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주거환경 변화

Search Result 354,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Study of Environmental Recognition Change for using Soil pollution Content (토양오염 콘텐츠를 이용한 환경인식 변화 연구)

  • Lee, Kuen-Wang;Oh, Myung-Kwan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1.05a
    • /
    • pp.223-225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3D 콘텐츠 가상현실 체험을 통하여 단순한 환경교육이 아닌 조선시대의 자연환경과 주거환경을 오늘날의 모습과 비교 체험하면서 사용자 스스로 자연환경과 주거환경의 변화를 인식하도록 도움을 주어 환경에 대한 인식을 변화시키고자 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토양오염에 대한 3D 콘텐츠를 개발하여 실험 평가 및 분석을 하였다.

  • PDF

The Change of Dweller's Residents Stability on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s: Focused on Apartment Housing Construction Method (주거환경개선사업으로 인한 거주자들의 주거안정 변화: 공동주택건설방식을 중심으로)

  • Kim, Hong-Joo;Kim, Joo-Jin
    • Land and Housing Review
    • /
    • v.5 no.2
    • /
    • pp.69-79
    • /
    • 2014
  •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 (REIP) which has started in 1989 and continued with 3rd government-supporting project in 2013 has lots of policy changes and related studies. However, the related researches have focused on residents resettlement into the project site, this paper is more interested in the residents stability than residents resettlement. So, this paper analyzes the changes of residents stability on the site of REIPs (with 3 groups of dwellers, removers and newcomers). We survey about understanding of those projects, each interior physical housing characters, housing cost, outside settlement characters. On the base of case analysis, we can conclude as follows: firstly, the residents are more young, higher educated, and higher income but not alter to household, barrier, occupation. Secondly, REIPs have some positive influences on physical conditions of housing and outside characters but negative impacts on housing cost. In case of newcomers, there are no changes of housing size and room numbers but higher housing cost, better outside settlement conditions.

Comparative Analysis of Differences in Health Condition with Elderly Age Using the Customized Home Modification : Focusing on Community Care Projects (맞춤형 주거환경수정을 이용한 노인의 건강상태 차이비교 분석: 커뮤니티케어 사업을 중심으로)

  • Han, Sang-Woo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 /
    • v.11 no.8
    • /
    • pp.176-184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home modification in the community care project on the fall risk environment and the health condition in elderly people aged 65 and over. HOME FAST and WHODAS-K 2.0 were used to evaluate, and it was conducted as a group pre-post experimental study. As a result of implementing the home modification service based on the assessment, the fall risk level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p<.01), and in the case of health condition, mobility (p<.01) and social participation (p<.05) was confirmed that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mproved in the domain, showing a positive change in the overall health condition (p<.05). In the future, research using a comprehensive home assessment is needed for more subjects. and a process of selecting subjects prior, expansion of professional manpower infrastructure to providing a quality service is required.

Effects of Housing Environment on Value,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of Housing (주거환경이 주거가치, 주거만족,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Park, Yeung-kurn;Kim, Pan-jun;Hwang, Tae-soo
    • Journal of Distribution Science
    • /
    • v.5 no.1
    • /
    • pp.89-105
    • /
    • 2007
  • The apartment market in korea is rapidly changing from the producer-oriented market to the customer-oriented market. This means the user's perception of the apartment changed, so the pattern of purchase also changed. The apartment house enterprises should use the method of well grasping the purchase intention of the customers, and then satisfying buyer's need to study the marketing strategy. Seeing from the circumstances, the purpose of study is not just the real estate, and on the basic of preceding studies about the marketing field also should analysis what kind of influence the housing environment gives to the standard of the housing value and housing satisfaction, and what kind of influence the standard of the housing choice criteria gives to housing value, housing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and what kind of influence this kind of housing value and housing satisfaction gives to the Repurchase Intention. And also should give some suggestions for strengthening the competitiveness of the apartment house enterprises later.

  • PDF

Population Trends in Housing Needs, Satisfaction with Housing, and Housing Environment

  • 정영숙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 /
    • v.8 no.2
    • /
    • pp.61-70
    • /
    • 1997
  • 본 연구내용은 크게 세 부분으로 구분되며 인구구조 변화가 주거욕구에 미치는 영향, 주거 만족도와 관련요인과의 관계, 그리고 주거환경이 인간의 생활에 미치는 영향과 중요성 등에 대해 기존 문헌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논의방향은 관련영역의 추세 및 경향에 초점을 맞추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에 중점을 두었다. 본 연구에서 언급된 세 영역의 연구논점은 추세적 변화를 고려한 주거관련정책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있어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는 시의성 있는 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도시$\cdot$주거정비법 문제있다

  • 김태섭
    • 주택과사람들
    • /
    • s.155
    • /
    • pp.20-21
    • /
    • 2003
  • 오는 7월부터 ''도시 및 주거환경 정비법''이 시행되면 공동주택 시장은 크게 변할 것으로예상된다. 이 법은 그 동안 개발지상주의가 팽배해 있던 공동주택 시장을 성장관리 체제로 전환해 관리하겠다는 의도에서 출발했다. 이 법이 시행되면 향후 재건축사업은 도시계획 차원에서 관리가 가능해지고, 그 동안 수많은 사업추진 과정에서 나타난 비리와 잡음이 차단되는 등 운영관리 측면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내부적인 변화에도 불구하고 도시 및 주거환경 정비법의 도입은 공동주택 시장에 여러 가지 문제점을 노출할 우려가 높다.

  • PDF

A Comparative Study on the Residential Furniture Design Preference according to Consumers Characteristics (붙박이장의 형태, 구조 변화와 소비자 특성 연구)

  • Lee, Seung-Yo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8 no.3
    • /
    • pp.146-155
    • /
    • 2008
  • As the residential culture of Korea is transformed from house oriented to apartment oriented residential environment these days, the bedroom closets are changing into the built-in furniture such as built-in closets. As the life style of consumers become richer and wealthy, the bedroom furniture is changing to respond for the forms, function, and design characteristics of the consumer's demand. Therefore,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the built-in closets such as structure, function and material were studied to analyze the basic changes and compared the normal closet to the built-in closet to analyze the elements in terms of environment and convenience. Moreover, to develop forms and designs to fit various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of the consumers, various forms of consumer demand were analyzed. Therefore, this study intended to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 for providing the efficient form and structure that enables the use of internal space as the consumer wishes to change the design elements, and other spaces to fit the changed residential environment.

A study on the trend of bathroom design for near future (근미래 욕실 디자인 트렌드 연구)

  • Kang, Hyoung-Mo;Lee, Soon-Jong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b
    • /
    • pp.63-68
    • /
    • 2006
  • 욕실이라는 특수한 공간은 경제발전과 사회기반시설의 확충, 주거형태의 변화에 따른 생활양식의 변화에 따라 발전해왔다. 즉, 욕실은 그 자체가 별도로 존재하는 공간이라기 보다는 주거공간, 생활공간의 일부로써 발전해왔고, 따라서 이와함께 다루어야만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근미래의 욕실 디자인 트렌드를 예측하기 위해서 정치/경제, 사회/문화, 기술환경, 주거환경 등의 추세를 살펴보고, 이에 따른 욕실환경의 변화를 정리하였다. 그 결과, 근미래의 욕실 디자인 트렌드는 (1)주거공간에 완전히 편입된 밝고 건조한 실내휴식공간으로의 변화, (2)기술의 발전이 적극적으로 반영되어 부가기능이 설치된 편리한 공간, (3)건강을 위한 환경친화적 소재와 기능, (4)절제된 직선 위주의 미니멀한 디자인과 고급화, (5)다양성이 반영된 개성적 공간으로의 연출 등을 예측하게 되었다. 트렌드 예측은, 사회/문화 및 정치경제 현상을 폭넓게 반영하고 비교적 긴주기를 가지는 확실성만을 바탕으로한 결과를 내놓게 되므로 너무나 당연한 이야기들의 반복이 될수도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그러나 이 트렌드 예측이 향후 새로운 욕실환경과 그에 적합한 욕실기기를 제안하는데 도움이 되는 기초연구가 활용할 수 있었으면 한다.

  • PDF

A Study on Rural Housing and Housing Environment (농촌주택의 분석 및 농촌 주거 현황 연구)

  • Kim, Jin-Hyung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7.11a
    • /
    • pp.422-425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1960년대 이후 농촌의 주거 환경을 농가 인구와 연령 비율 그리고 경지 면적의 변화를 조사하여 이와 함께 농촌 주택의 변화라는 관점에서 문헌 조사를 통해 분석해 보았다. 농촌의 주거 요구는 도시의 그것과는 많은 차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농촌의 현실에 맞는 주거 모델은 아직 부족한 사실을 발견할 수 있었다.

  • PDF

The Study on Comparison and Analysis of User's Behavior Data Pursuant to the Observation Range of the Product Use (제품 사용의 관찰범위에 따른 사용자 행위 데이터 비교 분석에 관한 연구 - 주거공간에서의 사용자 행위 관찰 사례를 중심으로 -)

  • Son, Ji-Seon;Jung, Ji-Hong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b
    • /
    • pp.334-339
    • /
    • 2006
  • 주거환경의 변화는 주거공간을 구성하고 있는 제품을 더 이상 독립된 구조가 아닌 서로 네트워크로 연결된 하나의 제품 및 서비스로 인식될 필요성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제품 및 서비스 컨셉 도출을 위한 사용자 조사 단계에서 사용자의 행위 관찰 시, 관찰의 범위가 기존의 개별 제품을 사용하는 환경 중심에서 전체 제품을 사용하는 환경으로 확장 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주거공간에서 제품 사용의 관찰범위를 개별제품사용환경과 전체제품사용환경으로 분류하여 각각의 관찰범위에서의 사용자 행위 분석 데이터가 어떠한 차이를 갖는지 관찰법(Ethnography)을 이용한 사례연구를 통해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추후 주거환경을 구성하는 제품 및 서비스 개발 시 목적에 적합한 관찰범위를 선택하는데 있어 도움이 될 것이며, 기반이 되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