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주거선택

검색결과 220건 처리시간 0.042초

대학생의 주거의미 및 주거선택시 고려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eaning and Choice Factors of Housing by University Student)

  • 신화경;조인숙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957-968
    • /
    • 2014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find out the meaning of housing and choice factors of housing of the university students. The snowballing method was used to collect the data for analysi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April 4th to 14, 2013, and the sample consisted of 122 university students and 40 pairs of university students and their parents in Seoul. It was examined the meaning of housing and choice factors by university students. The finding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1) The meaning of housing was composed of 9types : 'Family harmony space', 'Emotional space', 'Social status space', 'Life space', 'Social relations space', 'Economic space', 'Perform the role space', 'Physical safety space' and 'Privacy space'. 2) The choice factors of housing were composed of 7types : 'Social status', 'Life with Neighborhood', 'Safety and security', 'Transportation and education', 'Ease of use of facilities', 'Economic' and 'Environment'.

주한 외국인 유학생의 주거유형 선택 및 주생활특성 조사 연구 (A Study on the Selection of Housing Type and Characteristics of Dwelling for Foreign Students in Korea)

  • 안선민;장상옥;신경주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7권6호
    • /
    • pp.9-18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selection of housing type and the characteristics of dwelling of foreign students' residence in order to provide some information for better housing plans for foreign students in Korea. To analyze characteristics of dwelling,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with 171 students who study in the university located in seoul, Korea.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Overseas students in Korea can get from their house to school within 30 minutes and they spend more than 9 hours a day at home on average. Housing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for oversea students. For the dormitory group, they chose their houses based on fee, distance from the school, stability, etc. The lodging group, chose their houses based on fee, distance from school, and Korean culture experience. The Go-Si-Won group chose their houses based on fee, distance from the school, privacy and so on.

서울시 고급 주택지역의 형성요인과 분포 분석 (The Formation Factors and Distribution Analysis of High-Class Residential Areas in Seoul)

  • 김민회;김태현;홍선관;김홍규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6권6호
    • /
    • pp.1-7
    • /
    • 2005
  • 도시화는 현대사회의 가장 큰 특징이며 도시가 성장하면서 과거의 기능이 변화하고 도시내부의 공간구조가 점차 기능적으로 분화하는 경향이 있다. 그 중 가장 주목할 만한 것 중의 하나는 주거지역의 입지변화와 공간적 확산과정에서 나타나는 주거지 분화현상이다. 도시생태학자 Hoyt은 주거지 이동패턴에 대하여 도시 내의 주거지분포 패턴을 결정짓는 핵심적인 요인으로 최고지대를 지불할 수 있는 부유층의 주거입지 선택에 따라 전체 도시의 계층별 주거분포가 영향을 받게 된다고 주장하였다. 서울은 소규모로 계획된 역사도시에서 인구 1000만의 대도시로 성장하여 오면서 많은 구조적 변화를 경험하여 현재의 공간구조를 이루게 되었다. 현재 전체 서울의 주택지는 동일한 것이 아니고 각종 주위환경에 따른 성격과 특성을 달리하는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이 특성을 달리하는 주택지들이 모여서 각기 상이한 역할을 수행하고 서로 기능적 관계를 맺으면서 주택지를 형성하고 있다. 선형이론(Hoyt's Sector theory)에 따르면 고급주택지역의 도시 공간구조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주장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서울의 고급주택지역의 분포와 그 입지 특성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시 고급주택지역의 분포를 형성하는 원인을 규명하는데 있다. 고급주택지의 지역적 분포를 파악하여 그 입지 성향과 특성을 알게 되면 도시의 토지이용계획, 특히 주거지계획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주거환경이 주거가치, 주거만족,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Effects of Housing Environment on Value,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of Housing)

  • 박영근;김판준;황태수
    • 유통과학연구
    • /
    • 제5권1호
    • /
    • pp.89-105
    • /
    • 2007
  • 아파트시장의 환경변화와 소비자 특성의 변화로 인해 아파트 선택시 소비자의 구매의사결정도 과거와는 매우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 아파트 건설업체들은 고객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주거환경을 이해하고, 차별화된 주거가치를 고객들에게 제공하여야 한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선행연구에서는 주거환경이 주거가치, 주거만족, 재구매의도간의 관계에 대한 통합적 연구가 거의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부동산뿐만 아니라 마케팅 분야의 관련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주거환경이 주거가치, 주거만족, 재구매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주거가치와 주거만족은 재구매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여 향후 아파트 건설업체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유용한 전략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 PDF

제품 사용의 관찰범위에 따른 사용자 행위 데이터 비교 분석에 관한 연구 - 주거공간에서의 사용자 행위 관찰 사례를 중심으로 - (The Study on Comparison and Analysis of User's Behavior Data Pursuant to the Observation Range of the Product Use)

  • 손지선;정지홍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6년도 학술대회 2부
    • /
    • pp.334-339
    • /
    • 2006
  • 주거환경의 변화는 주거공간을 구성하고 있는 제품을 더 이상 독립된 구조가 아닌 서로 네트워크로 연결된 하나의 제품 및 서비스로 인식될 필요성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제품 및 서비스 컨셉 도출을 위한 사용자 조사 단계에서 사용자의 행위 관찰 시, 관찰의 범위가 기존의 개별 제품을 사용하는 환경 중심에서 전체 제품을 사용하는 환경으로 확장 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주거공간에서 제품 사용의 관찰범위를 개별제품사용환경과 전체제품사용환경으로 분류하여 각각의 관찰범위에서의 사용자 행위 분석 데이터가 어떠한 차이를 갖는지 관찰법(Ethnography)을 이용한 사례연구를 통해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추후 주거환경을 구성하는 제품 및 서비스 개발 시 목적에 적합한 관찰범위를 선택하는데 있어 도움이 될 것이며, 기반이 되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예비 고령자의 입지유형별 고령자 주택 선택요인 분석 (A study on Determinant Factors of Preferred elderly Housing based on Location among Preliminary Elders)

  • 김창곤;원유호;이주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9호
    • /
    • pp.562-575
    • /
    • 2015
  • 본 연구는 예비 고령자의 고령자주택 수요특성에 기반 한 고령자주택의 도심형, 교외형, 전원휴양형 입지유형별 고령자 주택의 개발방안을 도출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분석결과를 종합한 시사점을 도출해보면 도심형을 선호하는 고령자 주택유형 예비 고령자들은 개인적 특성이 다른 유형에 비해 다수 도출된 것으로 판단해 보았을 때, 이러한 개인적 특성에 맞게 고려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다음으로 교외형에 주택유형 선택에 있어서는 도출된 모형을 중심으로 미혼자녀유무, 건강상태 유무, 현주택규모, 노후경제활동계획 등을 고려하되, 노년기 주거선호의 접근성, 편리성, 투자성, 환경성을 상대적으로 주택의 개발수요를 예측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전원 휴양형 고령자 주택유형의 선택 시에는 상대적으로 현 주택 특성의 세부변수가 다수 도출된 점을 판단했을 때 기본적으로 예비 고령자들의 현 주거 특성을 고려를 기본으로 하되 노년기 주거선호의 쾌적성, 편리성, 안전성, 투자성, 환경성 등의 종합적인 선호가 주요 결정요인으로 도출되었기 때문에 노년기 주거선호에 대한 예비 조사를 고려하여 주거유형의 선택을 고려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아파트 브랜드 이미지가 입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A Study on the Influence of Apartment Brand Image on Occupancy Satisfaction)

  • 김동일;강희삼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3호
    • /
    • pp.241-247
    • /
    • 2018
  • 본 연구는 최근 다양한 주거환경과 거주에 따라 생활양식이 변화되고 있는 시점에서 정형화된주거 형태의 보급과 공급에 의존하는 수동적 주거선택의 조건에서 소비자의 선택적 가치가 브랜드가치와 연관성이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즉, 주거형태에 따라 구매의도와 구매 결정에 영향을 주고 있는 브랜드와 입주만족간의 영향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주거관련 선행연구를 종합하고 입주만족도에 대한 이론적 연구를 통해 연구모델을 개발하고 연구가설을 설정하여 입주만족도의 주요 요인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첫째 브랜드 가치와 입주만족도와의 관계에 있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둘째 주거형태와의 관계에 있어서는 유의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매개변수로 작용하고 있는 경제적 가치와의 관계에 있어서는 어느 정도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아파트 공급자와 수요자와의 관계에 보다 구체적이고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사 연구에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통제변수의 선정과 분석적 오차 등의 한계로 향후 연구에서는 보다 종합적이고 타당한 지표개발을 통해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고등학생의 '가정과학' 주생활 단원 내용 요구도 (The Needs of Housing Contents in Highschool Home Economics among Students)

  • 김란;조재순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45-161
    • /
    • 2008
  • 이 연구는 가정과학 선택 여부를 결정하게 될 고등학교 1학년들이 현행 가정과학 교과서의 주생활 영역 내용과 거기에 첨가할 수 있는 내용을 얼마나 배우고 싶어하는 지를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 연구결과는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 개발시 수요자의 요구를 반영하는데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요구도를 조사한 주생활 단원 내용은 현행 가정과학 교과서의 주생활 내용을 분석하여 총 56개 내용 항목(중단원별 19, 14, 23개)을 추출하였고, 교과서 이외의 추가 내용은 교과서 참고자료, 선행 연구, 미래 사회에 요구되는 영역, 교육과정의 개정 방향, 일본의 교육과정 등을 참고하여 총 49개 항목(중단원별 22, 10, 17개)을 선정하였다. 질문지는 전국 8개 시?도 소재 고등학교에서 1학년 600명을 대상으로, 2006년 12월 18일부터 28일까지 조사하였다. 회수된 질문지 중 516부가 SPSS/WIN10.0 프로그램을 이용한 빈도, 평균, 백분율, t-test, ANOVA(Scheffe 사후 검증), 상관분석에 활용되었다. 연구 결과, 학생들은 가정 과목을 대체로 흥미 있어 하였근 절반 이상이 가정과학 선택하기를 보통 이상으로 희망하였으나 교과 선택 희망도는 흥미도보다 낮았다. 주생활 교육 내용 전반적인 요구도는 보통 이상으로 약간 배우고 싶은 정도였고, 그 중에서도 주거의 디자인 관련 내용을 가장 배우고 싶어 하였으며, 소단원 중에서는 기능적인 주거 공간 만들기, 주거 디자인의 요소와 원리를 가장 배우고 싶어 하였다. 현행 교과서 내용에 대한 요구가 추가 내용보다 더 높았으나 추가 내용에 대한 요구도 상당히 높았다. 주생활과 거주 환경 중단원은 오히려 현행 내용보다 더 배우고 싶어 하였다. 세부 항목 중에서는 디자인, 미래의 주거, 건강, 안전, 쾌적한 삶 등과 관련된 내용을 더욱 배우고 싶어 하였다. 이론적이고 직접 적용이 어려운 내용은 요구도가 낮았으며, 일상생활에 적용하기 쉬운 내용을 더 배우고 싶어 하였다. 일반적 특성과 요구도와의 관계에서는 개인 특성 중 성별, 선택계열, 가정 과목 성적에 따라서는 모든 단원의 요구도에 거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가정과목을 선호할수록, 가정과학 과목 선택을 희망할수록, 주거 생활 영역에 관심이 많을수록 대부분의 내용을 더 배우고 싶어 하였다. 가족 특성에서는 아버지 직업, 어머니 직업 유무, 가족 수, 방 사용 유형에 따라서는 요구도 차이가 거의 없는 반면, 주택 형태나 이웃과의 친밀도에 따라서는 차이가 있었다. 주거 환경 특성에서는 주거 지역에 따른 내용 요구도 차이가 뚜렷하였다 더불어 주변 시설이나 환경도 내용에 따라 다소 유의한 상관이 있어 주생활 내용 구성은 지역 간 또는 주변 주거 시설 환경을 고려하고 교수학습시에도 반영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