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죽음준비

Search Result 88,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Subjective Attitudes towards Terminal Patients of Nursing Students with Clinical Practice Experience: Application of Q Methodology (임상실습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말기환자에 대한 주관적 태도: Q방법론 적용)

  • Lee, Eun Ju;Hwang, Kyung-Hye;Cho, Ok-Hee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v.22 no.4
    • /
    • pp.156-165
    • /
    • 2019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subjective attitudes towards terminal patients in nursing students who had clinical practice. The types of subjective attitude were classified by applying Q methodology. According to those types, basic reference data fo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were provided. Methods: Thirty-four final Q samples were selected, and Q classification with a nine-point scale was performed with P samples of 43 nursing students. A ke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with the collected data using the PC QUANAL program. Results: Nursing students' attitudes towards terminal patients were grouped into three types. The total variable was 49.96%. Students with Type 1 ("wish for life-sustaining medical treatment") thought that terminal patients accurately understood their medical condition and wanted to prolong their lives. Others with Type 2 ("need for service and support") believed that a multidisciplinary nursing system needs to be established to help terminal patients prepare for death. Students with Type 3 ("awareness and acceptance of death") thought that terminal patients wanted to die with dignity at a hospice unit. Conclusion: This study analyzed various types of attitude towards terminal patients, as perceived by nursing students with clinical training experienc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for each attitude type analyzed in this study could contribute to systematic training programs for nursing students caring for terminal patients.

The Elderly's Self-Esteem and View of the Afterlife: Mediating Effects of Positive Satisfaction and the Level of Death Preparation (노인의 자아존중감과 내세관에 관한 연구: 긍정적 만족감 및 죽음준비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Ha, Choonkwang;Kim, Hyosoon
    • Human Ecology Research
    • /
    • v.52 no.4
    • /
    • pp.325-336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the view of the afterlife of the elderly by focusing on mediating effects of positive satisfaction and death preparation. Therefore, this stud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the rest of life and contributes as exploratory research toward strengthening th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well-being of the elderly. After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e found that self-esteem influenced their view of the afterlife through mediating effects such as positive satisfaction and the level of death prepar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esent not only in recovering from death anxiety through an understanding of the level of death preparation and, the view of the afterlife but also in the development of practical intervention materials, which can be useful in social work for the elderly. The elderly's view of the afterlife should be strengthened according to the educational programs on death preparation that deal with the existence of the afterlife and life after death. However, this study has the limitation that only people living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nd not in the other areas of the country were considered in this research. Nevertheless, within its limitation, this study's findings are promising, as they contribute to our understanding of the view of life and death of the elderly; further, the study has academic meaning with respect to helping the elderly successfully carry out their life development tasks and significantly prepare for the rest of their life.

A Phenomenological Study of Experience about Family Caregivers' Caring for Their Terminal Cancer Patient (호스피스 병동 말기 암 환자 가족의 돌봄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Yang, Eun-Sook;Lee, Dong-Hu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7 no.10
    • /
    • pp.667-685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meaning and essence of experience of family members as care-givers of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at hospice wards. This study was based on the Giorgi phenomenological method, which describes the experiences about the family caregivers. We had in-depth interview with spouses and orthogonal families of nine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Results were drawn into 13 essential themes, 45 sub themes, and 122 main points. The essential themes are as follows: "cling of life", "bed-keeper", "sacrifice of care", "physical and mental exhaustion during care process","feeling of love and hatred", "avenge on a patient", "self-condemnation", "futility after exhaustion", "consolation of other caregivers", "utmost efforts in resignation", "freedom from suffering", "paradoxical blessing of cancer", "introspected revolution", and "preparation of a dignified death".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are discussed based on study results.

The Study on the Living-Alone Experience of Elderly Men (남성독거노인의 홀로 살아가는 경험에 관한 연구)

  • Seok, Heejoung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 /
    • v.66 no.3
    • /
    • pp.29-53
    • /
    • 2014
  • This research is to study the economical, psychsocial, physical pains of the elderly mens living alone and the process being out of the isolated life. From this, we expect to propose a supportive program to help the living alone of the elderly mens. Six of the elderly mens living alone joined this research and the hermeneutical grounded theory methodology was applied to interpret it. Data were collected by the depth interview and various written records and they were analyzed by Rennie(2007)'s methodology. We could construct 13 categories by analyzing and categorizing meaningful units of the data. The core theme of the living alone experience was presented as "Accepting self-existence forgotten in the swamp of isolation and preparing for the blessed death." Based upon the research outcomes, we suggested a social supportive program considering the elderly men's characters and a way to improve the accessibility to the therapy system for the elderly mens living alone and the need for a meaning therapy.

  • PDF

Experience of Home-Based Hospice Care of Terminal-Cancer Patients (말기암환자에서 가정호스피스완화 돌봄 경험)

  • Kim, Boon Han;Kang, Hwa Jung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v.17 no.4
    • /
    • pp.223-231
    • /
    • 201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erminal cancer patient's experiences of home-based hospice care.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July 2011 through September 2010. Data were collected from 10 terminal cancer patients who received home-based hospice care services and by using in-depth interview.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Colaizzi's phenomenological method. Results: Data were classified by 25 themes comprising 14 theme clusters and five categories. The five categories were 'life quality deterioration', 'appreciation', 'acceptance of the rest of their lives', 'Prepared for death with religion', 'negative coping'. Conclusion: Systematic hospice care should be provided to understand life experience of patients with terminal cancer who receive home-based hospice care, to help them overcome negative experiences and grow a positive perspective.

The Effects of the Hospice & Palliative Care Education Program for Caregivers (호스피스 완화의료 도우미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 Choi, Gum-Hee;Kwon, So-Hi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v.21 no.1
    • /
    • pp.33-39
    • /
    • 2018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how an education program on palliative care affects nursing home caregivers' perception of hospice care and attitude towards terminally ill patient care.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with a pretest-posttest design. The participants were 101 certified care workers: 58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43 in the control. The experimental group completed the palliative care education program consisted of 20 hours of classroom training and 20 hours of clinical practicum. An ANCOVA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score changes to outcome variables. Result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pretest-posttest differences in both the perception of hospice care (F=21.09, P<0.001) and attitude towards caring for terminally ill patients (F=13.28, P<0.001). Conclus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palliative care education program for caregivers is effective in preparing participants to provide hospice/palliative care service. Further study is warranted to explore the effects of this program on palliative caregivers' performance.

A Biographical Research on Lives of Korean Women with Leprosy (여성한센인의 삶에 관한 생애사 연구)

  • Kim, Mi Ok;Choi, Soo-Yeun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 /
    • v.44 no.1
    • /
    • pp.239-266
    • /
    • 2013
  • This study sets out to explore their experiences using a biographical research method and to suggest appropriate support systems for Korean women with leprosy.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five leprous women. The following main themes were extracted from the practical experiences of leprous women over all their life-span: "encounter the divine punishment", "huge burden on a tiny body", and, "the candle to die down". These themes are listed and described in chronological order. Leprous women were forced to choose concentration hospital to survive social stigma and discrimination. In the hospital, leprous women were treated like a pest, and further deprived of their rights regarding marriage, pregnancy and child care. Until now, they still keep themselves away from society because of their ugly body even though the disease is completely gone. But they keep praying for their children's lives. Finally they accepted a life of tears and regrets and waited for death. This study offers practical knowledge and social work implications for Korean women with leprosy.

The Association of Life Event Stress, Family Function and Cancer (암과 생활사건스트레스 및 가족기능의 연관성)

  • Choi, Youn-Seon;Lee, Young-Mee;Hong, Myung-Ho;Chun, Byung-Chul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v.2 no.2
    • /
    • pp.114-124
    • /
    • 1999
  • Purpose : To clarify the relation between psychosocial variables and cancer in Korea. Methods : Case-control study. Participants: 239 subjects in 2 university hospitals in Seoul completed a series of psychometric instruments(the Olson's FACES III and the Lee's 98-items life event scale). Results : In bivariable analysi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ge and economic status(income): marginal significance in education status and marital status between the cases and controls. The family function type and stress scor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he result of multivariab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risk of cancer was associated with economic status and marital status, but neither the family function nor the life event stress. Conclusion : In this study, we cannot prove the statistical association between the family function, life event stress and cancer. It is necessary to persevere in our efforts to clarify the relation between stress and disease and to develop the useful tools to measure the Korean family function and life event stress.

  • PDF

The Knowledge and Needs of Hospice for Inpatients' Family (입원환자 가족의 호스피스 인지 및 요구도)

  • Ko, Sung-Hee;Kim, Hyun-Kyung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v.8 no.2
    • /
    • pp.131-142
    • /
    • 200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the knowledge and needs of hospice for inpatients' family. Methods: This study was carried out with 277 inpatients' families at J General Hospital located in J city, Korea during the period from March to May, 2004.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self-reporting questionnaire constructed by the authors.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and $x^2-test$ with SPSSWIN 10.0. Results: 83.8% of the respondents heard about hospice mostly through mass communication. 76.9% of the respondents recognized hospice to be helpful and to provide comfort during the remainder of life and to confront the moment of death. Most of the respondents responded positively to the necessity of hospice service, and would receive hospice if necessary. 76.5% of them would consider arranging preparation for death if he/she were to be diagnosed with a terminal illness. 63.9% of the respondents wanted only to be with their family members, 31.4% wanted both the family and hospice members at the moment of death. They named the best helper among the hospice members to be the nurse. 81.6% of the respondents wanted a hospice institution to be established, 23.8% of them report that the most adequate hospice management institution would be the hospice ward in hospital. Conclusion: Consequently, most respondents wanted hospice services. So Korean society is in need of developing adequate teaching and care programs for hospice according to local needs.

  • PDF

AN EXPLORATORY STUDY TO DETERMINE HOW ADOLESCENT STUDENT NURSES VIEW PEDIATRIC NURSING EXPERIENCE AS STRESSFUL SITUATION (소아과 간호학 실습시에 느끼는 성년기 간호학생들의 긴장감에 대한 실험적 연구)

  • Oh, Kasil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
    • v.4 no.3
    • /
    • pp.33-56
    • /
    • 1974
  • 간호를 장래의 전문직으로 택하려고 공부하는 간호학생들은 완전한 성인으로서의 발달 과정중 후기 성년기에 속한다. 이시기는 자아를 발견하고 인간이 무엇을 믿으며 인간의 가치가 무엇인가를 추구하는 중요한 시기이다. 다시 말해서 어른과 어린이의 과도기에 서서 자신의 이상적 가치와 기성사회의 기존 가치를 잘 융화시켜 독립된 인간으로서 성숙하려는 노력의 시기이다. 그러므로 성년기의 갈등은 인생의 어느 시기보다도 그 정도가 심하게 나타난다. 간호학생들은 이상의 일반적인 성년기 발달의 요구 외에도 간호대학이라는 특수한 배움의 여건 때문에 좀 더 심각한 문제에 대두된다. 특히 소아과 간호대학이라는 실습환경은 여러 가지 복잡한 병실 사정으로 많은 긴장감을 주는 학습경험이다. 어린이의 간호에는 그들의 발달과정에 따른 다양한 역활이 요구된다. 또한 병원이라는 낯선 환경과 어머니를 떨어져야하는 두려움으로 불안한 어린이와 그 어린이의 불안과 두려움으로 인해 우울과 죄의식에 있는 어머니의 간호는 여러 면에서 성년기 학생들에게 긴장감을 일으키게 하는 요인이 된다. 본 연구의 문헌조사는 주로 미국 문헌에 나타난 간호 대학생들의 성년기 성숙을 위한 발달의 요구와, 소아병실의 복잡한 여건으로 발생되는 긴장감을 다루고 있다. 문헌을 기초로 하여 저자는 긴장감을 주는 간호활동을 크게 다섯 부군으로 묶었다. 1. 어린이 환자의 신체적 간호, 2. 어린이 환자나 부모와의 원만한 대화와 상호관계를 위한 간호활동 3. 소아병실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간호원의 역활 4. 어린이나 부모의 간호에 대한 의뢰심 5. 간호의 가치나 이상적 간호. 연구방법으로는 49개의 폐쇄식 질문 항목을 가진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질문 항목들은 문헌연구에서 소아과 간호학 실습시 학생들이 긴장감을 느낀다고 밝혀진 내용들이 다. 학생들은 자신의 경험을 "긴장감이 없었다. ""긴장감이 있었다. ""심한 긴장감이 있었다. ""실습 중 경험이 없었다. "의 사항 중 택일을 하게 되어 있다. 연구대상으로는 모 대학교 간호대학 학생으로 산부인과 간호학 실습을 마친 후 소아과 간호학 실습 8주를 완료한 4학년 학생 42명이었다. 자료분석의 결과는 대부분의 학생들에게 소아과 간호학 실습은 긴장감을 주는 경험이 있다고 나타났다. 다음은 연구결과 주목할만한 몇 가지 사항들이다. 1. 어린이 환자의 신체적 간호는 성년기 학생들에게 긴장감을 주는 실습 경험이었다. 특별히 심하게 긴장감을 주었던 간호활동은 어린이환자의 상태가 중한 경우로, 장기간 앓는 아이, 선천성 기형이 있는 아이, 회복이 불가능하여 죽게될 아이나 사망하는 경우의 어린이 간호였다. 이 결과는 간호학의 기본과정 즉, 기초간호학이나 내 외과 간호학 실습만으로 소아과 간호학 실습을 위한 충분한 준비가 되지 못한다는 것을 뜻 할 수도 있다. 한편, 문헌연구에서 밝힌바와 같이 어리고 연약해 보이는 어린이들의 신체조건이 학생들의 간호활동을 어렵게 하는 경우도 될 수 있겠다. 2. 간호학생들의 어린이 환자와의 대화나 원만한 인간관계에서의 긴장감은 이 연구결과로 평가나 제언이 힘들다. 조사결과에서 학생들은 주로 어린이의 상태가 좋지 않은 경우에 심한 긴장감을 가졌고 일반적인 간호의 경우에는 별로 긴장감이 없었다. 이것은 질병의 상태나 화제, 이야기 할 때의 상황에 따라 긴장감의 여부가 달라질 수 있다는 결론이 되겠다. 3. 소아병실에서의 다양한 역활을 수행하는 것은 비교적 긴장감이 많이 생기는 간호활동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재미있는 사실은 학생들이 간호원으로서의 전문가적인 입장에서, 환자나 보호자를 가르칠때는 별로 문제가 없었으나 어린이 기르는 방법이나 어린이 이해면에서 좀 더 잘 안다고 생각되는 어머니가 지켜 볼때의 어린이 간호에는 긴장감을 가진다는 사실이다. 이것은 Jewett의 연구에서 밝힌바와는 상반되는 결과다. 그의 연구에서 학설들은 부모나 어머니들에 의해 전문가로서 인정받고 기대되는 경우가 제일 어려운 경험이 있다고 밝혔다. 4. 어린이 환자나 그들 부모의 간호에 대한 의뢰심은 학생들에게 심한 긴장감을 주는 경험이 있다. 특히 신체적 간호에 대해 의뢰하는 경우에는 더 심한 긴장감을 준다고 표현한다. 일반적으로 부모가 병실에 상주하는 경우에는 그들의 의뢰심이 심하며 이것은 학생들에게 감당하기 힘든 긴장과 어려움을 주게된다. 왜냐하면 성년기의 학생들은 그들 자신이 먼저 타인에게서 이해받기를 원하며 또 관용을 베풀어주기를 원하는데 그것을 남에게 주어야 하는 입장은 학생들을 긴장되게 하는 실습활동인 것이다. 5. 학생들은 그들이 배운 간호의 이상이나 가치가 실습지에서의 여러 경우와 맞지 않는 것을 보았을 때 극심한 긴장감을 갖는다고 밝혔다. 의사나 병원 행정의 사실이 자신의 이상과 맞지 않는다는 것보다는 간호원의 간호업무의 차이에서 더 비판적인 반응을 보였다. 대부분의 성년기 학생들은 그들의 이상적인 간호원상을 그들의 선배나 실무 간호원 중에서 찾으려는 시기에 그들의 간호활동이 이론과 다른 점이나 학생 자신의 소아과 간호의 가치와 다른 것을 보았을 때는 심한 반감과 긴장감을 갖게된다. 이 문제는 어린 사람이 윗 어른과 함께 동료의식을 갖고 일하기 어려운 한국적 사회구조 때문에 더 심하게 긴장감을 주는 경험인지도 모른다. 선배 간호원의 전문인으로서의 권위와 어린이 환자 보호자의 어른으로서의 권위 사이에서 자신의 이상과 가치의 추구는 용이하지 않으며 내적 갈등은 어쩔수 없는 일 일 것이다. 6. 대부분 높은 백분율의 긴장 반응은 죽음이나 환자의 사망에 관련된 간호활동 항목에서 나타났다. 이 연구의 대상 학생들은 2, 3학년에서 죽음에 대한 강의를 들었지만 이 연구 결과에 의하면 충분한 학습 경험이 주어진 것 같지 않다. 어떠한 경우의 죽음에라도 어린이 환자나 그 보호자들의 심리를 잘 이해하고 반응을 잘 관찰해서 적절한 간호를 해 줄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의 학습 경험이 필요하다고 보겠다. 7. 학생들의 긴장도가 어린이 간호에 더 심한가, 보호자 간호에 더 심한가를 알기 위한 비교 결과는 비교적 비슷한 정도로 나타났다. 8. 학생들의 소아과 간호학 실습시의 긴장도는 과거의 병실 실습기간의 장, 단이나 가정에서의 어린인 간호의 경험과는 별 연관성이 없었다. 연구의 대상자가 적기 때문에 단정을 하기는 힘이 들지만 소아과 간호학 실습이 다른 병실의 실습과는 분리되어서 완전히 다르게 다루어 져야만 하며 간호교육자들의 주의 깊은 관심과 노력이 필요한 실습교육이 라 하겠다. 이상의 전반적인 고찰에 의하면 한국 성년기 간호학생들의 소아과 간호학 실습은 미국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긴장감을 주는 경험이다. 문화배경의 다른 점은 무시하고라도 Davis와 Oleson이 결론한 바와 같이 "간호대 학생은 어디를 막론하고 다 같은 성격과 문제를 가지고 있다. " 앞으로 보다 효과적인 학생들의 소아과 간호학 실습을 위한 연구를 위해 다음의 몇 가지를 본 연구의 결과를 가지고 제언한다. 1. 보다 여러 지역에서 다양한 교육 방법을 가진 학교의 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의 필요성. 2. 학생들이 실습 전 선입견이나 이미 들어서 생긴 긴장감의 개입 여부를 밝힐 수 있는 연구. 3. 학생 개인의 과거 경침이 긴장감 유발에 미치는 영향을 위한 연구 4. 이 연구의 결과를 입증할 수 있는 종단적 연구. 5. 이 연구에서 나타난 긴장감이 학습 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알기 위한 관찰적 연구. 이 연구를 위해 많은 도움을 주셨던 보스턴대학의 Dr. Kennedy와 연세대학의 여러 선생님께 심심한 감사를 드립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