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주거환경경험

Search Result 86,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Experience of Case Management Practice for the housing vulnerable group living in public low-income housing in Seoul (주거취약계층 매입임대주택의 사례관리자 경험)

  • Min, So-Young;Kim, Soyoung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 /
    • v.49 no.1
    • /
    • pp.263-296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xperience of case management practice for residents of low - income housing. The importance of the house for the vulnerable residents with homelessness is absolute, and case management that supports them to live as residents in the community is also very important. Nevertheless, the research so far has focused on the supply of affordable housing, the residential environment, the quality of life of the tenants, and the health, but there was a lack of interest in case management practice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xperience of case management practice by listening 10 case managers's experiences through FGI interview.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case manager's experience is divided into four themes: 'Dilemma of support for the independent housing life after the facilities', 'Role competition between rent management and case management', 'Lonely practice for linkage and cooperation with the mainstream community support system', 'Double employment relationship and poor working environment' respectively. Based on their experiences, this study suggests practical and practical suggestions for case management of rental housing.

A Study on the Emotional Implication of Memorable Adolescent Experience into Housing Environment (청소년기 주거환경경험의 정서적 의미에 관한 연구)

  • Kim, Jin-Hwa;Lee, Youn-Jung;Jeong, Jun-Hyun
    • Proceeding of Spring/Autumn Annual Conference of KHA
    • /
    • 2008.04a
    • /
    • pp.193-196
    • /
    • 2008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phenomenologically look into residential behaviors from the standpoint of human housing environment experiences, rather than physical environment, aiming to examine the emotional implication of housing environment by finding human mental motives included in memorable adolescent experiences into housing environment. In this study, an analysis on an environment life story was used to describe both the behaviors and spaces of significantly memorable experiences into housing environment. In addition, this study was carried out by analysing the emotional implication of descriptions selected from respondents' answers. A questionnaire survey was performed by questioning the students of D university about their significantly memorable adolescent experience in housing environment from the 4th to 15th of June 2007. Statistic date was analysed using the SPSS 14.0 Program.

  • PDF

Affect and Cognition Interface in Aesthetic Experiences of Landscapes (경관의 미학적 경험에 있어서 감정과 인지의 상호작용)

  • 이영경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20 no.3
    • /
    • pp.11-20
    • /
    • 1992
  • 본 논문에서는 사람이 환경을 통해 경험하는 미학적 경험(aesthetic experience)을 체계화시킨 이론적 모델(a conceptual model of affect and cognition interface in aesthetic experiences of landscapes)이 간단히 소개 되며, 이 모델을 검증하기 위한 연구가 중점적으로 다루어진다. 제시된 모 델은 경관의 미학적 경험을 감정(affect)과 인지(cognition)와의 상호작용 (interface)으로 설명하고 있으며, 세 가지 요소(사람이 환경에 대하여 갖고 있는 목적 : tasks, 사람의 모든 과거경험에 근거한 지식일체 : schematic knowledge, 환경의 독특한 상황 : environmental situation)를 미학적 경험 의 주요인자로 제시한다. 이 모델을 검증하기 위한 연구에서는 앞에서 소 개된 미학적 경험의 세 가지 요소(사람의 목적, 지식, 환경상황)를 과학적 이고 계량적이고 처리할 수 있도록 세부요소로 분류정의 (operationalization)하였다. 구체적으로, 사람의 목적은 환경을 평가하는 세 가지 목적, 즉 경치평가(scenic beauty judgment), 들놀이 목적으로서의 평가(picnic preference judgment), 주거목적으로서의 평가(living preference judgment)로 분류되었고, 이 세 가지 환경평가는 미학적 경험의 지표로 사용되었다. 사람의 지식은 국적에 근거한 문화적인 지식(cultural schema : 한국인과 텍사스인)과 직업에 근거한 사회적인 지식(social schema : 농부, 비농부, 조경학과 학생)으로 분류되었으며, 환경상황은 환 경의 아름다움(beauty : 아름다운 경관과 아름답지않은 경관)과 환경의 의 미(meaning : 긍정적인 의미가 있는 한국경관, 긍정적인 의미가 없는 한국 경관, 긍정적인 의미가 있는 미국 텍사스경관)로 분류되었다. 연구결과를 보면, 이론적 모델에서 소개된 세 가지 요소들 (사람의 목적, 지식, 환경상 황) 모두가 경관의 미학적 경험에(경치평가, 들놀이 선호도, 주거지 선호 도)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이 연구결과는 제시된 이론적 모델을 뒷받침하고 있다. 특히, 가장 흥미로운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사람의 문화적인 지식은 단독으로 미학적 경험에 영향을 주는 것이 아니라 다른 요소들(특히 사회적인 지식과 목적)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미학적 경 험을 형성한다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환경의 아름다움은 다른 세부요소 들(환경의 의미, 사람의 목적과 지식)보다 미학적 경험에 주는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든 사람들에게 비슷한 미학적 경험을 발생시키는 것 이 밝혀졌다. 다시 말하면 모든 사람들은 그들의 문화적인 국적과 사회적 인 직업의 차이, 목적의 차이, 또한 환경의 의미의 차이에 상관없이 아름다 운 경관(High-beauty landscape)을 주거지나 나들이 장소로서 선호했으며, 아름답다고 평가했다. 반면에, 사람들이 갖고 있는 문화의 차이, 직업의 차 이, 목적의 차이, 그리고 환경의 의미의 차이에 따라 경관의 미학적 평가가 달라진 것으로 나타났다.

  • PDF

Housing Environment Type And Resident Housing Satisfaction (주거환경유형과 거주자의 주거만족)

  • 진양교;수와이드만;제임스앤더슨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19 no.1
    • /
    • pp.45-59
    • /
    • 1991
  • 본 연구에서는 객관적 환경지표와 그에 대한 인간의 주관적 반응간 의 인과적 관련도의 중요성이 강조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거주자의 주관 적 반응인 주거만족과 객관적 환경지표의 하나인 주거환경유형들(건물유형 과 건물배치유형)과의 인과적 관련도가 본 연구에서 중점적으로 토의된다. 한국의 6개 대단위 공동주택단지가 본 연구의 대상지로 선정되었고, 표본 추출시 건물유형과 건물배치유형을 고려한 다단계 표집방법(multistage sampling)이 사용되었다. 설문면답방법(modified structured survey)에 의해 646명의 처리 가능한 응답이 수거되었다. 인과모형 검증의 첫 단계로서 다 수의 설문문항을 원래 관심있는 소수의 변수로 정선, 추출하기 위한 방법 으로 요인분석이 사용되었다. 요인분석으로부터 정선, 추출된 변수를 이용 해서 본 연구의 가설모형이 정립되고, 그 모형을 검증하기 위한 방법으로 경로분석이 사용되었다. 분석결과를 요약해 볼 때, 건물유형과 건물배치유 형 모두가 거주자의 지각, 인식, 태도 등의 적절한 매개변수들을 통해 거주 자의 주거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물유형은 일반 적으로 저층주거에서 고충주거로 바뀌면서, 거주자의 주거만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확인되었고, 고층주거가 거주자에게 주는 시각적 단 조로움, 과밀감, 그리고 주차장을 포함한 옥외공간 이용상의 불편들과 또 그들로 인한 낮은 안전성 및 경관에 대한 불만족 등이 그 이유로서 밝혀졌 다. 건물배치유형의 경우, U자형의 배치유형이 선형배치유형에 비해 과밀 감 해소, 시각적 명료성 향상, 그리고 옥외공간 이용상의 편리 등 및 또 그 에 따른 경관에 대한 만족의 향상 때문에 거주자의 주거만족을 높이는 데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거와 관련된 설계 및 계획분야를 위한 여러 다 양한 제안들이 본 연구에서 제시되고, 추후 관련 연구들을 위한 가능성들 도 토의되었다. 그 유용성 때문에, 아직 많은 이론적, 방법론적, 그리고 분 석상의 문제에도 불구하고, 객관적 환경지표들과 이용자들의 만족을 포함 한 다양한 주관적 변수들과의 관계를 경험적으로 밝히려는 시도가 계속되 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Fear of Falling and Related Factors in Elderly Living Alone Based on Fall Experience (독거여성노인의 낙상경험에 따른 낙상두려움과 관련요인)

  • Lee, Myungsuk;Lee, Yunbok
    •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and community health
    • /
    • v.38 no.4
    • /
    • pp.243-256
    • /
    • 2013
  • Objectives: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fear of falling and related factors in elderly living alone based on fall experience. Methods: Participants were 404 elderly women(faller=148, non-faller=256) over 65 years who were homebound living alone in Jeollanam-do Province. Face-to-face interviews were conducted using questionnaires from April $23^{th}$ to June $9^{th}$ 2013. The questionnaires consisted of demographic variables, fall experience, Fear of falling questionnaire(FOFQ), Falls Efficacy Scale(FES) and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CES-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version 14.0. Results: The fear of falling and the influential factor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fall experience. Regression model for fear of falling in fallers significantly accounted for 46.1%(F=6.71, p<0.001); difficulty of performing activity, depression, fall-efficacy, static balance and assistive devices. Regression model for fear of falling in non-fallers significantly accounted for 55.2%(F=15.16, p<0.001); fall-efficacy, environmental hazards, difficulty of performing activity, risk of nutrition, housing type, dizziness and assistive devices. Conclusion: Results demonstrate that fall is an important health problem for elderly women living alone, and show fall experience for factors influencing fear of falling. These results could be used in the developing fall prevention programs.

Evaluating Rebuilding Priority to Improve Residential Environment Using Spatial Weighting: A Case Study on Shinchun-Dong of Daegu Metropolitan City (공간 가중치를 이용한 주거환경 개선지역 우선순위평가: 대구광역시 신천동을 사례로)

  • Son, Seung-Hooi;Park, Ki-Heon;Um, Jung-Sup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43 no.6
    • /
    • pp.961-980
    • /
    • 2008
  • It is usual to prioritize the blocks to rearrange residential environment by the responsible officer's intuition or a few specialist's experienced knowledge. The aim of this research was to evaluate rebuilding priority in the context of spatially weighted framework integrating resident's view. The spatial weighting for the variables related to evaluation of dwelling environment was derived from 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 approach through the analysis of resident's view. An empirical study for a case study site has been conducted to confirm the validity for the spatial weighting. The spatial weighting has frequently influenced in changing the rebuilding priority and was identified as the important predictor for the improvement sites of dwelling environment. The spatially weighted analysis made it possible to identify area-wide patterns of rebuilding priority area subject to many different type of thematic variables, which cannot be acquired by traditional field sampling. The spatially weighting derived by integrating various formats of spatial data into a comprehensive GIS database in particular, was ideally suited to displaying the objective distribution patterns for rebuilding priority. The result of this study would play a crucial role in dealing with public complaints for rebuilding priority since it could provide objective evidences in accordance with spatial weighting.

The Effects of Housing Poverty on the Depression of the Elderly: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ervice (노년기 주거빈곤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사회서비스의 매개효과)

  • Kim, Dong bae;Yoo, Byung Sun;Shin, Soo Min
    • 한국노년학
    • /
    • v.32 no.4
    • /
    • pp.1041-1061
    • /
    • 2012
  • The study looked into the effect of housing poverty on the depression level for the elderly in depth. In this study, we defined housing poverty as sub-minimum standard housing conditions, excess housing expenditure and housing instability. In order to verify the correlation of two variables, a mediating model structured by social welfare service was used which gave out the 4th Korea welfare panel data. When it came to our research methods, structured equation analysis was appli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and theoretical background. The results revealed that housing poverty of the elderly directly affected their depression level. Also the satisfaction of social service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between housing poverty and depression level. But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ervice experience between housing poverty and depression level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outcome of this study indicated the practical and social intervention to promote a mental health of the elderly by improving residential environment.

An Analysis on Determinants of Exiting and Entering Housing Insecurity among Young Adults (청년층 주거불안정 탈피 및 진입의 영향요인 분석)

  • Lee, Sae Rom
    •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 /
    • v.40 no.3
    • /
    • pp.23-42
    • /
    • 2024
  • This study examines changes in housing insecurity among young adults from a longitudinal perspective, recognizing the dynamic nature of young adulthood. The objective of the study is to explore shifts in housing insecurity and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entry into and exit from housing insecurity. Using data from the Seoul Youth Panel in 2021 and 2022, housing insecurity is measured across three dimensions, and changes over one year are categorized. The sample consists of 40% of individuals experiencing persistent security, 33% experiencing persistent insecurity, 14% exiting insecurity, and 13% entering security, indicating that the transition into and out of housing insecurity is quite dynamic. Empirical results from the logistic regression models reveal several key findings. Firstly, crises in employment and social domains significantly correlate shifts in housing insecurity among young people. Unstable employment and unsatisfactory job conditions increase the risk of entering, and decrease the likelihood of exiting housing insecurity. Social isolation and lower social support increase the risk of entry into housing insecurity, while higher social support enhances the likelihood of exiting housing insecurity. Secondly, residential characteristics play a pivotal role in the transition of housing insecurity. Those living in non-apartments and renters are considerably less likely to exit housing insecurity compared to those living in apartments and homeowners, respectively. Furthermore, residing in rooftop or semi-subterranean location, or undergoing residential moves, significantly elevate the risk of entering housing insecurity. Thirdly, external supports appear to have a limited role in achieving housing security for young adults. Parental economic resources significantly facilitate exiting housing insecurity, whereas governmental housing policy benefits show no significant effect. These findings provide important implications for policy-making aimed at addressing and preventing housing insecurity among young adults.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Social Capital of Adults (성인의 사회자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Park, hyu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253-254
    • /
    • 2015
  • 서울 강북지역 성인남녀 218명으로 대상으로 한 본 연구에서 이웃관계, 심리적 자본, 지역사회주거환경, 정부나 사회단체로부터 지원받은 경험이 사회자본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를 통해 개인적인 심리적 자본 외에 지역사회 환경과 사회적 차원의 지원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 PDF

The Formation Factors and Distribution Analysis of High-Class Residential Areas in Seoul (서울시 고급 주택지역의 형성요인과 분포 분석)

  • Kim Min-Hoi;Kim Tae-Hyun;Hong Sun-Gwan;Kim Hong-Kyu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 /
    • v.16 no.6
    • /
    • pp.1-7
    • /
    • 2005
  • 도시화는 현대사회의 가장 큰 특징이며 도시가 성장하면서 과거의 기능이 변화하고 도시내부의 공간구조가 점차 기능적으로 분화하는 경향이 있다. 그 중 가장 주목할 만한 것 중의 하나는 주거지역의 입지변화와 공간적 확산과정에서 나타나는 주거지 분화현상이다. 도시생태학자 Hoyt은 주거지 이동패턴에 대하여 도시 내의 주거지분포 패턴을 결정짓는 핵심적인 요인으로 최고지대를 지불할 수 있는 부유층의 주거입지 선택에 따라 전체 도시의 계층별 주거분포가 영향을 받게 된다고 주장하였다. 서울은 소규모로 계획된 역사도시에서 인구 1000만의 대도시로 성장하여 오면서 많은 구조적 변화를 경험하여 현재의 공간구조를 이루게 되었다. 현재 전체 서울의 주택지는 동일한 것이 아니고 각종 주위환경에 따른 성격과 특성을 달리하는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이 특성을 달리하는 주택지들이 모여서 각기 상이한 역할을 수행하고 서로 기능적 관계를 맺으면서 주택지를 형성하고 있다. 선형이론(Hoyt's Sector theory)에 따르면 고급주택지역의 도시 공간구조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주장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서울의 고급주택지역의 분포와 그 입지 특성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시 고급주택지역의 분포를 형성하는 원인을 규명하는데 있다. 고급주택지의 지역적 분포를 파악하여 그 입지 성향과 특성을 알게 되면 도시의 토지이용계획, 특히 주거지계획에 도움이 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