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주행 효율

Search Result 633,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A study on Cleaning Efficiency by Navigational Methods of a Cleaning Robot (청소 로봇의 주행 기법에 따른 청소 효율성에 관한 연구)

  • Woo, Beomjun;Woo, Young W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3.01a
    • /
    • pp.17-18
    • /
    • 2013
  • 이 논문에서는 저비용 고효율 청소 로봇을 구현하기 위한 효율적 주행 기법을 발굴하기 위하여 다양한 주행 기법들을 제안하고, 시뮬레이션 도구를 이용하여 실험한 후 그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 논문에서 저비용이라는 것은 전방에 하나의 근접 센서만을 갖는 단순한 구조의 청소 로봇을 의미하며, 이전 주행 경로나 장애물에 대한 영상 정보 등은 물론 좌우 상태에 대한 정보없이 진행 경로 상에 장애물의 존재 여부만으로 청소를 수행할 수 있는 청소 로봇을 의미한다. 이 논문에서 제안한 여러 주행기법들을 비교 분석한 결과, 바둑판식 주행 기법의 패턴에 주행 중 진행 방향을 0.05의 확률로 좌우 90도 방향으로 랜덤 변경하는 주행 기법이 가장 효율적인 주행 기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자동화 컨테이너 터미널에서의 AGV 충돌 방지 및 교착 해결 방안

  • Gang, Jae-Ho;Choe, Lee;Gang, Byeong-Ho;Ryu, Gwang-Ryeol;Kim, Gap-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teligent Information System Society Conference
    • /
    • 2005.05a
    • /
    • pp.103-112
    • /
    • 2005
  • 자동화 컨테이너 터미널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장치장과 안벽 사이를 오가며 컨테이너를 운반하는 무인유도 차량(Automated Guided Vehicle: AGV)들이 효율적으로 주행하여 제 시간에 필요한 위치에 도착함으로써 연계 작업들의 지연을 최소화하여야 한다, 만일 AGV들이 목적지까지 주행하여야 하는 거리가 길거나 주행 중에 다른 AGV들과의 충돌이나 교축을 피하기 위하여 대기하여야 하는 상황이 빈번히 발생하면 주행 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주행 경로의 길이를 줄이기 위하여 경로들을 보다 유연하게 설정할 수 있게 허용하면 경로들간의 교차 가능성이 높아져 교통 통제가 어려워지고 결과적으로 충돌과 교착이 발생할 가능성은 높아진다. 특히 교착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하서는 문제가 발생할 소지가 있는 영역을 미리 파악하여 일부 영역을 다른 AGV들이 점유하지 못하도록 제한하여야 하는데, 이는 자칫 AGV 주행 공간의 활용도를 떨어뜨릴 수 있다. 또한 교착의 파악과 이를 방지하기 위한 제어는 실시간에 이루어져야 하므로 연산 부담이 상당하다. 본 논문에서는 유연한 주행 경로 설정이 가능하며 주행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주행 경로 표현법과 충돌 방지 방안을 제안한다. 또한 교착 발생 가능성을 사전에 파악하고 회피(avoidance)하는데 소요되는 연산비용을 줄여 실시간 적용 가능성을 높이기 위하여 교착해결(deadlock resolution)에 기반을 둔 AGV 주행 관리 방안을 제시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안의 효율성을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검증해 보았다.

  • PDF

Autonomous Vehicle Situation Information Notification System (자율주행차량 상황 정보 알림 시스템)

  • Jinwoo Kim;Kitae Kim;Kyoung-Wook Min;Jeong Dan Choi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22 no.5
    • /
    • pp.216-223
    • /
    • 2023
  • As the technology and level of autonomous vehicles advance and they drive in more diverse road environments, an intuitive and efficient interaction system is needed to resolve and respond to the situations the vehicle faces. The development of driving technology from the perspective of autonomous driving has the ultimate goal of responding to situations involving humans or more. In particular, in complex road environments where mutual concessions must be made, the role of a system that can respond flexibly through efficient communication methods to understand each other's situation between vehicles or between pedestrians and vehicles is important. In order to resolve the status of the vehicle or the situation being faced, the provision and method of information must be intuitive and the efficient operation of an autonomous vehicle through interaction with intention is required. In this paper, we explain the vehicle structure and functions that can display information about the situation in which the autonomous vehicle driving in a living lab can drive stably and efficiently in a diverse and complex environment.

Automated Driving Aggressiveness for Traffic Management in Automated Driving Environments (자율주행기반 교통운영관리를 위한 ADA 개념 정립 및 적용 기법 개발)

  • LEE, Seolyoung;OH, Minsoo;OH, Cheol;JEONG, Eunbi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36 no.1
    • /
    • pp.38-50
    • /
    • 2018
  • Emerging automated driving environments will lead to a mixed traffic flow depending on the interaction between automated vehicles (AVs) and manually driven vehicles (MVs) because the market penetration rate (MPR) of AVs will gradually increase over time.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mixed traffic conditions, and developing a method to control both AV and MV maneuverings smoothly is a backbone of the traffic management in the era of automated driving. To facilitate smooth vehicle interactions, the maneuvering of AVs should be properly determined by various traffic and road conditions, which motivates this study.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the aggressiveness of AV maneuvering, defined as automated driving aggressiveness (ADA), affect the performance of mixed traffic flow. VISSIM microscopic simulation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derive proper ADAs for satisfying both the traffic safety and the operational efficiency. Traffic conflict rates and average travel speeds were used as indicators for the performance of safety and operations. While conducting simulations, level of service(LOS) and market penetration rate(MPR) of AVs were also taken into considerations. Results implies that an effective guideline to manage the ADA under various traffic and road conditions needs to be developed from the perspective of traffic operations to optimize traffic performances.

Calculation of Motor Power with Convenience Equipment for Pepper and Fruit Vegetable Harvest (고추 및 노지채소 수확작업 편이장치의 구동모터 선정)

  • Kim, Yeongsu;Jang, SukGeun;Kim, JiMan;Choi, Hwon;Oh, Sungkil;Lim, HackKyu;Kim, TeaH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17.04a
    • /
    • pp.61-61
    • /
    • 2017
  • 노지 고추 수확작업은 100% 인력에 의존하고 있으며 7~9월에 걸쳐 5~6회의 다수의 작업이 수행되어 노동 강도가 크다. 또한 농촌의 고령화와 노동력 감소로 인하여 수확인력의 부족이 발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고추 및 노지채소 수확작업 편이기기는 동력이 아닌 인력으로 이랑사이를 이동하며 작물을 수확하는 구조로 되어있다. 이는 노동 강도를 줄여주는 효과가 미미하기 때문에 동력이 수반된 편이장치가 필요하며 또한 적절한 모터 및 제어장치가 요구된다. 적절한 모터를 선정함에 있어서 영향을 주는 인자는 주행저항(RR)이며, 구성요소로는 구름마찰저항(Rr), 공기저항(RА), 등판저항(Rg), 가속저항(Ra)이 있으며, 다음과 같은 식으로 정의된다. 주행저항(RR)=구름마찰저항(Rr)+공기저항(RA)+등판저항(Rg)+가속저항(Ra) 구름마찰저항(Rr)=구름마찰저항계수(${\mu}$)${\times}$차량총중량(W) 등판저항(Rg)=차량총중량(W)${\times}Sin{\theta}$ 공기저항(RА), 및 가속저항(Ra)은 1m/s 미만의 속도가 요구되기 때문에 무시할 수 있다. 동력원에서 최종 구동축으로 전달된 동력은 주행장치를 통하여 지면에 전달되고 이 동력에 의해 작업차의 주행장치에 추진력이 발생하며 주행장치의 추진력이 주행저항 이상이 될 때 작업차는 전진하게 된다. 따라서 작업차의 주행속도를 V(m/s), 전동기의 효율을 ${\mu}_m$, 동력전달효율을 ${\mu}_{TD}$라고 하면 다음과 같은 식이 산출된다. 전동기의 소요출력(P)=주행저항(RR)${\times}$속도(V)/전동기의 효율(${\mu}_m$)${\times}$동력전달효율(${\mu}_{TD}$) 구름마찰계수를 0.3이라고 할 때 포장의 경사도와 작업차의 주행속도 변화에 따른 주행소요 동력을 비교하였다. 주행소요동력은 포장의 경사각과 주행속도의 증가와 더불어 증가한다. 고추 및 노지채소 수확작업 편이장치의 작업시 요구되는 주행속도는 일반적으로 0.25m/s, 등반각은 5도이다. 이때 구동 전동기의 출력은 안전율을 고려하여 식에 의해 계산한 결과 1ps으로 산출 되었다. 선정한 구동모터의 감속비는 7.18 : 1, 에너지의 효율은 78 %, 기동토크는14 N/m 이며, 축전지의 경우 구동모터에 기반 하여 구입이 간편하고 상용화 되어있는 연축전지를 사용하여 교체 및 수리가 간단하도록 하였다. 축전지는 12V 18Ah의 축전지 2개를 사용한다.

  • PDF

Mobile Robot Velocity Estimation Using Redundant Number of Optical Mice (여유 개수의 광 마우스를 이용한 이동로봇 주행속도 추정)

  • Kim, Sung-Bok;Jeong, Il-Hwa;Lee, Sang-Hyup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7.04a
    • /
    • pp.315-318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이동로봇 바닥에 설치된 여유 개수의 광 마우스를 이용하여 주행 중인 이동로봇의 속도를 효율적으로 추정하는 방안에 대해 기술한다. 먼저, 이동로봇의 속도 벡터와 광 마우스의 속도 벡터간의 관계를 과결정 선형시스템(Overdetermined Linear System)으로 표현한다. 다음, 과결정 시스템에 대한 최소자승 해(Least Squares Solution)로써 이동로봇의 주행 속도를 효율적으로 추정한다. 마지막으로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안된 이동로봇 주행 속도 추정법의 유효성을 확인한다.

  • PDF

자동화 컨테이너 터미널에서의 무인 자가 운반 하역차량의 동적 라우팅 방안

  • Hwang, Jin-Geun;Kim, Jeong-Min;Ryu, Gwang-Ryeo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3.06a
    • /
    • pp.83-85
    • /
    • 2013
  • 무인 자가 운반 차량은 컨테이너 터미널 내 선박과 장치장 사이를 오가며 컨테이너를 운반하는 무인 장비로 컨테이너를 집고 내리는 하역 능력을 갖고 있다. 터미널에서 컨테이너의 처리량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컨테이너 운송 시간을 최소화하여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차량의 효율적인 주행 경로 설정이 필요하다. 최적의 주행경로를 설정하기 위한 방법으로 A*, ant colony optimization과 같은 탐색알고리즘을 이용해서 주행경로를 찾는 방안이 연구된바 있다. 하지만 교통 상황에 따라 최적의 주행 경로는 바뀌게 되는데 기존의 연구에서는 결정된 주행 경로에 대한 수정이 없기 때문에 이러한 변화를 반영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주행 중인 차량이 다른 차량의 간섭에 의하여 대기하는 경우 대기 시간을 이용하여 새로운 주행 경로를 탐색 하여 현재 교통 상황에 맞는 최적의 경로를 찾는 방안을 제안하였으며 실험을 통해 기존 방안보다 더 효율적임을 확인하였다.

  • PDF

Path-planning using Modified Genetic Algorithm and SLAM based on Feature Map for Autonomous Vehicle (자율주행 장치를 위한 수정된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한 경로계획과 특징 맵 기반 SLAM)

  • Kim, Jung-Min;Heo, Jung-Min;Jung, Sung-Young;Kim, Sung-Shi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 /
    • v.19 no.3
    • /
    • pp.381-387
    • /
    • 2009
  • This paper is presented simultaneous localization and mapping (SLAM) based on feature map and path-planning using modified genetic algorithm for efficient driving of autonomous vehicle. The biggest problem for autonomous vehicle from now is environment adaptation. There are two cases that its new location is recognized in the new environment and is identified under unknown or new location in the map related kid-napping problem. In this paper, SLAM based on feature map using ultrasonic sensor is proposed to solved the environment adaptation problem in autonomous driving. And a modified genetic algorithm employed to optimize path-planning. We designed and built an autonomous vehicle. The proposed algorithm is applied the autonomous vehicle to show the performance. Experimental result, we verified that fast optimized path-planning and efficient SLAM is possible.

Aerodynamic Investigation on Platooning Formation For Improvement of Fuel Efficiency (연료 효율 개선을 위한 군집주행 배열 형태 분석)

  • Lee, Seung-Ho;Baek, Jong-Jin;O, Se-Jong
    • Proceeding of EDISON Challenge
    • /
    • 2014.03a
    • /
    • pp.591-596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EDISON_전산열유체 시스템을 활용하여 군집주행 형태 변화에 따른 항력계수 및 연료효율 변화를 분석하였다. 해석 대상은 자동차 형상을 단순화한 모델인 아흐메드 형상(Ahmed body)을 이용하였다. 동종차량 간 거리변화에 따른 항력계수 및 연료효율의 변화, 이종차량의 배열순서변화에 따른 항력계수 및 연료효율을 분석하며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4대의 동종차량 군집주행시 항력계수를 최대 69% 감소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km 당 0.073L의 연료를 절감할 수 있다.

  • PDF

An Effect of Maximizing Efficiency Control of Induction Motor for Electric Vehicle Drive Systems(II) (전기자동차 구동시스템에서의 유도전동기의 최대효율제어 효과(II))

  • 최욱돈;김동희;노채균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 /
    • v.14 no.5
    • /
    • pp.74-79
    • /
    • 2000
  • This paper presents the test result of electric vehicle to evaluate a point of difference between maximizing efficiency control and conventional constant flux control(CFX) strategy of induction motor driver. A proposed maximizing efficiency control(MEC) strategy is compared with th constant flux control strategy. The comparison test is carried out with two types of F.T.P-72 and E.P.A driving schedule. This research shown the effectiveness of an enlargement of driving distance of the electric vehicle when a maximizing efficiency control strategy adopt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