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주산기

검색결과 207건 처리시간 0.026초

주산기아사가 있는 환아에서 나타나는 Tc-99m ECD 뇌 단일광자컴퓨터촬영에서의 롤란도야의 혈류감소: 자기공명영상 및 임상소견과의 비교 (Perirolandic Hypoperfusion on Tc-99m ECD Brain SPECT in Term Infants with Perinatal Asphyxia: Comparison with MRI and Clinical Findings)

  • 이선아;유영훈;이종두;황윤준;김동익;윤평호;전평;문성욱;박창일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8
    • /
    • 1997
  • 뇌성마비는 뇌 발달시기중 초기의 장애로 인하여 운동기능과 자세의 이상 등을 초래하는 질환으로 임상적으로 여러 유형으로 나누어진다. 뇌성마비 환자중에서 MRI 상 롤란도야의 이상소견을 보이는 경우 특이한 임상적 특징을 나타낸다고 보고되어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들을 대상으로 하여 뇌 단일광자컴퓨터촬영에서 나타나는 뇌혈류 이상 소견과 MRI 소견, 그리고 임상양상들을 비교해보고자 하였다. 임상적으로 뇌성마비로 진단된 80여명의 환자중 MRI상 롤란도야에 저산소성 뇌질환의 소견을 보인 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에게 5-10mCi의 Tc-99m-ECD를 정맥주사후 뇌 단일광자컴퓨터촬영을 하였다. 뇌 단일광자컴퓨터촬영상에서는 특히 뇌피질, 선조체, 시상, 뇌간 및 소뇌의 혈류이상 소견을 분석하였고, 이를 MRI 소견 및 임상증상과 비교하였다. 모든 환자들은 만삭 또는 만삭에 가깝게 태어났고, 주산기 아사가 여섯명의 환자에서 있었다. 임상적으로는 긴장성 사지마비로 나타났다. Tc-99m ECD를 이용한 뇌 단일광자 컴퓨터촬영상 롤란도야의 혈류감소는 모두에서 확연하게 나타났다 MRI상에서 롤란도야의 이상소견은 5명에서는 확실하게 나타났고, 2명에서는 의심되었다. MRI상에서 이상소견을 보인 것보다 더 광범위한 부분에서 뇌단일광자컴퓨터촬영상 이상소견이 보였다. 결론적으로, 롤란도야에서 이상소견을 보인 환자는 임상적, 구조적, 그리고 기능적으로 특이한 소견을 보였다. Tc-99m-ECD를 이용한 뇌 단일광자컴퓨터촬영은 매우 민감하게 반영하였고, MRI보다 뇌의 더 광범위한 부위에서 이상소견을 보였다.

  • PDF

주산기 암컷 백서의 태아에 방사선피폭에 따른 선천성기형 발생 시 셀레늄과 엽산 혼합물의 방사선 방호효과 (Radiation Protective Effect of Selenium and Folic Acid Mixtures in the Development of Congenital Anomalies Following Radiation Exposure to the Fetus of Perinatal Female White Rats)

  • 정도영;최형석;김장오;신지혜;김주희;박경진;민병인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41권2호
    • /
    • pp.157-162
    • /
    • 2018
  • This study is a search for radiation protection effects of radiation exposure on the organogenic period during the prenatal period, which is known to be the most likely to have congenital malformations by radiation exposure. To study the radiation protection for the mixture of selenium that is strong antioxidant and folic acid that is essential vitamin for DNA synthesis, 2 Gy of radiation was irradiated to pregnant female rats. then, after 14 days of fetal birth, observing blood components, SOD(Superoxide Dismutase), histological changes and external malformations. There was a significant protective effect to reduce blood cell damage(p<0.05) in the irradiation group after selenium and folic acid mixture were administered than irradiation group, and the activation of SOD which is antioxidant enzymes was increased. In addition, confirmed the effect of suppressing the expression of apoptosis of small intestinal cells and the reduction of cerebral cortex layer reduction by radiation. thus, it was confirmed that the congenital malformations were reduced as a result of these protective effects. Based on these results, selenium and folic acid mixture may reduce the incidence of congenital malformations, and it will reduce the damage of the fetus caused by the exposure of the organogenic period due to accidents.

신생아 패혈증에 관한 임상적 고찰 (A Clinical Observation on 55 Cases of Neonatal Sepsis)

  • 박재홍;신손문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5권2호
    • /
    • pp.161-169
    • /
    • 1988
  • 1. 성별 빈도는 남아 42례(1.12%), 여아 13례(0.44%)로 남아에서 여아보다 더 많이 발생 하였고 미숙아에서의 발생 빈도는 2.65%로 만삭아에서 0.76% 보다 높았다. (P<0.05) 2. 발병일 별로는 생후 4일내에 발생한 조기 발병형 신생아 패혈증은 26례(47.3%)였으며, 생후 5일 이후에 발생한 만기 발병형 신생아 패혈증은 29례(52.7%)였고, 조기발병형 신생아 패혈증에서 주산기 합병증의 빈도가 만기 발병형 신생아 패혈증보다 높았다(38.5% vs 10.3%, P<0.05). 3. 임상소견으로는 수유곤란 52.7%로써 가장 많았고 황달(45.5%), 설사(30.9%), 보챔(30.9%)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4. 검사상 소견으로는 미성숙 백혈구수가 20% 이상인 경우와 CRP가 1+ 이상인 경우가 진단에 도움이 되었다. 5. 원인균으로는 그람 양성균이 37례, 그람음성균이 19례였으며 그람 양성균중에서는 Staphylococcus epidermidis가 23례(41.1%)로 가장 많았고 그람 음성균중에서는 E. coli가 9례(16.1%)로 가장 많았으며 조기 발병형 신생아 패혈증과 만기 발병형 신생아 패혈증간의 원인균의 차이는 없었다.

  • PDF

분만여성과 배우자의 출산연령이 산모와 신생아 합병증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Advanced Maternal and Paternal Age on Perinatal Outcome)

  • 이민경;신혜숙;이윤정;김주희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95-101
    • /
    • 2012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impact of advanced maternal and paternal age on perinatal outcome in Korea. Methods: We conducted a retrospective study involving 1,622 Korean women who delivered at M Woman Hospital from January to December 2010 and their spouses were included. We obtained obstetrics database which include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medical and obstetrics history, course of the current pregnancy and advised perinatal outcome. Multivariable logistic regression was used to adjust for potential confounding variables. Results: Women giving birth age 35 or older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paternal age, gravidity, spontaneous abortion experience, method of conception, method of delivery, and multiple gestation compared to women aged <34 years. After adjusting for the confounding effects of maternal characteristics, women aged 35 or older were at increased risk for cesarean section delivery (adjusted OR 1.6, 95% CI 1.22-2.13) and preterm birth (adjusted OR 2.2, 95% CI 1.03-4.63). Conclusion: In this population of Korean women, advance maternal and paternal age is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specific adverse perinatal outcome, especially preterm birth and cesarean section delivery.

쌍태임신에 관한 임상적 고찰;I. 주산기 사망 (Clinical Study in Twin-Pregnancy;I. Perinatal Mortality)

  • 박찬규;곽현모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8권1호
    • /
    • pp.23-34
    • /
    • 1981
  • In order to study twin pregnancies, a retrospective survey was carried out in Yonsei University, Severance Hospital. Twin deliveries during 1967-1976 numbered altogether 264, and their relative frequency was 1.30%. Clinical palpation in addition to auscultation and roentgenologic technique had been used in the twin diagnosis. The diagnosis was made prior to delivery in 93.18% of the cases. The deliveries took place in the 37.26th (S.D. 3.95) gestational weeks on an average. The mean weights of the infants were-A (first baby) 2416.03g. (S.D. 802.61), and B (second baby) 2299.81g. (S.D. 190.31). The most common manner of twin delivery was spontaneous vaginal delivery. Cesarean section was done in 14.39%, of which the most common indication was hypotonic uterine dysfunction (34.21 %). Low one minute Apgar scores occured more often in B twins than among A twins. Breech delivery gave low one minute Apgar scores more often than did spontaneous vertex delivery in both twins. Full term twins and infants weighing more than 2500g. had fewer low one minute Apgar scores than the preterm infants and those with low birth weight. Perinatal mortality (PNM) in the total series was 14.77% (A 12.50% and B17.05%). The most common cause of perinatal mortality was prematurity in 44.87%. The worst outcome was recorded for the age groups 15-19 and ${\geqq}$40, in which perinatal mortality were 50.00%, respectively. The perinatal mortality of both A and B infants was lowest in the group diagnosed early during antenatal care before delivery. On the basis of our findings, we wish to emphasize particularly the importance of the early diagnosis of twins.

  • PDF

Genetics of Pre-eclampsia

  • Kim, Shin-Young;Ryu, Hyun-Mee
    • Journal of Genetic Medicine
    • /
    • 제8권1호
    • /
    • pp.17-27
    • /
    • 2011
  • 자간전증은 전세계적으로 모성 및 주산기 사망과 이환의 주된 원인이나 아직까지 병인기전은 명확하게 규명되지 않은 실정이다. 자간전증은 일반적으로 두 단계 질환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 임상의 첫 단계는 모체의 나선동맥의 얕은 세포영양아층 침투에 의한 태반 부전이 발생한다. 태반 부전에 의한 허혈성 태반이 모체의 순환 혈류 내로 용해성 인자와 싸이토카인, 영양막 조직파편을 유리하면, 전신적인 내피세포 손상 및 기능 부전을 야기하고, 이로 인하여 자간전증 이차 단계인 모체 증후군이 나타난다. 역학적 연구에서 자간전증에 대한 유전적 소인이 일관되게 증명되었다. 집중적 연구 노력에 의한 감수성 유전자 발견은 자간전증의 병태생리를 이해하는데 있어서 유용한 정보를 줄 것이며 자간전증의 치료 및 예방 방법에 대한 방향을 제시할 것이다. 본 주제에서는 자간전증의 병태생리에 있어서 유전적 요인의 역할에 대한 최신 이해를 요약하고 자간전증의 유전적 실마리를 찾기 위한 분자적 접근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주산기 가사가 있는 신생아에서 theophylline의 신기능 개선 효과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The Effect of Theophylline on Improvement of Renal Function in Asphyxiated Neonate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 이주원;이소연;안숙희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15-124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was to assess the preventive effect of theophylline on acute kidney injury and the ameliorative effect of theophylline on renal function in asphyxiated neonates. A literature search of the PubMed/Medline, Embase, and Cochrane Library databases for information published up to February 2019 was conducted. All studies that reported the incidence rate of acute kidney injury, serum creatinine level, and glomerular filtration rate after the randomized administration of theophylline or placebo were included. In total, eight studies involving 498 neonates were eligible. The incidence rate of acute kidney injury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theophylline group than in the placebo group (risk ratio [RR]: 0.42, 95% confidence interval [CI]: 0.32-0.55, p < 0.001). The changes in serum creatinine level in the theophylline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the placebo group from the first day of life to 3 and 5 days of age (weighted mean difference [WMD]: -0.51, 95% CI: -0.62 to -0.40, p < 0.001, and WMD: -0.26, 95% CI: -0.34 to -0.18, p < 0.001, respectively). The changes in glomerular filtration rate in the theophylline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the placebo group from the first day of life to 3 days of age and the last day of follow-up (WMD: 12.30, 95% CI: 9.39-15.21, p < 0.001, and WMD: 9.35, 95% CI: 6.43-12.27, p < 0.001,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ophylline has a beneficial effect on the prevention of acute kidney injury in neonates with perinatal asphyxia.

임부를 위한 자비명상 기반 중재의 가능성 탐색: 예비연구 (An Examination of the Possibility of Loving-Kindness and Compassion Meditation for Pregnant Women: A Preliminary Study)

  • 김민정;허정문;김완석
    • 스트레스연구
    • /
    • 제25권2호
    • /
    • pp.145-154
    • /
    • 2017
  • 임부들의 심리적 안정과 태아와의 건강한 관계는 주산기 적응에 중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신건강과 대인관계 개선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는 자비명상을 임부용으로 개발하기 위하여 탐색적 예비연구를 진행하였다. 효과성과 개선점을 파악하기 위해 4주 자비명상 프로그램 참가자(n=8)들의 스트레스, 우울, 태아애착, 마음챙김 및 자기자비를 기저선과 사후에 측정하였으며,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바탕으로 현상학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는 자비명상이 임부의 심리적 안정과 태아와의 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가능성이 나타났으며, 회기구성 및 가정수련 보강방안 등의 보완점들을 발견할 수 있었다. 본 연구가 임부용 자비명상 개발을 위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추후 연구들을 촉진할 것이라 기대한다.

초극소 저출생체중아에서 예방적 indomethacin 투여효과 (Effect of prophylactic indomethacin in extremely low birth weight infants)

  • 이보련;김수진;구수현;전가원;장윤실;박원순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9권9호
    • /
    • pp.959-965
    • /
    • 2006
  • 목 적 : 신생아 중환자실에서 환자 치료의 질적, 양적 성장으로 인해 초극소 저출생체중아의 생존률은 많은 향상을 보였음에도 불구하고 동맥관개존증 및 뇌실내출혈과 연관된 이환율 및 사망률은 높은 실정이다. 이에 저자들은 초극소 저출생체중아에서 동맥관개존증과 뇌실내출혈을 예방하기 위한 시도된 약물 중 indomethacin의 예방적 투여에 대한 효과와 부작용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 법 : 2004년 6월부터 2006년 4월까지 삼성서울병원 신생아 집중치료실에 입원한 재태연령 29주, 출생체중 1,000 g 미만의 초극소 저출생체중아 84명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의무기록을 조사하였다. Indomethacin을 생후 6시간 이내에 24시간 간격으로 0.1 mg/kg를 투여받은 예방군 28명과 대조군 56명으로 분류하여 두 군의 인구학적 및 주산기 인자, 동맥관개존증과 뇌실내출혈의 발생율 및 합병증과 사망률에 대해서 비교하였다. 결 과 : 인구학적 및 주산기 인자로서 재태연령과 출생체중은 각각 예방군에서 $25.1{\pm}1.3$주, $746{\pm}132g$이었으며 대조군에서는 $25.2{\pm}1.6$주, $738{\pm}142g$으로 두 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그 외에 성 비, 부당경량아, 쌍생아의 비율, 1분 및 5분 아프가 점수, 분만 방법, 임신성 고혈압, 임신성 당뇨, 산전 스테로이드 투여, 호흡곤란증후군의 유무, 융모양막염의 여부에서도 두 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Indomethacin의 예방효과가 있을 것이라 기대했던 동맥관개존증과 3도 이상의 고도의 뇌실내출혈의 발생 비율에서는 두 군간에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첫 번째 치료적 indomethacin이 투여된 빈도는 예방군에서 더 많았고 indomethacin 투여된 시간은 예방군에서 유의하게 늦었다. 사망률은 두 군 사이에 차이가 없었고 합병증과 관련된 인자로 폐출혈, 기흉, 기관지폐이형성증, 미숙아 망막증, 괴사성 장염의 발생에서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자발성 회장 천공의 발생은 대조군에서는 없었던 반면에 예방군에서는 10.7%로 나타났고, 괴사성 장염에서 천공된 경우를 합한 경우에도 예방군에서 의미있게 증가하였다. 또한 완전장관영양에 도달한 시기는 예방군에서 $31.5{\pm}17.1$일이었고, 대조군에서는 $22.1{\pm}7.6$일로 예방군에서 유의하게 늦었다. 태변이 배출되는 데까지 걸린 기간과, 위장관 출혈의 발생빈도, 신 기능의 손상 정도의 평가에서는 두 군간의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다. 결 론 : 초극소 저출생체중아에서 출생 후 저용량 indomethacin을 예방적으로 사용하여 뇌실내출혈이나 동맥관개존증의 비율을 감소시키진 못하였고, 오히려 장관 천공의 비율을 증가시키고 장관영양의 진행이 늦어지는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

고연령 산모에서 체외 수정 시술로 태어난 쌍생아의 임상 양상 (Perinatal Outcomes of In Vitro Fertilized Twins in Women of Advanced Age)

  • 정인혁;김성우;조희승;이규형
    • Neonatal Medicine
    • /
    • 제18권2호
    • /
    • pp.197-203
    • /
    • 2011
  • 목적: 35세 이상 산모에서 체외 수정 시술을 통해 출생한 쌍생아와 자연 임신 쌍생아의 임상 양상을 비교하여 35세 이상 산모와 체외 수정 시술로 출생한 신생아 관리에 기초 자료 제공을 위하여 실시하였다. 방법: 2001년 1월 1일부터 2010년 12월 31일 사이 분당차병원에서 출생한 쌍생아 중 산모의 나이가 35세 이상인 신생아 508례를 대상으로 하여, 체외 수정 시술을 시행 받은 288례와 자연 임신군 220례 사이의 주산기 특성과 합병증 및 신생아기 질환발생의 차이를 의무 기록을 통해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체외 수정 시술군과 자연 수정군 사이의 산모 연령은 (36.7${\pm}$2.07세 vs. 36.8${\pm}$2.18세, P=0.57)로 통계적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재태 연령($36^{+0}{\pm}1^{+5}$주 vs. $36^{+0}{\pm}2^{+0}$주, P=0.95), 출생체중(2,420${\pm}$440 g vs. 2,480${\pm}$460 g, P=0.14) 역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1분 아프가 점수(7.37${\pm}$1.19 vs. 7.09${\pm}$1.46, P=0.019)와 5분 아프가 점수(8.67${\pm}$0.84 vs. 8.51${\pm}$0.96, P=0.045)는 모두 체외 수정 시술군에서 높았다. 임신성 당뇨, 임신성 고혈압, 전치태반, 조기 양막 파수, 제왕 절개술, 부당 경량아의 빈도는 두 군간의 차이가 없었다. 조발형 패혈증의 빈도는 체외 수정 시술군에서 자연 수정군보다 낮았다(2.4% vs. 6.4%, P=0.02). 그밖에 신생아 호흡 곤란 증후군, 기관지 폐 형성이상, 동맥관 개존증, 신생아 괴사 장염, 뇌실 내 출혈의 발생 빈도는 모두 두 군 간에 차이가 없었다. 결론: 본 기관에서 지난 10년간 고연령 산모에서 체외 수정 시술로 태어난 쌍생아의 임상 양상을 조사하여 자연 수정으로 출생한 쌍생아와 비교하였을 때, 체외 수정 시술로 인하여 주산기 합병증과 신생아기 질환의 발생 빈도가 높아지지는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