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주관절 외상과염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3초

주관절 외상과염의 체외 충격파 시술에서 에너지량에 따른 치료 효과 - 전향적 무작위적 이중 맹검 대조군 연구 - (Dose-related Effect of Extracorporeal Shock Wave Therapy for Lateral Epicondylitis - Prospective Randomized Double Blind Comparative Study -)

  • 오주한;윤종필;오정희;조기현;공현식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2권1호
    • /
    • pp.21-26
    • /
    • 2009
  • 목적: 주관절 외상과염 환자에서 체외 충격파 시술의 에너지량에 따른 치료 효과를 전향적 무작위적 이중 맹검 비교 방법으로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6개월 이상의 비수술적 치료로 호전이 없어, 체외 충격파 시술을 시행한 주관절 외상과염 환자들을 무작위적으로 각각 15명씩 저에너지군과 고에너지군으로 나누어 전향적 이중 맹검법으로 분석하였다. 모든 환자들은 1주 간격으로 총 3회 동안 체외 충격파 시술을 시행받았고, 평균 에너지량은 저에너지군이 $0.12 mJ/mm^2$, 고에너지군이 $0.24 mJ/mm^2$ 이었다. 시술 전과 시술 1개월, 3개월, 6개월에 각각 Upper extremity function score, Mayo elbow score를 측정하여 임상적 결과를 비교하였다. 결과: 체외 충격파 시술 후 저에너지군과 고에너지군 모두에서 유의한 임상적 호전을 보였으며, 특히 시술 후 6개월에서 고에너지군이 통증의 호전이 유의하게 높았다(p=0.019). 체외 충격파 치료에 의한 치료 효과는 1개월 내의 단기 효과보다는 시술 후 1개월에서 6개월 사이에 주로 나타났다. 결론: 주관절 외상과염에서 체외충격파 치료는 에너지량에 상관없이 모두 유의한 치료 효과를 보였고, 특히 고에너지의 사용이 통증 조절에 보다 효과적이었다.

주관절 내, 외상과염에 대한 체외충격파 치료의 임상적 결과 (Extracorporeal Shockwave Therapy for Medial or Lateral Epicondylitis of the Elbow)

  • 염재광;배서영;박성범
    •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79-84
    • /
    • 2009
  • 목적: 주관절 내상과염 및 외상과염은 주관절 통증의 가장 흔한 원인 중의 하나로 이에 대한 치료방법으로 최근 체외충격파 치료가 임상에서 점점 많이 시도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내, 외상과염에 대한 체외충격파 치료를 시행한 후 그 임상적 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5년 11월부터 2009년 1월까지 본원에서 주관절 내, 외상과염으로 진단받은 환자 중 72명 74예(남자 11명, 여자 61명)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평균 연령은 52.4세였다. 모든 환자는 타 병원에서 국소 주사, 물리 치료, 약물치료, 주관절 석고 고정 등의 보존적 치료방법을 시행받았으나 증상이 호전되지 않아 본원을 방문한 경우로 치료 효과의 판정은 통증의 개선 정도를 통해 평가하였는데 휴식 시와 작업 시의 통증의 정도를 각각 치료 전과 치료 후 6주, 12주, 24주에 visual analogue scale (VAS)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이와 함께 통증으로 수면 중 깨어나는 횟수를 조사하여 이를 같은 방식으로 치료 전, 후를 비교하여 평가하였다. 결과: 치료 24주 째 최종 추시에서 휴식시 통증의 경우 우수 70예, 양호 4예였으며 불량은 없었고 작업시 통증의 경우 우수 42예, 양호 14예, 보통 8예였으며 불량은 없었다. 이에 따라 작업시 VAS를 바탕으로 한 치료 성공률은 약 89.2%로 확인되었다. 휴식시 통증의 VAS 평균값은 치료 전 4.60에서 치료 6주째 2.01, 12주째 0.43, 24주째 0.16으로 개선되었고 작업시 통증의 경우 평균값이 치료 전 7.20에서 치료 6주째 4.05, 12주째 2.01, 24주째 0.36으로 유의하게 개선되었다. 수면 중 깨어나는 빈도 역시 치료 전 1주일에 평균 9.64회에서 치료 6주, 12주, 24주가 되면서 각각 1.21회, 0.08회, 0.09회로 유의한 치료 효과를 보여주었다. 결론: 체외충격파를 이용한 주관절 내, 외상과염의 치료는 보존적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환자들에서 통증의 감소와 근력 증진을 위한 효과적인 치료법으로 사료된다.

  • PDF

불응성 주관절 외상과염에 대한 혈소판 풍부 혈장 주입 치료의 임상적 결과 (Treatment of Refractory Lateral Epicondylitis with Platelet-Rich Plasma)

  • 고상훈;이채칠;강병성;이기재;이선호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3권1호
    • /
    • pp.58-63
    • /
    • 2010
  • 목적: 주관절 외상과염은 주관절 동통을 유발하는 대표적인 질환 중 하나로 이에 대한 치료 방법은 여러 문헌에서 보고 된 바 있다. 본원에서는 외상과염에 대한 혈소판 풍부 혈장 (Platelet-Rich-Plsma) 주입 치료를 시행한 후 그 임상적 결과를 평가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9년 1월부터 2009년 12월까지 본원에서 외상과염으로 진단받은 환자 15명 (남자 5명, 여자 1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평균 연령은 43.5세 였다. 모든 환자는 타 병원에서 1년 이상의 물리치료, 약물치료 등의 보존적 치료를 시행 받았으나, 증상호전을 보이지 않아 수술적 치료를 고려하는 환자였다. 대상 환자는 주관절 외상과에 경피적 혈소판 풍부 혈장 농축액 3cc를 1회 주입하였으며, 치료효과의 판정은 휴식 시와 작업 시의 visual analogue scale (VAS), The Patient-Rated Tennis Elbow Evaluation (PRTEE)를 시술 후 4, 12주 후 측정하고 치료 전후를 비교평가 하였다. 결과: 치료 4주, 12주 단기 추시에서 휴식시 통증의 VAS 평균 값은 치료 전 4.6에서 치료 4주째 2.5 12주째 1.8로 개선 되었고, 작업시 통증의 경우 치료 전 7.8에서 치료 4주째 6.2 치료 12주째 4.25로 개선 되었다. PRTEE score 평균 값은 치료 전 60.13에서 치료 4주째 46.12, 12주째 24.6으로 개선 되었다. 결론: 보존적 치료에 반응을 보이지 않는 불응성 주관절 외상과염의 치료에 있어 혈소판 풍부 혈장 주입을 이용한 치료는 효과적인 치료법이며, 수술적 치료를 시행 전 고려 되어야 한다고 사료 된다.

단순방사선 검사상 주관절 외상과염과 경추 척추증의 관계 (Roentgenographic Relationship with Cervical Spondylosis and Lateral Epicondylitis)

  • 윤우석;한순현;이종수;심우진
    • 대한추나의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31-41
    • /
    • 2002
  • Objectives : To study that lateral epicondylitis(tennis elbow) is related with cervical spondylosis. Subjects : The study was composed of 25 patients of lateral epicondylitis(LEP group) and 25 normal control group(CON group). Method : Simple radiologic scale was compared such as cervical lordotic angle, grading for disc degeneration. Pavlov ratio and Intervertebral body Index Results : Cervical lordotic angle and disc degeneration i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nd Pavlov ratio and intervertebral body index is significantly decrease in the LEP group. Conclusion : The cervical spondylosis is related with ocuuring lateral epicondylitis.

  • PDF

초음파 진단을 통한 주관절 외상과염의 침도 치료 임상 증례 보고 (Effect of Acupotomy Therapy on Lateral Epicondylitis Diagnosed by Ultrasonography)

  • 임나라;임진영;김동웅;이종덕;김성철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53-59
    • /
    • 2011
  • Purpose: This observation was to report the clinical effects of acupotomy in treating lateral epicondylitis. Methods: Three patients diagnosed with lateral epicondylitis were treated with acupotomy. Two were male and one was female. The improvement of symptom were evaluated by visual analog scale (VAS) and self-consciousness symptoms of Cozen test. Results: After one treatments, patient's chief complaint and the pain near the lateral epicondyle while cozen test were notably improved. Conclusions :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oriental medical treatment with acuputomy therapy has significant effect in improving symptoms of lateral epicondylitis. As though we had not wide experienced in this treatment, more research is needed.

침치료 후 근건이완수기요법을 적용한 주관절 외상과염 환자 치험 3례 (The Clinical Report on 3 Cases of Lateral Epicondylitis Treated with Musculotendinous Releasing Manual Therapy after Acupuncture Treatment)

  • 박재원;박서현;문소리;송미영;금동호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01-108
    • /
    • 2017
  • We researched 3 patients diagnosed as Lateral epicondylitis (Tennis elbow). We considered it as tendinosis including irregular collagen fiber's pattern. So, acupuncture therapy and musculotendinous releasing manual therapy were used to treat the patients. We measured their pain and functional disorder by visual analogue scale (VAS), Patient-Rated Tennis Elbow Evaluation (PRTEE), and a dynamometer before and after treatment. As a result, VAS and PRTEE significantly reduced and grasping power was also improved. Therefore, we conclude that the acupuncture therapy with musculotendinous releasing manual therapy is an effective way to treat Lateral epicondylitis. But there are limits on this study due to insufficient number of cases, absence of control group and absence of follow-up after last treatment. Further studies will be nee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