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주요주제

검색결과 1,130건 처리시간 0.025초

의학대학 소속 연구자 발표 논문의 주제 분야에 대한 분석 (An Analysis of Research Topic Areas of Medical School Researchers)

  • 김희정;최상희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05-126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미국의 주요 의과대학 소속 연구자들이 발표한 연구논문 주제영역을 분석함으로써, 의학 주제영역의 학제적 성격에 대한 파악과 함께 국가별 연구 주제 영역의 특성과 경향을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저널 수로 파악된 한국 의학 연구자들의 주요 연구 영역은 CLINICAL NEUROLOGY이며 논문수로 파악된 주요 연구영역은 RADIOLOGY, NUCLEAR MEDICINE & MEDICAL IMAGING로 나타났다. 반면, 미국 의학 연구자들의 주요 연구영역은 저널 및 논문 분석 결과 모두 동일하게 BIOCHEMISTRY & MOLECULAR BIOLOGY로 나타났다. 또한 한국 연구자들은 몇몇 주제분야에서 일부 저널에 논문을 다수 게재하는 출판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국가의 주제별 국가도서관 체계 및 격차 분석 (Analysis on Systematization and Gap of Subject-based National Libraries in Major Countries)

  • 윤희윤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69-96
    • /
    • 2009
  • 지난 해 8월 대통령 소속의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가 수립 공표한 '도서관발전종합계획'에 '국가 지식정보 활용을 위한 국가도서관 체계 재정립'이 주요 정책과제의 하나로 포함되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주요 선진국 및 국내의 주제별 국가도서관 체계를 집중 분석하고 그들의 상대적 격차를 비교하였다. 이러한 분석과 비교는 후속 연구과제인 '한국 국가도서관의 주제별 체계화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논거로 삼는데 목적이 있다.

  • PDF

딥러닝 연구동향에 대한 계량서지적 분석 (A bibliometric analysis on deep learning research trends)

  • 이재윤
    • 한국정보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관리학회 2017년도 제24회 학술대회 논문집
    • /
    • pp.11-14
    • /
    • 2017
  • 딥러닝 연구동향에 대한 계량서지적 분석을 자아 중심 주제 인용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서 Web of Science에서 'deep learning'으로 검색된 인용빈도 상위 15건의 논문을 핵심 논문으로 삼고, 이들 핵심 논문 15편을 인용한 논문 집합을 자아 문헌집합으로 삼았으며, 자아 문헌집합들이 인용한 주요 문헌들을 인용 정체성 문헌집합으로 설정하였다. 인용 정체성 문헌집합에 대해 동시인용분석을 실시하여 주요 문헌, 주요 연구 주제를 파악하고, 영향을 끼친 주요 선행 연구를 파악해보았다.

  • PDF

국제기구에서 바라보고 있는 e-Navigation PNT의 역할과 요구성능

  • 박상현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39-141
    • /
    • 2013
  • e-Navigation은 해사안전과 관련하여 국내외에서 가장 주목받고 있는 주제임에 분명하다. 본 논문은 e-Navigation에서 주요한 요소로 다루고 있는 PNT(Position, Navigation, Timing)의 중요성과 역할에 대해서 설명한다. 그리고 국제기구에서 논의되고 있는 PNT 관련 쟁점 사항들을 주제별로 분류하고, 각각의 주제가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를 정의한다. 더불어 본 논문은 최근에 국제기구가 요구하고 있는 PNT 성능이 정의한 문제와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보인다. 마지막으로 e-Navigation에서 목표로 하는 PNT 성능을 구현하기 위한 주요 선진국의 대응 현황에 대해 알아보고, 향후 발전방향에 대해 전망한다.

  • PDF

이용자 요구 기반 장서개발을 위한 대학도서관 희망도서 주제 분석 (A Topic Analysis of Requested Books by User Types at a University Library for Patron-Driven Acquisition)

  • 최상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8권1호
    • /
    • pp.395-415
    • /
    • 2024
  • 대학도서관의 장서개발에 있어 희망도서는 이용자의 직접적인 정보요구를 해결하는 수서방식이다. 이 연구에서는 대학도서관의 효율적인 장서개발을 위해 희망도서를 신청하는 이용자 집단간의 주제 선호도를 파악하고자 대학도서관의 10년치 희망도서를 분석하였다. 장서개발에 있어 이용자의 희망도서 신청이 활발한 영역을 파악하는 것은 사서가 장서개발의 핵심 영역을 파악하고 균현있는 장서개발 정책을 수립하는데 필요한 사항이다. 이용자별 주요 주제영역을 파악하기 위하여 KDC 주제분류를 매핑한 분석결과 모든 신청자 집단에서 '사회과학'이 주요 대주제 영역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중주제 분석에서는 대학원생의 주요 주제 분야로 '의학'과 '심리학'이 나타나 다른 신청자 집단과 차별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원생의 희망도서 영역이 다른 집단과 차별화된 요인은 A대학에서 대학원이 가장 활성화되어 있는 전공영역을 중심으로 희망도서 신청이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지만 여가용으로는 희망도서 신청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긴 때문에 이와 같은 현상이 나타난 것으로 분석되었다. 주제 네트워크 분석에서는 학부생은 공무원, 취업과 진로 등 다른 신청자 집단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주제들이 주요 주제 클러스터로 나타났고 대학원생은 소수 전공 주제에 집중되어 주제 클러스터가 형성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정원설계를 통한 대학생의 정원인식에 관한 연구

  • 김혜주;이경진
    • 한국조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조경학회 2017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3-15
    • /
    • 2017
  • 정원(Garden)은 거주하는 주택과 외부공간의 전이공간 및 소통의 역할을 하고 있는 장소이며, 한국조경헌장에서 조경의 대상에 첫 번째로 거론되고 있는 중요한 조경계획의 대상이다. 조경학과 대학생들이 조경계획수업 시간에 처음 맞이하게 되는 주택정원설계에서 그들이 갖고 있는 정원에 대한 주제, 시설, 식재의 주요 사항들을 파악하고자 본 연구를 시작하였으며, 연구의 대상은 조경학과 대학생 2학년과정이며 시간적 범위는 2012년부터 2015년까지 4개년의 과제제출물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학생들의 정원설계작품을 살펴본 결과 첫째, 대학생들의 정원설계에서 사용되는 주요 주제는 가족과의 활동과 개인 취미생활, 자연에 관한 주제가 가장 많이 표현되었고, 이것은 정원안에서 개인과 가족과의 관계성을 고려하고 배려하는 곳이 정원이라는 인식을 갖고 있다고 보여진다. 둘째, 정원설계에서 조성되는 주요 시설은 휴양시설, 관리시설, 조경시설 순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일부 설계안에서는 교양시설과 유희시설이 조성되어 있었다. 셋째, 정원설계 작품의 식재경향은 교목위주의 식재가 많고, 관목과 지피와의 다층구조식재의 설계안은 몇 작품 보이지 않았으며, 독립식재와 군식 및 열식이 조화롭게 배치되지 못하고 있고, 지피류를 도입한 설계안이 많지 않았다. 오늘날의 정원설계는 다양한 디자인이 요구되고 있고, 근래 다수의 정원박람회에 출품되고 있는 정원작품 또한 디자인과 재료, 주제의 다양성이 풍부해지고 있다. 따라서, 대학생들의 정원설계과정에서 현재 학생들이 갖고 있는 주택정원에 대한 주요 요소에 대하여 다양성과 지속가능성을 높여줄 수 있는 효과적인 방향설정이 필요하다.

  • PDF

교원자격검정 표시과목 공통사회(지리) 및 지리의 기본이수과목별 주요주제 설정 (The Establishment of Principal Themes of Basic Completion Subject in Common Social Studies(Geography) and Geography as an Indication Subject for Examination of the Teacher's Qualification)

  • 최원회;서태열;권정화;박철웅;박선미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648-665
    • /
    • 2007
  • 현재의 공통사회(지리)교육전공 및 지리교육전공 학과의 교육과정은 교육부가 발행한 교원자격 실무편람 상의 기본이수과목만 제시하고 있고, 기본이수과목별 주요주제는 설정하고 있지 않다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기본이수과목별 주요주제의 미 설정 상태는 공통사회(지리)교육전공 및 지리교육전공 학과의 표준교육과정의 부재상태로 연결되고 있고, 급기야 해당 중등교사 임용시험의 출제와 응시에 많은 애로를 야기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선 공통사회(지리) 및 지리의 21개 기본이수과목들을 대상으로 주요주제를 설정하였다. 이러한 '공통사회(지리) 및 지리의 기본이수과목별 주요주제'는 '공통사회(지리)교육전공 및 지리교육전공 학과의 표준교육과정의 내용요소'와 '공통사회(지리) 및 지리의 중등교사 임용시험의 평가요소'를 설정하는데 기반이 될 것이다. 특히, 기본이수과목별 주요주제 설정'과 '표준교육과정 작성'은 교육부가 2009년 동시시행 예정으로 추진하고 있는 '사범대학 교육과정 개편'과 '중등교사 임용시험 제도 개편'을 감안하면, 시의적절한 일이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설정된 '공통사회(지리) 및 지리의 기본이수과목별 주요주제'는 사정상 짧은 시간에 이루어진 것이므로 재 연구되어야 한다. 기타, 표시과목 지리의 기본이수과목은 구성 자체에 많은 문제점들을 내포하고 있으므로 반드시 개정되어야 한다.

어린이 그림책의 주제접근을 위한 주제명표 개발 (Developing Subject Headings for Subject Access of Children's Picture Books)

  • 박지영
    • 한국정보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관리학회 2012년도 제19회 학술대회 논문집
    • /
    • pp.105-108
    • /
    • 2012
  • 어린이 그림책의 효과적인 주제접근을 위해서는 주제명의 부여가 필수적이다. 그러나 어린이 그림책은 표제나 목차 등 자료 자체에서 주제명을 발췌하기가 어렵다. 또한 일반도서를 위한 주제명표를 그대로 사용하기도 적합하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 그림책을 위한 별도의 주제명표를 개발하였다. 주제명표 개발을 위해서는 영미권의 그림책 주제명표를 참고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우리 문화와 언어에 맞도록 기존의 표목을 수정.추가하였다. 또한 그림책의 주요 독자층인 어린이에게 적합한 표목을 선정하기 위해 초등국어사전 등을 참고하였다. 그리고 시범적으로 구축된 주제명표를 어린이도서연구회의 추천그림책을 대상으로 적용하였다. 앞으로는 지속적인 주제명 부여 작업을 통해 주제명표를 정련하고, 그림책의 주제분석을 위한 지침을 추가적으로 제공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 PDF

한국의 노인주거연구의 경향 - 한국과 일본, 미국의 연구 경향 비교를 중심으로 - (A Review of Research Trends on the Elderly Housing in Korea : In Reference to the Comparison of Research Trends Among Korea , Japan and the U.S.A.)

  • 최정신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7권2호
    • /
    • pp.45-56
    • /
    • 1996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에서 장래에 이루어질 노인주거연구의 주제를 예측할 수 있도록 일본, 미국, 한국의 노인주거연구의 경향의 차이를 파악하고 비교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는 세나라에서 1940년대부터 1990년대 현대까지 발표된 노인주거연구에 대한 학술지와 논문을 분석함으로써 이루어졌다. 세 나라에서 전체 772편의 논문을 수집하여 이를 발표된 연도와 주제에 따라 분류하였다. 본 연구는 일본과 미국의 연구 경향의 특징을 별도로 발표한 후속 연구이다. 일본에서는 1950년대에 노인주거에 대한 연구가 시작되어 80년대 후반에 절정을 이루었으며, 그 이후로 서서히 관심이 줄어들고 있는 추세이다. 일본에서의 주요 주제는 노인홈과 노인시설내의 주 생활조사, 3대 동거 주택, 유료노인홈과 노인시설의 소비자 문제등이다. 미국의 경우, 노인주거의 연구는 일본보다 빠른 1940년대에 시작되어 70년대와 80년대에 걸쳐서 다른 때보다 더 많은 연구가 발표되었다. 주요주제는 1970년대부터 80년대에는 노인주거와 노인시설에 집중되어 있었으나 80년대 이후에 노인주거의 연구방법과 노인주택정책방향으로 관심이 바뀌고 있다. 한국에서의 노인주거에 대한 연구는 세나라 중에서 가장 늦은, 1970년대 후반부터 시작되어 80년대 후반 이래로 그 관심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한국에서 가장 관심이 있는 연구대상의 하나는 일본과 마찬가지로 기혼자녀와 노부모와의 동거주택에 대한 주제이다. 이상 세나라의 연구주제에서의 차이점은, 한국과 일본에서는 모두 노인주거와 연구방법 분야에는 비교적 관심이 적은 반면, 미국에서는 3대동거주택에 대한 관심이 적은 것이다. 일본과 미국 두나라에 비하여 한국에서는 노인주거 연구에 있어서 아직까지 다양한 주제를 발견하기 어려운데 그 이유는 한국에서는 노인주거에 대한 구체적인 개발이 아직까지 이루어지지 않아서 노인주거에 대한 경험도 많지 않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앞으로 한국에서도 노인주거가 개발된다면 그 후에는 보다 다양한 연구주제가 나타날 것이라고 기대된다. 예를 들면 노인거주시설의 질적인 비교, 특수한 형태의 노인주거에 대한 요구, 노인주거내의 주생활조사나 평가, 노인을 위한 설비의 디자인 등에 관한 연구들을 생각해 볼 수 있다.

  • PDF

2020년 코로나-19 관련 한국 주요 신문에서 방역관련 주요 주제어 분석 (Analysis on the Key Words related to Healthcare Issues of the Prevention and Control of COVID-19 in Major Korean Newspapers, 2020)

  • 김민영;구보경;윤보라;백진원;이무식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46권3호
    • /
    • pp.153-161
    • /
    • 2021
  • 이 연구는 2020년 코로나-19 관련 신문기사를 유행기간에 따른 방역조치 범주별 주요 주제어 중심으로 분석하여, 한국 사회에서 코로나-19관련 방역에 대한 보도의 전체적인 내용과 경향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20년 2월 17일부터 12월 31일까지 보수, 중도, 진보 성향의 세가지 신문의 코로나-19 관련 기사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이 중 월요일과 목요일의 1면기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R studio를 이용하여 코로나-19 유행기간에 따른 각 범주별 주제어 언급빈도의 관련성을 카이제곱검정 등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20년 코로나-19 유행기간별로 한국의 3대 신문의 1면 기사에서 방역조치 범주별 주요 주제어를 분석한 결과, 비약물적 조치가 54.3%로 가장 많았으며, 3Ts(검사, 추적, 치료 및 백신) 31.9% 순이었다. 둘째, 유행기간별 기사의 건수는 제1차 휴지기가 28.5%로 가장 많았고, 비약물적 조치 기사는 제1차 휴지기 30.6%, 3Ts 제1차 유행기 28.6%로 가장 많아 유행기간별로 방역조치 범주별 주요 주제어 보도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셋째, 비약물적 조치 범주에서 주요 주제어를 분석한 결과, 전체적으로 사회적 거리두리가 33.9%로 가장 많았으며, 공공시설 제한운영이 17%, 영업제한 14.2%, 마스크와 손씻기 12.3% 등 순이었다. 유행기간별로 비약물적 조치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넷째, 3Ts(검사, 추적, 치료) 및 백신 등 범주에서 주요 주제어을 분석해 보면, 전체적으로 진단검사가 41.8%, 역학조사 및 병상관련이 각각 20.9%였으며, 치료제 및 백신이 16.5% 등 순이었으며, 유행기별로 3Ts(검사, 추적, 치료) 및 백신 등 주제어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2020년 코로나-19 관련 신문기사를 유행기간에 따른 방역조치 범주별 주요 주제어을 분석한 결과, 비약물적 조치가 가장 많았고, 유행기간별로 방역조치 범주별 주요 주제어 보도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음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