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주거문제

검색결과 489건 처리시간 0.026초

집합주거 선호 및 규범에 관한 연구 (Preferences and norms for multi-family dwellings of Korean households)

  • 양세화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6권2호
    • /
    • pp.21-31
    • /
    • 1995
  • 주택부족 문제의 효율적 해결방안의 하나로 보급되기 시작한 아파트는 다양한 문제의 표출에도 불구하고 '좁은 땅에 많은 주택 공급'이라는 한국 현실에 가장 적합한 주거유형으로 정착되고 있다. 본 연구는 아파트를 비롯한 여러 유형의 집합주거가 어떤 계층의 가족에 의해 선호되고, 나아가 이상적인 주거유형 규범으로 인식되고 있는지 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모델에 포함된 변인중 가장의 연령과 학력은 현재 거주하는 주거유형 및 집합주거 선호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현재 집합주거에 거주하는 가정일수록 높은 집합주거 선호를 보였다. 집합주거 규범에 관한 분석에서는 집합주거 선호 변인만 유의적인 영향을 주어, 집합주거를 선호하는 가정일수록 이를 한국 사회의 주거유형규범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많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 PDF

주거빈곤이 아동발달에 여향을 미치는 과정 분석 (Process Analysis of Housing Poverty Influences on Child Development)

  • 임세희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2권4호
    • /
    • pp.377-402
    • /
    • 2010
  • 본 연구는 한국복지패널(1차년도)을 활용하여 주거빈곤이 아동의 신체건강, 내재화문제,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과 그 과정을 밝히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최저기준미달주거와 주거비 비중은 주거불안정과 모(부)불건강, 아동의 비학업활동은 증가시키고, 비주거지출은 감소시켜 아동의 내재화문제와 학업성취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소득빈곤, 지역빈곤과 가구특성을 통제한 상태에서 나타난 결과였다. 본 연구를 통해 주거빈곤에 대한 이론적 모델을 발전시키고, 주거 빈곤 정책의 중요성을 환기시킬 수 있었다.

  • PDF

한국인의 세대별 복지태도지형 탐색 연구 (A Exploratory Study on Topography of The Welfare Attitudes among Korean People by Generation)

  • 김신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4호
    • /
    • pp.189-193
    • /
    • 2021
  • 이 연구는 한국인의 세대별 복지태도 지형에 대한 탐색을 목표로 한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는 현재를 살아가는 한국인이 가지는 복지에 대한 태도 측면이 세대에 의해 어떻게 분화되고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묘사하는 데 집중하고자 한다. 분산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복지지출 확대에 대한지지', '사회서비스 대상(보편 vs 선별)', '교육지출 확대', '주거지원 확대', '양육 및 보육 지원', '청년사회활동지원', '실업 및 고용지원'에서 세대별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사후비교(post hoc comparison)분석에 따르면, 모든 변수들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20-30대'와 '60대 이상' 집단 간의 차이에 기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응일치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사회문제 해결의 1순위'의 경우 '20-30대'는 '양육 및 보육', '실업문제', 주거문제'와 근접성을 보이고 있으며, '60세 이상' 세대는 '빈곤문제'와 '노후생활문제', 그리고 '장애인문제'와 근접성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문제 해결의 2순위'의 경우, '20-30대'는 '양육 및 보육',과 '주거문제'와 근접성을 보이고 있으며, '40-50대'는 '빈곤문제'와 '노후생활문제', '60세 이상' 세대는 '건강 및 의료문제' 및 '장애인문제'와 근접성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IoT 환경 기반 취약계층 주거 지원 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Housing Support System for the Vulnerable Class based on IoT Environment)

  • 심성호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17-22
    • /
    • 2022
  • 현재 주택보급률은 100%를 넘기고 지속적으로 보급률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주택보급률은 주거 서비스 정책에 있어 양적 공급 중심에서 주거 환경의 질 향상으로 변화되고 있다. 주택보급률 증가에도 여전히 주거 취약계층에 대해서는 실질적 접근이 어렵고 필요한 시기에 주거서비스를 이용하기에는 미흡한 부분이 많이 있다. 또한, 주거취약계층의 범위 확대로 주거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정책 및 지원 사업 확대를 통해 주거취약계층에 대한 물량 확보 및 공급계획을 수립하고 있지만 독립적인 생활을 보장 할 수 없는 시설 및 공동입주가 주를 이루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취약계층 주거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IoT 환경 기반 취약계층 주거 지원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 시스템은 주거 환경의 질을 향상하고 서비스 중심의 지원 서비스를 제공한다. 제안시스템을 통해 취약계층의 삶의 질을 향상하고 자립 생활이 가능한 주거 환경을 지원하여 적절한 사회참여 기회를 제공 받을 수 있다. 향후 연구로는 다양한 취약계층을 고려한 시스템으로 확장하여 사회적 약자 증가로 발생하는 문제를 보완한다.

중국 소주지역 민가 거주가가 지각한 주거문제에 관한 연구 (Studies about Housing Problems Perceived by Residents in Traditional Houses in Suzhou, China)

  • 최이비;최병숙;장리리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5권6호
    • /
    • pp.11-18
    • /
    • 2014
  •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housing problems and environment conditions perceived by residents in traditional houses in Suzhou, China. The empirical data is based on a questionnaire survey, which were from 100 residents in traditional area in Gusu area of Suzhou. In order to understand the traditional houses, on-the-spot investigation and literature review methods are adapted in this study.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most of residents are middle-aged or older people, and their income is not high. Secondly, there are almost no cases of organizing independent workroom and storage room in their housing. Moreover, the main problems are mildew, theft, rats and cockroaches, etc. Finally, the satisfaction with the internal housing environment was appeared reasonable, but the external environment is unsatisfactory. Therefore, the external environment should be more considered in the Chinese traditional housing policy.

이재민 맞춤형 실내 임시주거시설의 생활서비스 개선을 위한 서비스디자인 연구 (A Study on the Service Design for the Improvement of Living Service in the Temporary Residential Facilities for the Victims)

  • 김창룡;김정우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6권3호
    • /
    • pp.526-541
    • /
    • 2020
  • 연구목적: 본 논문은 서비스디자인 방법론을 통해 이재민들의 니즈와 불만사항을 파악 및 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하고 이를 개선할 수 있는 실내 임시주거시설에서의 맞춤형 생활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더블 다이아몬드 프로세스에 맞춰 발견, 정의, 개발, 그리고 전달 순으로 진행한다. 발견 단계에서는 선행연구 분석과 설문 조사를 통해 이재민의 니즈와 불만사항을 파악한다. 정의단계에서는 실내 임시주거시설 생활서비스의 문제점을 좀 더 구체화하기 위해 페르소나 기법과 시나리오를 작성한다. 개발 단계에서는 현재 실내 임시주거시설에서 제공하는 모든 서비스 프로세스를 상세하게 도식화하여 서비스 블루프린트 작성 및 기존 서비스 전달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하는 구간을 발견한다. 전달 단계에서는 문제가 발생하는 단계의 문제점을 개선한 서비스와 기존 서비스 비교한 뒤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연구결과: 실내 임시주거시설에 제공되는 생활서비스 중 이재민과 일반인들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프라이버시 보장 서비스, 노인 돌봄 서비스, 식사·빨래 서비스 문제를 개선할 수 있는 서비스 해결방안을 제시한다. 결론: 본 논문을 통해 제시한 해결방안을 적용한다면 실내임시주거시설에서 크게 문제가 되는 프라이버시 문제, 노인 돌봄 서비스 문제, 그리고 식사·빨래 서비스 문제 개선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이웃과 더불어 만드는 지속가능한 주거생활'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및 적용 (Application and Development of Teaching-Learning Plan for 'Sustainable Residence Created with Neighbor')

  • 박미라;조재순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18
    • /
    • 2010
  • 이 연구에서는 2007년 개정 교육과정 기술 가정과 주생활 단원에 적용할 수 있는 '이웃과 더불어 만드는 지속가능한 주거생활'이라는 주제로 실천적 문제 해결 교수 학습 방법을 적용하여 교수 학습 과정안을 개발하였다. 연구 절치는 ADDIE 교수설계모형에 따라 분석, 설계, 개발, 적용, 평가단계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교육과정과 관련문헌을 분석하여 '지속가능한 주거생활을 위해 나는 이웃과 더불어 무엇을 할 수 있는가?'라는 실천적 문제를 설정하였다. 교수 학습 과정은 총 6차시로 실천적 문제 해결 과정에 따라 문제정의(1~2차시), 실천적 추론(3~4차시), 행동(5차시), 행동에 대한 평가 단계(6차시)로 구성하였다. 1~2차시에는 지속가능한 주거에 대한 개념과 이웃공동체의 역활을 학습하면서 현대 주거의 요구를 확인하도록 하였다. 3~4차시에는 공동생활공간과 공동활동 프로그램으로 현대의 주거생활로 인해 발생하였거나 앞으로 발생가능한 자원고갈, 환경오염, 인간소외, 가족부양 등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획득하고 분석하도록 하였다. 5차시는 문제해결을 위한 구체적인 행동계획을 수립하고 4~6일간 수행하도록 하였다. 6차시는 수행 결과를 발표하고 검토, 반성하도록 하였다. 교수 학습 자료는 학습 활동지(17개), 텍스트 자료(6개), 동영상 자료(6개), 인터넷 자료(2개), 이미지 자료(1개)를 개발하여 영상으로 제시하거나 인쇄물로 배부하였다. 수업적용은 2009년 9월 1일부터 14일까지 경북 상주시 소재 H중학교 2, 3학년과 병설 H고등학교 1학년의 각 1학급을 대상으로 적용하였다. 교수 학습 과정에서 연구자 관찰 내용과 학생의 수행 결과물을 분석한 결과, 학생들은 자신의 마을이나 자신의 경험과 관련이 높은 교수 학습 자료가 제시된 경우 더욱 적극적으로 학습에 참여하였다. 우리 마을의 공동생활공간과 공동활동 프로그램을 제안할 때는 또래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제안이 대부분이었으며 저학년은 주로 개인의 흥미와 개인적인 요구 충족을 위한 활동을 많이 제안하였고 고학년은 수혜의 범위가 타인을 위한 활동을 많이 제안하였다. 그리고 행동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교사의 지원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설문지 분석 결과, 실험수업은 공동체 의식올 높이는데 효과가 있었으며 특히 마을에 대한 소속감 및 만족감, 자발적 참여의식을 높이는데 긍정적으로 작용하였다. 학습자의 실천적 문제 해결 교수 학습 과정 참여도를 단계별로 학습자가 주관적으로 평가하는 수행수준으로 알아 본 결과 4단계 모두 보통이상 이었으며 문제정의, 실천적 추론 단계가 행동과 행동반성 단계보다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생활 속에서 문재를 발견하고 인식하는 교수 학습 내용과 다양한 학습 자료를 사용한 교수 학습 과정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실천적 문제 해결 과정을 적용한 '이웃과 더불어 만드는 지속가능한 주거생활' 교수 학습 과정안은 학습자의 공동체 의식 함양과 주거에 관련된 실천적 문제 해결 능력을 함양하는데 긍정적으로 작용하며 실천적 문제 해결 행동을 실제적으로 수행하는 것에 대해 학생들이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다고 결론 내릴 수 있다.

  • PDF

지역사회 내 쓰레기 문제 해결을 위한 이산사건시스템 형식론 기반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 환경 (Modeling & Simulation Environment for Solving Waste Problems of the Local Community using Discrete Event System Formalism)

  • 최창범;정진호;류창현;김은영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29권1호
    • /
    • pp.71-79
    • /
    • 2020
  • 현대사회의 도시화 추세가 지속됨에 따라 인구의 집중으로 주거환경에 대한 도시문제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다양한 도시문제 중에서 대표적인 문제 중 하나는 쓰레기 문제로 시민들의 주거환경 악화의 원인이 되며 시정 만족도에 대해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다. 이와 같은 쓰레기 문제는 단순히 주거지역의 쓰레기 배출량에 대한 분석으로는 정확히 예측할 수 없으며 쓰레기의 주거지역에 분포하고 있는 거주민의 생활양식과 특징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주거지역 내의 거주민의 분포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쓰레기 문제와 이에 대한 만족도 분석을 수행하기 위하여 이산사건 시스템 형식론을 활용한 에이전트 기반 거주민 모델링과 시뮬레이션 환경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연구는 주거민의 시계열적인 특성을 표현하기 위하여 원자모델을 사용하였으며 시뮬레이션 모델의 재사용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결합모델을 사용하여 다가구와 다가구 주택을 모의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다가구 주택지역에 대한 시뮬레이션 모델링을 진행하고,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로 다가구 주택지역의 시뮬레이션에서는 거주민의 특성을 고려한 결과와 그렇지 않은 결과 사이에 뚜렷한 차이점을 발견할 수 있었으며 지역 문화적 특성과 시간적 특성을 고려한 시뮬레이션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