디어

검색결과 30건 처리시간 0.022초

중국 이용자 소셜미디어 가짜뉴스 판별의도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태도, 사회자본, 위험감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of Chinese Users to Discriminate Against Fake News on Social Media - Focusing on attitude, social capital, and risk detection -)

  • 담과홍;이화행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337-351
    • /
    • 2022
  • 소셜미디어의 전면적인 보급과 빠른 발전에 따라 소셜미디어 정보전파의 탈중심화 추세가 나날이 뚜렷해지고 있으며 수용자들이 소셜미디어 정보를 이용한 시간의 세분화가 뚜렷하게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연구들을 바탕으로 소셜미디어의 가짜뉴스에 대한 태도, 사회자본, 위험인식 및 판별의도 간의 미치는 영향 관계를 연구하고자 하다. 이에 따른 연구모델은 관련한 연구가설을 제시하고 설문지를 구성하여 총 500건의 유효설문을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하기 위해 SPSS 26.0 프로그램과 AMOS 24.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셜미디어의 가짜뉴스 판별의도에 대한 이용자들의 태도가 적극적일수록 인터넷 정보의 진위성을 판별하기 위해 다양한 방식이나 도구를 활용하려 한다. 둘째, 소셜미디어 가짜뉴스에 대한 이용자의 태도가 적극적일수록 소셜미디어 가짜뉴스가 자신의 신체, 심리, 재무 등에 미치는 잠재적 위협을 인식할 수 있다. 아울러 자신의 위험인식을 높이고 소셜미디어 가짜뉴스에 대한 반펼의도가 높아진다. 셋째, 중국 이용자가 가진 사회자본이 풍부할수록 정보 소양이 강해지기 때문에 소셜미디어 가짜뉴스에 대한 판별의도도 강해진다. 넷째, 중국 이용자 가진 사회자본의 가치가 높을수록 가짜뉴스에 받은 피해를 더 크게 볼 수 있다고 판단하며, 자신의 이익을 보호하기 위해 가짜뉴스에 대한 위험의식이 높아진다. 다섯째, 중국 이용자가 소셜미디어에 의심한 정보를 인식하고 상응한 조치를 시실한 것을 의미하다.

강압적 마케팅 자극이 미치는 부정적 영향: 중국과 한국 소셜 미디어 비교 연구 (Coercive Marketing Stimuli and Negative Consequence: Comparative Study of Chinese and Korean Social Media)

  • 강인원;허재원
    • 무역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287-306
    • /
    • 2023
  • 본 연구는 그동안 소셜미디어 성과연구에서 다소 소홀했던 소셜미디어 기업들의 강압적이고 비자발적인 마케팅 자극과 부정적 결과물에 대한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사회문화적인 환경의 차이가 있는 대표적인 소셜미디어 시장인 한국과 중국의 소셜미디어 서비스들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강압적인 마케팅 자극들이 소셜미디어 기업들의 부정적인 성과를 유발하였으며, 특히 강압적인 마케팅 자극에 따른 이용자들의 태도 및 부정적인 성과가 한국과 중국의 시장에서 극명하게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소셜미디어를 활용하여 자신들의 비즈니스를 수행하고자 하는 개인이나 기업들에게 보다 실질적인 시사점들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 교육 관광지 이미지가 관광객의 구전의도에 미치는영향: 중국 관광객의 과시적 자기표현과 자아이미지일치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Image of Korean Educational Tourism on Online Word-of-mouth Intention: Focusing on the Moderation Effect of Chinese Tourists' Conspicuous Self-presentation and Self-Image Consistency)

  • 심신우;유승철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4호
    • /
    • pp.283-290
    • /
    • 2023
  • 유학생이 계속 늘고 있는 국내 교육 시장에서 소셜 미디어를 활용한 대학 마케팅이 중요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소셜 미디어를 사용하는 소비자의 심리적 요인에서 출발하여 한국 교육 관광지의 온라인 구전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탐구했다.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구전의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영향을 설명하고 있으며 교육 관광지의 이미지와 중국 관광객의 관광만족감의 중요성을 확인했다. 또한, 소셜 미디어를 사용할 목적으로 여행하는 이용자들은 자아 이미지 일치성과 과시적 자기표현을 더 중요시하는 경향을 발견했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 마케팅을 목적으로 소셜 미디어를 사용하고 온라인 구전을 활성화함으로써 중국 관광객이 한국 교육 관광지에 대한 인식을 개선할 수 있으며 나아가서 유학생 모집에서도 성공적일 수 있음을 밝혀냈다.

중국 소셜 미디어에 나타난 K-POP 스타들의 사진 이미지 분석 (An Analysis of K-POP Stars' Images in Chinese Social Medias)

  • 윤정;양종훈;이상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7호
    • /
    • pp.71-82
    • /
    • 2021
  •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중국 소셜 미디어에 나타나고 있는 K-Pop 스타들의 사진들을 살펴보고 사진 속에 담겨진 주요 이미지를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K-Pop 스타들의 사진은 중국 최대의 포털사이트인 바이두(www.baidu.com)에서 제공하고 있는 커뮤니티 사이트로부터 수집되었으며, 분석대상은 중국에서 꾸준하게 인기를 얻고 있는 5개의 아이돌 그룹((EXO, IKON, T-ara, Wonder Girls, 소녀시대)의 사진들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의 주요 음악적 스타일과 배경을 살펴보고 선정된 사진들에 나타난 이미지들을 살펴보았다. 이들의 사진 이미지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K-Pop 보이스 그룹은 서구적인 외모와 함께 남성적인 매력을 부각시키는 이미지를 활용하는 경향이 강하게 나타났다. 둘째, K-pop 걸 그룹의 경우에는 젊음과 상큼함 그리고 섹시함을 내세운 이미지 메이킹을 보여주는 경향이 강하였다. 결론적으로 K-Pop 한류 스타들에 대한 사진이미지는 중국 K-pop 아이돌 스타들의 사진 이미지의 생산과 유통을 담당하고 적극적인 콘텐츠 소비활동을 촉진시키는데 기여하고 있다.

코로나-19관련 웨이보 정서 분석을 통한 중국 주식시장의 주판 및 차스닥의 민감도 예측 기법 (Sensitivity of abacus and Chasdaq in the Chinese stock market through analysis of Weibo sentiment related to Corona-19)

  • 이가기;오하영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5권1호
    • /
    • pp.1-7
    • /
    • 2021
  • 최근 코로나 19발생과 동시에 소셜 미디어의 투자자 정서가 증시 가격 움직임을 주도해 관심을 모으고 있다. 본 연구는 행동금융 이론 기반 빅 데이터 분석을 활용하여 소셜 미디어에서 추출한 정서가 중국 증시의 실시간 및 단기적 가격 모멘텀을 예측하는데 활용될 수 있는 기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COVID-19와 관련 200만 건 이상의 시나 웨이보 빅 데이터를 키워드 방식으로 수집 및 분석하고 시간이 따른 영향력이 높은 감정 요인을 추출한다. 최종 결과 도출을 위해 다양한 지도 및 비지도 학습 모델을 다 각도에서 구현 및 성능평가를 비교 분석 후, BiLSTM mdoel이 최적의 결과를 낼 수 있음을 증명했다. 또한, 제안하는 기법을 통해 주가변동과 심리요인 간에도 비슷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음을 제안했고 소셜미디어에서 추출한 공공분위기가 어느 정도 투자자들의 심리를 대변할 수 있고, 주식시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특수행사에 몰두할 때 증시변동에 차이를 만들 수 있음을 증명했다.

소셜미디어가 국가이미지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중국소비자를 대상으로 (A Study on the Effect of Social Media on Country Image and Purchasing Intention: Focused on Chinese Consumers)

  • ;박성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4호
    • /
    • pp.119-128
    • /
    • 2012
  • 스마트폰의 등장과 소셜미디어의 급속한 확산으로 패러다임이 전환되면서 정치, 경제, 사회, 문화에 많은 분야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소셜미디어는 적은 비용으로 최대의 효과를 볼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새로운 소통의 도구로서 주목을 받고 있다. 지식기반경제로의 이행이 가속화되면서 국가이미지가 국가경쟁력의 핵심 원천으로 인식되고 있다. 국가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요인들을 살펴보고 국가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또한 현재 많이 활용되고 있는 소셜미디어가 국가이미지와 구매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정하에 소셜미디어의 특성을 변수로 추가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소셜미디어가 국가이미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셜미디어 플랫폼에서의 정보공유 의도: 중국 위챗 이용자에 대한 연구 (Information Sharing Intention in a Social Media Platform: A Study of Participants in the Chinese WeChat Moments)

  • 노석;조려;강봉재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24권1호
    • /
    • pp.89-104
    • /
    • 2022
  • 본 연구는 소셜 미디어 플랫폼 회원들의 중국 위챗 정보 공유 의도을 평가하기 위한 모델을 제안한다. 이 데이터는 중국 위챗 사용자들로부터 나왔으며, 150명의 위챗 사용자들이 이 조사에 참여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정보 공유 의도가 태도, 주관적 규범, 인지된 행동 제어에 의해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는 반면, 평판과 호혜적관계는 태도와 긍정적인 관련이 있으며, 인상은 정보 공유에 대한 인지된 행동 제어에 긍정적인 관련이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팬덤의 소셜 미디어 이용 양태에 따른 아이돌 세대별 팬덤 문화의 변화 (Generational Fandom Culture Shift in K-Pop Idol Fandom and Social Media Use)

  • 한미화;나은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605-616
    • /
    • 2022
  • 본 연구는 아이돌 팬덤 현상에 대해, 팬덤의 시대별 특징 및 이용 매체의 속성에 따른 영향과 차이를 살펴보고자, 3세대 아이돌 팬덤과 1,2세대 아이돌 팬덤의 문화 차이, 그리고 인터넷의 발전에 따른 팬덤의 소셜 미디어 이용 양태의 차별적 영향을 실증적으로 탐구하였다. 한국과 중국의 아이돌 팬덤을 중심으로 설문조사 분석 결과, 3세대 아이돌 팬덤은 1,2세대 팬덤보다 아이돌에 대한 친밀감, 연애감정/숭배심리 및 동질감이 더 높았으며, 팬덤 충성도 및 팬덤 정체성도 높게 나타났다. 마찬가지로, 주로 이용하는 소셜 미디어 플랫폼에 대해서는, 네트워크 중심소통 팬덤이 온라인커뮤니티 중심소통 팬덤에 비해 친밀감, 연애감정/숭배심리 및 동질감이 더 높았고, 팬덤 충성도 및 팬덤 정체성 역시 더 높은 경향을 보였다. 이를 바탕으로, 팬덤의 세대 변화 및 소셜 미디어 이용 양태에 따른 아이돌 팬덤 문화의 변화의 함의에 대해 논했다.

소셜 미디어 사회연결성의 팬덤 공동체 형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 방탄소년단 사례를 중심으로 (How does the Social Connectivity of Social Media Build a Fandom Community? An Exploratory Study on the BTS Fandom)

  • 이재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7호
    • /
    • pp.1-12
    • /
    • 2021
  • 본 연구는 방탄소년단의 공식 트위터와 중국 미국 한국인 팬들의 심층 인터뷰를 토대로 스타와 팬이 소셜 미디어의 사회연결성을 토대로 글로벌 팬덤 공동체를 형성해내는 양상을 탐색했다. 스타와 팬은 소셜 미디어의 연결성을 활용해 공과 사를 넘나드는 유사-사적인 관계를 구축한다. 방탄소년단은 자신이 수상했음에도 팬클럽인 아미에게 "축하한다"라며 각 팬 개개인이 주체가 되도록 담화 방식을 구성해낸다. 팬으로서는 자신에게 사적으로 건네는 트윗처럼 여겨지게 되는데, 이는 비단 텍스트 구성 방식에만 적용되는 데 그치지 않는다. 공식적인 활동이나 기념일과 같은 공적인 행사가 없는 날에는 사적인 트윗 혹은 이전의 기억을 끌어올리며 하루도 빠지지 않고 소통하는 장치를 마련했다. 이처럼 끊이지 않고 연결되어 있다는 감각이 팬들이 서로에 대한 공동체 의식을 강화해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 기록관 웹사이트에 나타난 이용자 참여 커뮤니케이션 도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ser Participatory Communication Tools of National Archives Websites)

  • 박덕란;사공복희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261-281
    • /
    • 2014
  • 인터넷과 정보기술의 발달로 인해 기록관을 직접 방문하기보다는 홈페이지를 통한 서비스 요구가 확대되고 있는 오늘날 무엇보다 이용자들의 의견과 요구사항을 적절하게 수용할 수 있는 열린 소통도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게시판과 이메일, 그리고 전화 이외의 이용자 참여 커뮤니케이션 도구, 특히 이용자들에게 친근감과 실시간 소통을 제공하는 소셜미디어에 대한 정보가 국가기록관의 홈페이지상에 존재하는지와 그 활성화 여부를 한국, 미국, 영국, 캐나다, 중국, 그리고 일본의 기록관을 중심으로 조사하였는데, 소셜미디어중에서 가장 활성화된 도구는 페이스북이고, 미국의 기록관이 가장 다양한 소통 도구를 제공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