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중국영화

Search Result 115,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Demand Function for Chinese Movie Products (중국 영화 상품의 수요함수 추정에 관한 연구)

  • Li, XuZhe;Meng, HaiYang;Bae, Ki-h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35-36
    • /
    • 2018
  • 영화는 하나의 높은 부가가치의 문화상품이며 영화산업도 한 나라의 문화를 반영할 수 있는 전력적인 산업이다. 중국 영화는 1978년 개혁 개방 이후 빠르게 발전하여, 특히 2016년부터 중국 정부는 "중국 영화산업 촉진 법안"을 반포하여 중국 정부는 영화산업을 적극적으로 지지 및 촉진하여 미래에 대해 강한 성장세를 보일 수 있다. 그러나 중국 영화 산업의 제도가 선진국과 달라, 또한 중국의 영화 심사제도의 경직성과 영화산업 구조의 불균형성으로 인해 중국 영화공급 및 수요에 항상 불균형에 빠져있는 문제들이 있다. 이런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본 논문은 중국 영화에 대한 수요함수를 추정함으로써 정부의 정책 수립 및 산업적 지도에 도움이 되거나 투자자에게 참고도 되는 목적이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논문은 Eviews 8.0 이용해 중국 통계국의 통계 데이터를 분석하여 중국 영화 상품에 대한 수요함수를 추정하는 중심으로 실시하였다. 향후 중국 영화 상품 수요함구가 좀 더 미시적인 소비자 선호별, 지역별 구분하여 엄밀한 분석을 필요하다.

  • PDF

The Analysis on 3D Film Industry of China through 3D Film History (3D입체영화의 역사를 통해 중국3D입체영화 산업분석)

  • Yuan, Pin Fang;An, Sung-Woo;Han, Myung-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12.05a
    • /
    • pp.108-111
    • /
    • 2012
  • 중국은 2008년 9월 개봉한 '잃어버린 세계를 찾아서'을 통하여 디지털 입체영화의 시대가 열렸다. 이후 2010년 1월 제임스 카메론 감독의 <아바타>를 통해 중국입체영화산업은 세계적인 입체영상산업에 발맞추어 놀라운 속도로 발전 하였다. 중국의 디지털 시네마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발전과 입체영화를 통한 극장 흥행수입 등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중국시장의 발전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 중국 입체영화 시장의 주요 콘텐츠는 해외에서 수입된 콘텐츠가 주를 이루고 있다. 중국 입체영화 시장의 발전에 비하여 제작분야는 아직은 발전초기단계이다. 본 연구는 중국3D입체영화의 부실이 스토리와 입체효과기술에 있다고 판단하여 콘텐츠 선진국의 3D입체영상 역사와 현황을 파악하고 중국의 3D입체영화의 현황 비교분석하여 그 해결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 PDF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in Chinese Contemporary Tragic Films - Focused on the film - (영화 <5일의 마중>으로 본 현대 중국 비극 영화의 특성 연구)

  • Wu, Ying Zhe
    • Journal of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 /
    • v.15 no.3
    • /
    • pp.65-73
    • /
    • 2021
  • This research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Chinese tragic films with Chinese traditional ethical ideology as the core, analyzes its specific performance in the plot and ending setting of the film , and analyzes the director's tragic narrative strategy of cultural reconciliation in the face of political environment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Chinese contemporary tragic films.The film is a Chinese contemporary tragic film with The Great Cultural Revolution as its historical background. This film is a representative film of Chinese contemporary tragic films. The classic plot has played a certain role in the expression of Chinese traditional ethical ideology such as fatalism and optimistic attitude to life. The male lead's thought changes interpret the Chinese-style tragedy characteristics containing Chinese traditional ethical ideology. In the setting of the ending, the film broke through the "happy ending" model of Chinese traditional tragedies, and chose the open ending of "one tragedy to the end", further showing the time feature of Chinese contemporary tragic film. The euphemism and tenderness of the film as a tragic film is not only due to the compromise with the political culture of power, but also the result of the director's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aesthetics of Chinese tragedy. Through the use of symbolic signs in the film language, it has formed the implicit characteristics of the film narrative in the tragic aesthetic experience. In this paper, the author conducts text analysis for the film and discusses presentation of Director Yimou Zhang's tragic feelings and using the tragic narrative strategy of cultural reconciliation to show his creative wisdom in pursuing artistic breakthroughs under political pressure.

The Reflection of Chinese Elements in The Film (영화 속에 나타난 중국적 요소의 반영)

  • Liu, Jing Rui;Choi, Won-Ho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99-100
    • /
    • 2019
  • 중국의 오랜 역사는 영화 제작에서도 중요한 소재이자, 기반이다. 실제로 세계 시장을 향한 전통적 소재의 영화가 다수 제작되고 있다. 이에 연구자는 영화 속에 나타난 중국적 요소를 체계화하고 분석하여 중국 영화의 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 그럼으로써 깊은 문화의 유산을 알리고, 효과적으로 관객에게 전달할 수 있는 방법론을 체계화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장이머우(張藝謀)의 초기 영화에 나타난 중국적 요소를 중심으로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 PDF

Factors Affecting the Box Office Performance in the Chinese Film Market: Focusing on Films Released in 2010~2014 (중국 영화시장의 흥행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2010~2014년 개봉 영화를 대상으로)

  • Ding, Jieyun;Park, Kyung-Woo;Chang, Byeng-Hee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7 no.6
    • /
    • pp.296-310
    • /
    • 2017
  • The present study analyzed the factors affecting the box office performance of movies in the Chinese market in 2010~2014. A total of 499 movies were selected for the final analyses.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genre, actor/actress power, director power, sequel, remake, release period, award, online evaluation, distributor power, and production area were chosen as independent variables.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most of the independent variables except for distributor power were found to affect box office performance of the movies.

Study 1 of The 100 Best Chinese Films for Storytelling Content Development of Korea and China's Collaborative Film Production -Focused on Films in 1930's- (한중합작 영화의 스토리텔링 콘텐츠개발을 위한 중국 100대 영화연구 1 -1930년대 작품을 중심으로-)

  • Han, Dal-Ho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4 no.11
    • /
    • pp.111-124
    • /
    • 2014
  • This dissertation is to seek new valuable possibility of the 100 best Chinese films on storytelling in Chinese films as considering about content development of Korea and China's Collaborative film production and extension, that being magnified as a new content for variety of Korean film production. The moment to the Korean wave is getting cold in Japan, Korean wave is attempt to receive attention in new field through China by various image field with Korean drama's appeal. However, film content fall short of our expectation than media content, even if supporting much various attempts with Korea and China's Collaborative film production content. Specially, there are not satisfied films for Korea and China both counties's audience, although Korea and China's Collaborative film production has been produced steadily. The writer studies on stories of Chinese essential 100 films for searching deeply this problem. Among them, in selected 'The 100 Best Chinese Films' by China in 2005, films in 1930's are selected as the first step to study, and this dissertation searches to communicate storytelling's meaning in Chinese films through that time image. This studies what is the point of selected story by China, and there are what kind of worries. This dissertation considers that focused on characters, event and background. Chinese film in 1930's represented life in times through process of play development that is connected with poverty, reality of society, death, tragedy and tragicomedy.

A Study on Chinese Role Image In Hollywood Movies (할리우드 영화에서 나타난 중국인 배역 이미지에 관한 연구)

  • Meng, Xiaoyan;Kim, Hae-Y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4.11a
    • /
    • pp.333-334
    • /
    • 2014
  • 할리우드는 전 세계적인 영화의 중심지로 유명하다. 90년대에 접어들어 할리우드 영화중에 중국의 문화 요소와 중국인 배우를 사용하는 경향이 점점 많이 지고 있다. 이 논문은 할리우드 영화에서 중국인 배역을 적용한 사례 분석을 통하여 중국인 배역 이미지가 할리우드 영화에서 어떠한 역할을 하고 있는지에 관한 연구이다.

  • PDF

Research on the Color Design Features of Zhang Yimou's Film "Shadow" (장예모 감독 영화<삼국-무 영자>의 색상 디자인의 특징에 관한 연구)

  • Zhou, wen-yuan;Kim, Hae Y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375-376
    • /
    • 2019
  • 영화는 현대 사회에서 가장 환영을 받고, 가장 영향력을 가진 문화 산업 중 하나로, 우수한 영화 장면 디자인은 영화 스토리 효과의 발전에 빛을 한층 더한다. <삼국-무 영자>는 장예모 감독이 연출하여 2018년에 개봉한 최신 영화로, 이것은 동양의 수묵 스타일 영화로, 주로 흑백으로 나타난다.[1] 이 영화는 2018년 제75회 베니스영화제 비경쟁 상영부문, 토론토국제영화제 상영부문, 런던영화제 경쟁부문에 진출했다. 장예모 감독은 민족문화의 내용을 표현할 때, 중국 문화에 대한 이해와 자신의 문화적 가치관을 자신의 촬영방식으로 풀어냈다. 그의 작품으로 보면, 이 영화의 주제는 주로 중국 고대의 역사문화와 수묵문화에 근거해 표현되며, 중국 전통문화의 독특한 매력에 대한 찬양이기도 하다. 본 논문은 연출 스타일과 동양의 심미적 측면에서 영화가 지닌 예술적 특징, 영화에 담긴 인문정신을 탐구하고, 세계를 향해 중국 수묵문화의 문화적 의미를 소개하는 동시에, 영화의 발전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 PDF

The Present Status of the Chinese Film Industry through the Remake of the Korean-Chinese Joint Film - The Case of the Movie 「BLIND」 and 「I am a witness」 (한중합작영화 리메이크 과정을 통해 본 중국영화계의 현주소 -영화<블라인드(BLIND)>와 <나는 증인이다(我是證人)>를 중심으로)

  • Ahn, Sang-hoo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7 no.11
    • /
    • pp.319-330
    • /
    • 2017
  • Since the placement of the THAAD missiles has recently cooled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China, many Korea-China joint films and entertainment businesses have collapsed. To make matters worse, there is also many opinions for "Korea-China joint film useless" in China through the results of many Korea-China joint films. In my opinion, the causes of failures of the Korea-China joint films are the lack of understanding and experience of Korean filmmakers in the Chinese film industry. So, By examining the history of Chinese cinema in this paper, I want to establish the character formation of the Chinese film industry. And cause a criminal-thriller genre has to undergo more stringer censorship than any other genre, I will introduce the production process of remake of the Korean film . By introducing the censorship method of the Chinese film industry and the actual cases applied, I want to help understand the present status of Chinse film industry. Also, I intend to give some proposals to Korean filmmakers preparing a Korea-China joint film, and express my brief opinion for the development of the Korea-China joint film industry.

A Hong Kong Born Director's Chinese Theme Film : Changes and Influence of Lin Chaoxian's film (홍콩 출신 감독 린차오셴(林超賢) 영화가 중국 주선율 영화에 미친 영향)

  • LI, LA;Moon, Jaecheol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2 no.9
    • /
    • pp.147-155
    • /
    • 2022
  • This article analyzed the new changes Hong Kong director Lin Chaoxian has brought to theme films of Mainland China and the factors affecting these changes. The objects of the analysis are Lin Chaoxian's films (2016), (2018), and (2020). Compared with Mainland China directors suffering from heavy political burden, Dante Lam directed theme films based on the model from commercial films and adopted lots of elements from Hong Kong films. There, the ideology expression in these theme films was no longer rigid, but a diversified value embodiment resonating with the audience. At the same time, these theme films achieved higher commercial value, in which the stereotyped and unrealistic hero images were replaced by realistic and compound characters, and the display of cool or violent action scenes contributed to lots of visual feasts. All the changes were influenced by the audience preferences and the development of private enterprises in Mainland Chin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