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804/LHIJ.2014.5.2.069

The Change of Dweller's Residents Stability on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s: Focused on Apartment Housing Construction Method  

Kim, Hong-Joo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Kim, Joo-Jin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Publication Information
Land and Housing Review / v.5, no.2, 2014 , pp. 69-79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 (REIP) which has started in 1989 and continued with 3rd government-supporting project in 2013 has lots of policy changes and related studies. However, the related researches have focused on residents resettlement into the project site, this paper is more interested in the residents stability than residents resettlement. So, this paper analyzes the changes of residents stability on the site of REIPs (with 3 groups of dwellers, removers and newcomers). We survey about understanding of those projects, each interior physical housing characters, housing cost, outside settlement characters. On the base of case analysis, we can conclude as follows: firstly, the residents are more young, higher educated, and higher income but not alter to household, barrier, occupation. Secondly, REIPs have some positive influences on physical conditions of housing and outside characters but negative impacts on housing cost. In case of newcomers, there are no changes of housing size and room numbers but higher housing cost, better outside settlement conditions.
Keywords
Act on the Maintenance and Improvement of Urban Areas and Dwelling Conditions for Residents;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 Resident Stability; Apartment Housing Construction Method;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3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고혜진, 이근복, 황희연(2009), "농어촌주거환경개선사업의 시행결과에 대한 인식차이 분석 : 청원군 공무원과 주민의 의견을 토대로", 농촌계획, 16(3) : 23-32.   과학기술학회마을
2 국가인권위원회(2005), 개발사업지역 세입자 등 주거빈곤층 주거권 보장 개선방안을 위한 실태조사.
3 국토연구원(2005), 주거환경개선사업의 원주민 재정착 제고방안 연구.
4 국토해양부(2010), 도시 및 주거환경 정비사업 여행.
5 김윤이(2007), "개발사업지역 세입자 주거대책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도시와 빈곤, 85 : 94-116.
6 김윤이(2011), "주거취약계층 주거지원사업의 현황과 개선 방향", 도시와 빈곤, 90 : 61-80.
7 김형배, 김혜천(2009), "주거환경개선사업지구에서의 원주민 현지 재정착 요인의 특성에 관한 기초연구", 지역개발연구, 41(2) : 55-67.
8 박정은, 최병선(2004), "주거환경개선사업지구 지정기준항목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39(1) : 179-190.   과학기술학회마을
9 김호철(2002), "주거환경개선사업의 사후평가에 관한 연구 : 공동주택건설방식을 중심으로", 도시행정학보, 15(1) : 53-67.
10 대한주택공사(2004), 주거환경개선사업지구 주민의 주거안정 대책에 관한 연구.
11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2013), 3단계 주거환경개선사업의 새로운 패러다임 및 운영방안, 국토교통부.
12 배웅규, 서수정, 이창호, 임정민(2009), "사회적 재정비를 위한 거점확산형 주거환경개선사업 도입방안 연구", 국토연구, 60 : 3-28.
13 봉인식(2010), 경기도 뉴타운 주거안정지수 개발연구, 경기개발연구원.
14 서울특별시(2007), 뉴타운사업에 따른 원주민 재정착률 제고 방안.
15 장영희, 박은철(2008), 뉴타운사업의 단계적 시행방안 연구.
16 진미윤(2004), "주거환경개선사업지구의 주민민원 실태분석과 개선방안", 국토계획, 39(4) : 65-79.   과학기술학회마을
17 최광룡, 하규수(2012), "서울시 주거환경개선사업 정책의 실효성에 관한 연구 : 수혜자와 공급자의 인식비교",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4(4) : 169-184.
18 한국토지주택공사(2010), 도시재생사업업무편람.
19 한국토지주택공사(2010), 주거환경개선사업 업무편람.
20 홍인옥(2002), "주거환경개선사업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모색", 도시와 빈곤, 57 : 98-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