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Biographical Research on Lives of Korean Women with Leprosy

여성한센인의 삶에 관한 생애사 연구

  • 김미옥 (전북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최수연 (전북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13.01.31
  • Accepted : 2013.03.22
  • Published : 2013.03.30

Abstract

This study sets out to explore their experiences using a biographical research method and to suggest appropriate support systems for Korean women with leprosy.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five leprous women. The following main themes were extracted from the practical experiences of leprous women over all their life-span: "encounter the divine punishment", "huge burden on a tiny body", and, "the candle to die down". These themes are listed and described in chronological order. Leprous women were forced to choose concentration hospital to survive social stigma and discrimination. In the hospital, leprous women were treated like a pest, and further deprived of their rights regarding marriage, pregnancy and child care. Until now, they still keep themselves away from society because of their ugly body even though the disease is completely gone. But they keep praying for their children's lives. Finally they accepted a life of tears and regrets and waited for death. This study offers practical knowledge and social work implications for Korean women with leprosy.

이 연구는 여성한센인의 삶을 깊이 이해할 목적으로 수행된 것으로, 생애사 연구방법을 활용하였다. 이를 위해 여성한센인을 심층인터뷰한 결과, '천형과의 만남', '개미 같은 몸에 황소 같은 업보', '잦아드는 촛불'의 주제묶음이 도출되었다. 여성한센인은 발병 후 사회적 편견과 차별로부터 생존을 위해 강제 수용되었으며, 수용시설에서의 비인격적인 대우를 받으며 여성으로서의 결혼, 임신, 육아의 기회를 박탈당하였다. 치료 후에도 몸의 추형에 따른 사회로부터의 상대적 격리를 감수하면서, 피맺힌 서러움을 지닌 채 숨은 듯 살아가고 있었다. 한편으로는 차별과 배제로 일관된 한 많은 일생과 여전히 준비되지 않은 죽음을 바라보며 또 다시 체념하는 불안한 모습도 관찰되었다. 이 연구는 그동안 드러나지 않았던 여성한센인의 삶을 있는 그대로 내부자적 관점에서 드러냄으로서, 그들의 삶에 관한 총체적 이해에 유용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본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