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주행 안전성

Search Result 774,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Parametric Study of the Effects of Train Wind on Turnover Safety (차량 전복 안전성에 끼치는 열차 풍압의 파라메타 연구)

  • Nam, Seong-W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 /
    • v.12 no.6
    • /
    • pp.961-966
    • /
    • 2009
  • When constructing a high-speed railroad, the reduction of the distance between track centers and the width of track bed will save the construction cost. However the shortening the distance between track centers may cause the stability problems due to higher wind pressure. Therefore the extensive technical review and aerodynamical study should be performed to determine the adequate distance between track centers. In this study, the impact that the increase in wind pressure due to the change of aerodynamic phenomena with the change of the distance between track centers may have on two trains passing by each other was predicted, and the stability of train operation was analyzed in order to review the distance between track centers suitable to Honam HSR trains. We conducted the parametric study of the effects of train wind on the running stability.

Uncertainty Sequence Modeling Approach for Safe and Effective Autonomous Driving (안전하고 효과적인 자율주행을 위한 불확실성 순차 모델링)

  • Yoon, Jae Ung;Lee, Ju Hong
    • Smart Media Journal
    • /
    • v.11 no.9
    • /
    • pp.9-20
    • /
    • 2022
  • Deep reinforcement learning(RL) is an end-to-end data-driven control method that is widely used in the autonomous driving domain. However, conventional RL approaches have difficulties in applying it to autonomous driving tasks due to problems such as inefficiency, instability, and uncertainty. These issues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autonomous driving domain. Although recent studies have attempted to solve these problems, they are computationally expensive and rely on special assumptions.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algorithm MCDT that considers inefficiency, instability, and uncertainty by introducing a method called uncertainty sequence modeling to autonomous driving domain. The sequence modeling method, which views reinforcement learning as a decision making generation problem to obtain high rewards, avoids the disadvantages of exiting studies and guarantees efficiency, stability and also considers safety by integrating uncertainty estimation techniques. The proposed method was tested in the OpenAI Gym CarRacing environment, and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MCDT algorithm provides efficient, stable and safe performance compared to the existing reinforcement learning method.

Autonomous driving system for emergency situations (돌발 상황을 대비한 자율주행 시스템 구현)

  • Lee, Jung-Min;Jang, Se-Hui;Yoon, Yong-I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1.11a
    • /
    • pp.181-184
    • /
    • 2021
  • 자율주행 기술이 고도화됨에 따라 사용자가 주행 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주행을 제어할 수 있는 자율주행 서비스가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또한, 돌발 장애물을 고려하며 정해진 경로로 주행하는 자율주행을 구현하고자 해당 시스템을 설계하게 되었다. 해당 시스템은 차량, 서버, 애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되어있으며 구성요소 간의 실시간 통신을 통해 차량 주행 상황 및 사용자 제어 명령을 자유롭게 전달하고자 했다. 차량의 자율주행 알고리즘을 구현하기 위해 이미지 데이터 처리에 효과적인 CNN을 활용하여 장애물 회피 모델과 라인 트레이서 모델을 구현하여 해당 모델들을 하나의 솔루션으로 통합하였다. 해당 솔루션 구현을 통해 차량이 마주할 수 있는 돌발 상황에 대처하는 자율주행의 안전성을 높이고자 했으며 자율주행 환경에서 사용자 조작을 용이하게 하고자 하였다.

자율주행자동차 시험운행에 관한 각국 법안의 비교 및 정책적 시사점

  • NamGung, Hye-Ri;Won, Yu-Hyeong;Gang, Seon-Jun;Han, Won-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7.05a
    • /
    • pp.489-497
    • /
    • 2017
  • 사물 인터넷, 클라우드 컴퓨팅,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 첨단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하여 모든 사물들의 지능화와 초연결을 지향하는 것을 나타내는 4차 산업혁명에 대한 관심은 나날이 증가하고 있다. 4차 산업혁명과 관련된 다양한 분야의 기술들 중에서 인공지능을 활용한 자율주행자동차 기술과 관련하여 논의를 진행하고자 한다. 여러 국가에서는 자율주행자동차 시장선점을 위해 관련 기술의 발달에 몰두하고 있다. 그러나 자율주행자동차의 상용화를 위해서는 기술의 발달뿐만 아니라 관련 법제도의 정비가 더욱 필수적인 요소라고 본다. 자율주행자동차가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시험운행에 대한 규제를 완화시켜야 할 것이며, 향후 상용화가 될 경우 야기될 수 있는 민사적 손해배상문제와 형사책임의 문제, 과실책임의 문제, 사이버 보안문제 등을 대비할 수 있는 법제도 마련을 촉구하고자 한다. 타국가와의 자율주행자동차 법제도 비교분석을 통해 우리나라의 도로교통법과 기존 법 제정상태를 고려하여 법안 마련에 방향성을 설정하는 데에 목표를 두고 있다.

  • PDF

차륜/레일 작용력 측정을 위한 스트레인 게이지 응용기술

  • 함영삼;오택열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4.05a
    • /
    • pp.176-176
    • /
    • 2004
  • 21세기 고속철도시대에 진입하면서 차량고속화에 수반하여 주행안전성 면에서 빼놓을 수 없는 문제로 가장 중요한 탈선의 현상이 있다. 철도에 있어서 탈선은 대형사고로 직결되기 때문에 결코 쉽게 간과할 수 없는 부분이며, 철도가 다른 교통수단에 비해 상대적인 장점으로 내세울 수 있는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반드시 차륜과 레일 사이에서 발생하는 상호 작용력을 측정하여 탈선가능성을 평가하여야만 한다.(중략)

  • PDF

A Study of Graphic User Interface at the Telematics Display on Driving (텔레매틱스 단말기 GUI의 설계에 관한 연구 -Menu Type, Structure, Font Size에 관하여-)

  • Hong, Hwa-Hyeon;Park, Peom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a
    • /
    • pp.599-607
    • /
    • 2006
  • 텔레매틱스 정보단말기는 가독성, 시인성, 주행 안전성의 사용성과 HMI(Human Machine Interface)를 고려하여 설계해야 한다. 텔레매틱스 정보단말기 GUI을 구성하는 요소로 Menu Type, Menu Structure, Font Size 등이 있다. 그러나 한글이라는 지역적 특성에 대한 연구가 미흡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국내 운전자를 대상으로 텔레매틱스 정보단말기 GUI Factor에 대해 국내의 환경에 맞는 설계를 도출하였다. 피험자는 총 30명(남자 24명과 여자6명)을 대상으로 가상 주행 시스템을 이용한 시뮬레이션 환경에 Task를 수행하도록 하여 실험을 하였다. 분석은 ANOVA, 다원배치법, T-test, Font 일반식 대입을 통해 이루어졌다. Menu Type은 가로세로 2*3 배열의 형태와 버튼간 간격을 주행안전성 및 시인성에서 고려하여 설계해야 한다. Menu Structure는 3Depth가 3Frame 보다 주행안전성 및 시인성이 5%유의수준에서 더 우수하다고 나타났다. 운전자 안구 거리에 따른 Font Size를 도출하는 일반식은 어두운 글자인 경우 0.0069radian * d = Font Size 가 되고, 밝은 글자인 경우 0.0075radian * d = Font Size 가 된다. 위와 같이 본 연구는 GUI 세가지 항목에 대하여 국내 운전자의 사용성과 텔레매틱스 정보단말기 간의 인터페이스를 고려하여 기존의 시스템에 대하여 에러를 줄이고, 수행능력을 향상 시켜 주었다.

  • PDF

자율 주행 자동차 관련 SW기술 동향

  • Jang, Seung-Ju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3 no.4
    • /
    • pp.27-33
    • /
    • 2016
  • 자율 주행(스마트) 자동차는 첨단 IT기술을 이용하여 사람의 개입을 줄여서 운행하는 자동차를 말한다. 자율 주행(스마트) 자동차는 자율적으로 차량 주변 환경 및 상황을 판단하여 정해진 목적지까지 안전하게 이동하는 차량을 의미한다. 자율 주행(스마트) 자동차는 주행 안전성과 운전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 형태로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자율 주행(스마트) 자동차 기술은 자율 주행의 정도를 적용하여 단계별로 개발이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자율 주행 자동차 기술은 인간 세상에 또 다른 변혁을 몰고 오고 있다. 자율 주행 자동차와 관련한 기술은 첨단 IT기술을 기계 자동차에 접목하는 것인데, 적용하는 IT 기술은 HW, SW기술로 나눌 수 있다. IT HW 기술로는 환경 인식에 필요한 HW, 위치 인식 HW, 판단/제어를 위한 여러가지 센서 HW 등이 있다. IT SW 기술로는 IT HW를 구동하기 위한 실시간 OS, IT HW 전장장치를 구동할 수 있는 여러가지 SW 관련 기술, 자율 주행을 위한 경로 알고리즘 등이 있다. 본 고에서는 자율 주행 자동차에 적용되는 IT SW 기술 중심으로 살펴본다.

Analysis of Running Safety and Ride Comfort According to the Shape of Transition Curve (완화곡선형상별 차량주행안전성 및 승차감 분석)

  • Choi, Il-Yoon;Um, Ju-Hwan;Kim, Man-Cheol;Park, Chan-Kyo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 /
    • v.13 no.5
    • /
    • pp.509-515
    • /
    • 2010
  • Primary function of a transition curve is to accomplish gradual transition from the straight to circular curve, so that curvature changes from zero to a finite value. The transition curve enhances the running safety and ride comfort of the vehicle in curve. There are a couple of transition curve such as clothoid, cubic parabola and cosinusoidal curve, etc. In this study, running behaviors of cubic parabola and cosinusoidal curve were investigated and compared by numerical analysis result using VAMPIRE program. Ride comforts for an individual transition curve were evaluated for each transition curve and running behavior and safety were also evaluated to compare the capacity of transition curves.

Factors Affecting Adoption Intention of Autonomous Vehicle (자율주행 자동차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Beck, Sung-yon;Lee, So-young
    • Journal of Venture Innovation
    • /
    • v.5 no.4
    • /
    • pp.91-108
    • /
    • 2022
  • This study is an empirical analysis regarding what kind of factors affect the intention to use autonomous vehicles. For the empirical analysis the research model was derived from value-based adoption model base and integrated some aspects that only autonomous vehicles have. At default variables of VAM are usefulness, enjoyment, technicality, perceived cost, some autonomous vehicle related variables were added, and those are convenience, safety, security, social influence. A survey was done in order to empirically analyze with this research model, and 216 valid survey answers were chosen to analyze. Empirical analysis was done by structural equation using AMOS24. The result of empirical analysis were as follows. Variables usefulness, enjoyment, safety, security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perceived value. Technicality and perceived cost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f perceived value. In addition, security and social influence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perceived value. Furthermore, perceived value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intention to use. Among the variables that came out to be significantly positive, the most influencing variable was safety, followed by convenience, perceived cost, enjoyment, usefulness and then technicality. In addition, the analysis of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value shows that usefulness, enjoyment, convenience, safety, technicality, perceived cost had mediating role towards intention to use. However, security and social influence had no siginificant mediating effect towards intention to use. Considering all these research results this study has provided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to researchers on the intention to use autonomous vehicles.

Method of Multiple Scenario Transformation and Simulation Based Evaluation for Automated Vehicle Assessment (자율주행자동차 평가를 위한 다중 시나리오 변환과 시뮬레이션 기반 평가 방법)

  • Donghyo Kang;Inyoung Kim;Seong-Woo Cho;Ilsoo Yun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22 no.6
    • /
    • pp.230-245
    • /
    • 2023
  • The importance of evaluating the safety of Automated Vehicles (AV) is increasing with the advances in autonomous driving technology. Accordingly, an evaluation scenario that defines in advance the situations AV may face while driving is being used to conduct efficient stability evaluation. On the other hand, the single scenarios currently used in conventional evaluations address limited situations within short segments. As a result, there are limitations in evaluating continuous situations that occur on real roads. Therefore, this study developed a set of multiple scenarios that allow for continuous evaluation across entire sections of roads with diverse geometric structures to assess the safety of AV. In particular, the conditions for connecting individual scenarios were defined, and a methodology was proposed for developing concrete multiple scenarios based on the scenario evaluation procedure of the PEGASUS project. Furthermore, a simulation was performed to validate the practicality of these multiple scenario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