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주광조도

검색결과 41건 처리시간 0.035초

에너지 절약을 위한 건축물의 자연채광디자인 방법에 관한 연구(I) -주광조도예측을 위한 천공상태의 추정방법 비교- (A Study on the Energy Saving Daylighting Design Methodology in Building(I) -Estimation Techniques of Sky Condition for Predicting Daylight Illuminance-)

  • 김정태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지:조명전기설비
    • /
    • 제3권2호
    • /
    • pp.56-62
    • /
    • 1989
  • 자연채광에 관한 에너지 해석을 하기 위해서는 주광조도를 예측하여야 하며, 주광조도를 예측하기 위해서는 천공상태를 추정할 수 있어야만 한다. 즉, 천공상태의 최저상태나 최소설계기준을 추정할 수 있어야만 자연채광에 의한 에너지 절약을 해석할 수가 있다. 천공상태를 추정하는데에는 CIE에서 개발한 정적 천공모델이 많이 이용되어 왔다. 그러나 천공은 정적광원이 아니라 시간에 따라 동적으로 변하고 있음으로 자연채광설계에서 에너지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보다 융통성이 있는 천공모델이 요구된다. 따라서 이 논문은 그동안 동적천공을 나타낼 수 있도록 개발된 비표준천공의 추정방법, 동적 천공상태의 추정방법, 주광조도와 천공휘도의 추정방법, 주광의 유용성 평가방법 등을 비교분석함으로써, 앞으로 우리나라 기후상태에 적합한 자연채광용 천공모델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화하였다.

  • PDF

소규모 사무실의 블라인드 조건에 따른 주광조도 감소비율 예측 (Prediction of Reduction Rates of Daylight Illuminance for Blind Conditions in a Small Office)

  • Gu, Renyan
    • 토지주택연구
    • /
    • 제12권2호
    • /
    • pp.79-89
    • /
    • 2021
  • 본 연구는 다른 창가 방향에 따라 소규모 개인 사무실의 바닥과 천장의 수평 일광 분포를 분석하였다. 시뮬레이션에는 블라인드를 추가하여 다양한 일광 조도를 분석하고 비교할 수 있는 세 가지 음영 조건을 설정했다. 일광 조도 시뮬레이션을 위한 소프트웨어는 Relux였다. 실험 결과 창가에서 1m 떨어진 곳에서 조도 값이 가장 높았고 거리가 가까울수록 조도 값이 높았다. 바닥과 천장에서는 조도 차이가 12월과 6월에 각각 가장 크고 작았다. 실내 조도 값은 블라인드가 없을 때 가장 높았고, 남향 조건에서는 조도의 45°와 수평 블라인드의 차이가 가장 컸다. 북쪽 조건에서는 45°와 무 블라인드가 실내 조도에 가장 적은 영향을 미치며, 조도가 더 고르게 분배되었다.

반사거울형 태양광 채광시스템의 성능 평가 (A Performance Evaluation of Solar Mirror Sunlighting Systems)

  • 이범석;김정태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30-37
    • /
    • 2005
  • 태양광 채광시스템은 자연광의 유입이 어려운 공간에 주광을 유입하기 위하여 개발된 장치로써 에너지를 절약하고 인간의 쾌적성을 향상시키는 등 지속가능한 건축을 위해 도입 및 확대가 크게 기대 되는 장치이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에 본 연구실에서 개발된 시스템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개선하여 건축물 적용시의 채광성능을 평가하는데 연구목적이 있다. 본 시스템의 설치는 2004년 10월 25일 (주) 동아산전과의 공동작업으로 설치되었으며, 수원에 있는 K대학 공과대학 5층 옥상 파라펫에 설치하였다. 평가실험은 2005년 4월 5일 9시30분부터 15시30분까지 청천공 상태에서 실시하였고, 총32개의 측정점을 선정하여 주광조도비로 채광성능을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반사거울을 설치 시 창이 있을 경우 실내의 주광조도비는 평균 20.3[%] 상승하였고 창을 제거할 경우 실내의 주광조도비는 평균 38.2[%]정도 상승하여 채광학적으로 유효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본 시스템은 건축물의 실내 및 옥외의 음영진 곳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이 입증되었다.

  • PDF

교실내 시설물이 조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ixtures in the classroom to the illuminance)

  • 김원중;김소아;장우진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61-267
    • /
    • 2004
  • 교실 내에 빛을 공급하는 두 가지 요소는 인공광원과 주광이다. 일단, 빛이 실내에 방사되면 각 시설물의 표면은 빛을 반사하여 제 2의 광원 역할을 한다. 따라서 교실 내 조도를 높이는 확실한 방법은 광도가 높은 등기구를 설치하고 창을 정남향으로 내면 되겠지만 이것이 여의치 못할 경우에는 제 2의 광원인 시설물의 표면속성을 변화시켜 조도를 높일 수도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일정한 인공광원과 주광 하에서 시설물의 속성을 변화시켜 조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개선사항을 연구해 보았다.

  • PDF

블라인드의 각도별 균제도에 따른 조명에너지 절감방안 (Lighting Energy Saving Method according to Uniformity Ratio by the Angle of Blind)

  • 유태환;임경미;임재현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516-519
    • /
    • 2013
  • 최근 에너지 소비가 급증함에 따라 오피스 건물에 주광을 유입하여 조명에너지를 절감하는 연구가 진행중이다. 그러나 직접적인 주광유입은 작업환경의 조도분포를 불균일하게 만들어 빛의 품질을 떨어 뜨리고 업무효율을 저하시킨다. 이에 본 논문은 창측에 주광을 조절할 수 있는 베네시안 블라인드를 설치하여 블라인드의 슬랫 각도(Open, $-60^{\circ}$, $-30^{\circ}$, $0^{\circ}$, $+30^{\circ}$, $+60^{\circ}$)에 따라 실내로 유입되는 주광의 조도 및 균제도를 비교 분석하고, 작업환경의 조도분포가 가장 균일한 슬랫 각도로 블라인드를 제어한다. 이때 블라인드의 슬랫 각도별로 목표조도에 부합하기 위해 LED가 소모하는 누적 전력량을 산출한다. 슬랫 각도별로 산출된 균제도, 전력량을 기준으로 성능평가를 실시하여 성능이 우수한 슬랫 각도를 확인한다.

천공 및 차양조건에 따른 소규모 사무실의 주광 조도 감소범위 예측 (The prediction of reduction ranges of daylight illuminance in small office for sky and shading conditions)

  • 장서연
    • 토지주택연구
    • /
    • 제10권3호
    • /
    • pp.33-41
    • /
    • 2019
  • This study examines the distributions of daylight illuminance in a small office space under clear and cloudy sky conditions. Three shading conditions using Venetian blinds were applied for the analysis of daylight illuminance. Computer simulations using the Lightscacpe were conducted for the daylight conditions applied to the office space. Results indicate that the illuminance differences between clear and cloudy sky for south-facing conditions were greater than those for north-facing conditions. The differences in December and June were the greatest and smallest, respectively. For the north-facing conditions, the daylight illuminance at 10:00, 12:00 and 14:00 in June and September under the cloudy sky was higher than those under the clear sky conditions. For all daylight conditions, the biggest amount of illuminance reduction occurred when the shading device conditions were changed from the no blind to the 45 degree blinds. As the distance from window increased, the shading effect that occurred when the shading device conditions were changed from the horizontal blind to the 45 degree blinds increased.

실내 주광조도 분포 예측식의 제안 및 검증 (Proposal of the Prediction Equation for Interior Daylight Illuminance)

  • 박웅규;박태주;강규민;이상엽;송두삼
    •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 /
    • 제33권3호
    • /
    • pp.114-123
    • /
    • 2013
  • In these days, most of the office buildings are being required to save energy for maintenance. lighting system constitutes 20% to 30% of the total annual electrical energy consumption in office buildings. As an energy saving strategy for lighting system, dimming control system based on illuminance sensors came into use. But the system is accompanied with many illuminance sensors to control lighting and needs a lot of initial investment. In this study, the prediction equation for indoor daylighting illuminance distribution is proposed through the review for conventional research results and field measurements. The proposed equation was verified by the comparison between predicted results and field measurement results. The developed prediction equation for daylighting can be used to control the indoor illuminance level with the limited sensor when dimming control system is operated.

기상인자의 변화에 따른 소규모 공간에서의 주광조도분석 (Analyses of the Impact of Atmospheric Conditions to Daylight Illuminance in a Small Space)

  • 김수영
    •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 /
    • 제24권2호
    • /
    • pp.17-23
    • /
    • 2004
  • Daylight illuminance levels in a small space were calculated using the Superlite program under limited conditions of the turbidity and thickness of condensible water of atmosphere. Three sky conditions(clear sky with direct sun, clear sky with no direct sun, overcast sky with no direct sun) were used. The atmospheric conditions significantly impacted the illuminance levels under especially a clear sky with direct sun. The overcast sky with no direct sun provided no difference for the illuminance levels in the space. As the calculation points moved away from a window, reflected illuminance levels gradually increased but direct illuminance levels significantly decreased.

실내 주광조도 간이 예측식을 활용한 담천공 시의 자연 채광 성능 평가 (Application of Simplified Daylight Prediction Method for Daylighting Performance Evaluation on Overcast Sky)

  • 윤갑천;윤수인;김성식;김강수
    •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 /
    • 제34권5호
    • /
    • pp.1-9
    • /
    • 2014
  • Daylight is very useful to control the indoor environment, and can save energy in buildings. So it is necessary to evaluate the daylighting performance of buildings. We proposed a simplified equation that can be used in the early stages of design. And we verified the equation by using the measured illuminance data from the 1/5 scale model. We compared the calculated indoor illuminances and measured illuminance including Daylight Factors of scale model in order to verify the applicability of the simplified equation, and proved the analyzed values are acceptable. When we have a target value of the Daylight Factor, we just have to determine the window area, transmittance of the glazing system, and indoor surface reflectance, then can achieve it with this simplified equation.

가변 전기요금 기반의 조명 제어기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f Lighting Control in TOU Electricity Pricing Environment)

  • 윤정아;김광호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11년도 제42회 하계학술대회
    • /
    • pp.316-317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일반 사무 건물을 대상으로 주광을 이용 하여 작업 시 조도에 따른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이고 가변 전기요금에 따른 요금을 절감 하는 최적의 조도를 설정하여 조광을 제어하는 방식으로 조명 에너지를 절감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