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죽음의식

검색결과 83건 처리시간 0.026초

앙드레 말로의 문학작품에 나타난 등장인물의 실존의식과 존재의미 (Existential Consciousness and the Meaning of Characters in André Malraux's Literary Works)

  • 오세정
    • 비교문화연구
    • /
    • 제47권
    • /
    • pp.191-216
    • /
    • 2017
  • 20세기의 서양사상 가운데 하나인 실존주의는 1 2차 세계대전과 대공황, 파시즘의 확산, 스페인내란전쟁 등의 비극적 사건을 겪으며 이성과 과학발달이 인간을 순식간에 피폐와 죽음으로 몰고 가는 결과를 낳게 되자 인간을 위해 인간성을 회복시키는 시대정신이다. 앙드레 말로는 문학작품 속에서 등장인물들의 운명으로써 삶과 죽음의 문제를 제기해 인간이 어떻게 살아가며 어떻게 죽음을 맞이하는가에 대한 실존적 고뇌를 기록한다. 말로의 등장인물들에게 있어 인간의 정체성과 관련된 존재의 부조리는 실존적 자기 성찰을 의미한다. 작가는 생존의 위협이 직접적으로 다가오는 전쟁과 테러, 혁명, 모험 속에서 그들이 죽음에 직면해 운명에 대한 실존적 의식과 행위를 숙고한다. 말로는 자신의 모든 문학 작품들 속에서 죽음의 문제를 밀도 있게 다루고 있으며 이는 철학적 사고의 중심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말로는 "정복자"(Les $Conqu{\acute{e}}rants$, 1928), "왕도의 길"(La Voie Royale, 1930), "인간조건"(La Condition Humaine, 1933), "희망"(L'Espoir, 1937)의 장편소설에서 비극적 상황에 놓인 등장인물들을 통해 삶의 의미는 무엇인가라는 철학적 명제를 제시하며, 그들이 운명을 스스로 지배하려는 실존의식과 존재의미를 추구한다. 말로는 이러한 비극적 세계관 속에서 인간성과 삶의 긍정, 죽음을 부정하는 등장인물들의 의식과 행동을 나타낸다. 죽음의 고뇌는 예측할 수 없는 본능적인 욕구와 도박, 아편 등의 도피적 행동을 유발하지만, 그것은 절망에서 벗어나려는 처절한 몸부림이며 자신의 존재는 누구인가라는 질문과 연계된 것이다. 말로의 실존주의적 사고로서 항상 부각되는 점은 죽음에 대한 운명의식으로 인해 결국엔 인간이 얼마나 고독한 존재인가라는 숙명적 인간조건의 비극적 형이상학이다. 하지만 소설에서 등장인물들은 모험과 혁명, 전쟁 속에서 동료들과 함께 행동하며 타인을 위하여 개인주의를 초월하는 동지애적인 연대의식은 인간존중이 된다. 인간애와 인간성 회복이라는 공동의 목표를 두고 자발적으로 구성된 인간들 사이의 동지애는 대의를 위해 목숨을 바칠 수 있는 인간의 위대함이 내재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말로의 동지애는 휴머니즘의 세계를 창조할 수 있는 존재의식의 승리를 포함한다.

죽음에 대한 종합적 고찰

  • 김순자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7-17
    • /
    • 1994
  • 사람은 자연계 생물의 한 종(species)으로 태어나 자라고 늙거나 병들어 모두 반드시 죽는 고로 죽음은 생물학적인 존재인 인간에게 나타나는 보편적이고 필연적인 현상이다. 사람의 죽음은 생명 스위치를 끄듯이 일순간에 일어나는 현상이 아니고 일련의 과정을 거친다. 심장이나 폐장 또는 뇌와 같은 생명장기의 기능이 정지되면 생체액의 흐름이 정지되고 이로써 사람을 이루고 있는 모든 장기, 조직 및 세포의 생명현상이 멈추게 된다. 사람을 이루고 있는 세포가 모두 죽는 시간은 아무도 알 수 없기 때문에 사람의 죽음을 판정하는 일은 쉽지 않고 이에 실용적인 생의학적 판정기준이 논의되어 최근에는 뇌사를 죽음의 판정기준으로 하는데 동의하고 있어 "뇌의 기능이 비가역적으로 정지된 상태"는 죽음의 한 측면이다. 자신에게 다가올 죽음을 예측하면서 사는 존재인 사람에게는 이 생물학적인 과정을 거치는 동안 위격인 자아의 종결(consummation of personal self)이 함께 이루어지며 이 과정은 죽는 사람은 물론이고 가족 및 친지에게 있어서도 지극히 주관적인 고유한 경험이다. 죽음의 주체인 사람은 의지의 동물이며, 인간이 희망하고 추구하는 모든 행위는 이 의지의 표현이다. 인간의 의지 가운데 큰 의미를 두는 것은 삶, 특히 "영원한 삶"에 대한 의지여서 인간의 죽음은 의식(儀式)으로 정교하게 가꾸어져 문화가 되었다. 따라서 생의학적인 상태에 지나지 않는 인간의 죽음은 단편적인 사실로서 또는 경험의 과정으로서 뿐 아니라 종교, 관습, 문화적인 요소를 포함하는 거시적이고 포괄적인 종합체계로의 접근으로서 깊은 이해에 이를 수 있다.

  • PDF

간호학과 1학년의 도덕적 행동, 생명의료윤리 의식, 죽음 태도가 호스피스 인식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Moral Behavior, Biomedical Ethics Consciousness, and Death Attitudes on Hospice Awareness in Nursing Freshman)

  • 김정숙;제남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호
    • /
    • pp.275-284
    • /
    • 2021
  • 본 연구는 간호학과 1학년을 대상으로 호스피스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간호대학생의 호스피스 인식과 죽음에 대한 태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호스피스완화 간호중재 및 전략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G도에 소재한 J대학 간호학과 185명을 대상으로 자료수집 하였다. IBM SPSS WIN/25.0을 이용하여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을 사용하였다. 호스피스 인식은 도덕적 행동(r=.22, p=.002), 생명의료윤리 의식(r=.29, p<.001)과 상관관계가 있었다. 대상자의 호스피스 인식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생명의료윤리 의식(β=.224, p=.012), 그 다음으로, 부모님의 경제력(상)(β=.187, p=.027) 순이었다. 설명력은 11.5%이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호스피스 인식 제고를 위한 대학생활 동안 도덕적 행동과 생명의료윤리 의식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체계적인 프로그램이 필요하며, 호스피스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effects of death orientation and attitude toward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on awareness of biomedical ethics among paramedic students

  • Park, Yunhee;Song, Hyo-Suk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2호
    • /
    • pp.181-188
    • /
    • 2020
  • 본 연구는 응급구조과 대학생의 죽음의식,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태도, 생명의료윤리인식의 수준을 파악하고, 생명의료윤리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D시에 소재한 일개대학 응급구조과 재학생 228명을 대상으로 시행하였으며, 자료수집은 2019년 4월부터 6월까지 자기보고식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연구결과로 생명의료윤리인식과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태도 간에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r=.63, p<.001). 다중회귀분석결과, 생명의료윤리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종교(β=.12)와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태도(β=.61)로 41.0%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따라서 생명의료윤리인식을 향상시키기 위해 응급구조과 학생들의 교육프로그램은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태도에 초점을 맞추어야 할 것이다.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 의식, 좋은 죽음 인식, 자아존중감이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Nursing Students' Consciousness of Biomedical Ethics, Good Death Recognition, and Self-Esteem on the Attitude toward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 최은정;정혜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275-284
    • /
    • 2018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 의식, 좋은 죽음 인식, 자아존중감이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일개 대학에 재학 중인 간호학과 학생 204명으로, 자료 수집은 2017년 10월 24일부터 10월 31일까지 설문조사를 통해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Win.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간호대학생의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태도는 4점 만점에 $2.97{\pm}0.29$점, 생명의료윤리 의식은 $3.01{\pm}0.31$점, 좋은 죽음 인식은 $3.24{\pm}0.38$점, 자아존중감은 4점 만점에 $3.23{\pm}0.41$점이었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태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항목은 없었다.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태도와 좋은 죽음 인식 및 자아존중감은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고,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좋은 죽음 인식인 것으로 나타났다. 즉, 좋은 죽음 인식이 높을수록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태도가 더 긍정적임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간호 대학생의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긍정적 태도 형성을 위해 좋은 죽음 인식을 높일 수 있는 체계적인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고, 추후 간호대학생의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태도의 영향요인을 탐색하는 심도 있는 연구를 제언한다.

현대시조 주제에 대한 비평적 고찰 (A critical study on the themes of modern Sijo)

  • 최재선
    • 한국시조학회지:시조학논총
    • /
    • 제25집
    • /
    • pp.49-73
    • /
    • 2006
  • 이 글은 현대시조의 다양한 주제 양식에 대한 관심에서 시작하여 시조의 제재를 시인의 자아, 혹은 인간사의 내면에 깃든 근원적 문제에 천착해 주제로 형상화한 작품을 세 가지 영역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첫째, 자아성찰과 시인의 자의식과 시인의식을 주제로 다룬 시조에는 메타시조 형식의 시, 시 쓰기에 대한 '시론'격의 작품 등이 있다. 시인 자신이 자아에 대한 인식이 치열할수록 현실적 자아와 이상적 자아 사이의 갈등을 통해 '부끄러움'을 느끼지만 이를 극복하고 의미 있는 시를 창작하고자 하는 진지한 자세와 시인의식 이 주제로 표출된다. 둘째, 인간이 직면할 수밖에 없는 죽음의 문제를 다룬 시조는 죽음의 타나톱시스(Thanatopsis: 사관(死觀))를 표현한다 그러나 죽음에 대한 철학적 성찰과 깊은 담론보다는 직정적인 감정과 죽음에 대한 단상들이 표현되고 있어 이러한 주제에 대한 형상화는 운문보다는 산문의 영역에서 보다 효과적으로 표현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죽음에 관한 다양한 제재가 시조의 영역에서 주제화되는 것은 현실적 삶의 태도를 돌아보고, 생의 깊은 이면에 깃들인 인간의 본질적 문제에 관심을 갖게 한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일이다. 셋째, 인간과 신에 대한 근원적 문제를 제기하는 주제의식은 주로 기독교적 세계관을 토대로 창작된 작품을 통해 나타난다. 이러한 주제를 다루는 시조의 경우 속악하고 부조리한 현실의 삶을 방관하는 신의 의지에 대한 항의와 불만, 이기적 욕망으로 인해 고뇌하는 인간의 모습을 그리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독교적 사유를 바탕으로 쓰인 시조에는 역설적으로 신의 섭리에 대한 순명이 나타난다. 이러한 유형의 시조는 기독교 세계관과 종교적 신앙을 주제로 표현할지라도 시인이 지닌 자유로운 시 정신과 창작태도가 있다면 생경한 종교적 언어에 함몰되지 않고. 호교적 신앙시로 축소되지 않을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위에서 살펴본 몇 가지 주제들은 우리 시조의 관심을 피상적인 현실의 문제를 넘어 생의 깊은 국면으로 전환해 그 이면에 깃들인 인간의 자아의식과 고독, 삶과 죽음, 절대적 존재에 대한 물음 등을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시인의식의 지평을 넓히고 현대시조의 주제 의식을 심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PDF

호스피스교육 유무에 따른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죽음의식, 호스피스인지도, 태도 및 간호요구도 비교 (A Comparative Study on Death Orientation and the Cognition & Nursing Needs of Hospice in Hospice Volunteers - a comparison between the trained and non trained volunteer -)

  • 강기선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223-233
    • /
    • 2003
  • Purpose: The purpose of study was to identify the death orientation and cognition, attitude and nursing needs in hospice care according to training of volunteers. Method: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which included characteristics, death orientation and cognition, attitude and nursing needs in hospice care. Data collection was done between June 1st and 20th, 2003.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the 86 trained hospice volunteers and 76 non-trained hospice volunteer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PC+ program. Result: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verage for the death orientation scores between non-trained hospice volunteers and trained hospice volunteer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for the cognition of hospice and attitude, with higher responses being given by the hospice trained group. For the domains of nursing needs in hospice care, the highest response was to emotional needs.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training in hospice care was effective in changing the death orientation, cognition, attitude and nursing needs in hospice care.

  • PDF

호스피스 교육프로그램제공 전과 후 간호사의 죽음의식비교 (Comparison of Death Orientation of Nurses before and after Hospice Training Program)

  • 최순희;박민정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213-219
    • /
    • 2004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for the purpose of comparing death orientation scores of nurses before and after a hospice training program. Method: The participants were 56 nurses who completed the hospice training program at C university in Kwang Ju city. The data were gathered from October 2001 to December 2002 by questionnaire.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frequency, paired t-test,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Results: The mean scores for death orientation before and after hospice training were mid range scores of 57.2 and 57.0 respectively and this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The death orientation score before hospice training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work place (F=3.16, p=.033)' of nurses but after the hospice training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for any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e death orientation scores before and after hospice training showed no correlation with the religiosity score either. Conclusion: Considering the mid range scores and the lack of significant difference after the intervention, this study shows that there is a need to analyze the content of hospice education programs and the need to change death orientation. This is especially true when the participants are professional hospice nurses who are being prepared to give care to people who are dying. In order to develop more appropriate programs there is a need to examine the process by which nurses come to view death more positively.

  • PDF

간호 대학생이 실습 중 관찰한 죽음의 의미고찰 (A study on the meaning of Death Observed by Nursing College Students)

  • 김미화;이은수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2호
    • /
    • pp.7-13
    • /
    • 2022
  • 본 연구는 간호학과에서 준행하는 실습을 이수한 간호대학 4학년에게 죽음에 대한 본질적인 의미를 탐색해 보는 질적 연구이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전라북도 K시 일개 대학 4학년의 학생으로 죽음 대한 강한 의식을 갖추고 이에 대한 인식을 갖춘 15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수집은 죽음과 관련된 논문을 읽고, 병원 실습을 1004시간 이수한 학생으로 질문에 대해 80시간 내에 면담과 자기 보고서를 통하여 작성하도록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Krippendorff의 현상학적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죽음과 관련한 경험을 분석한 결과 3개 범주, 9개 주제 30개 의미 있는 진술로 도출되었다. 3개의 범주는 '끝, 그리고 함께하다', '죽음, 혼자와의싸움,' '무서움과 두려움'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결과 간호 대학생에게서 죽음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신규간호사들이 맞이하는 죽음에 대한 스트레스를 대처하는 프로개발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