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주거공간구성

검색결과 268건 처리시간 0.026초

가상현실 주거공간을 위한 사용자경험 평가 방법 (The Method of User Experience Evaluation for Virtual Living Space)

  • 김미선;백희원;서혜란;고일주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7권12호
    • /
    • pp.795-806
    • /
    • 2017
  • 본 논문은 가상현실 주거공간 콘텐츠를 대상으로 하는 사용자경험 평가 방법을 제안한다. 그리고 프로토타입으로 제작한 시뮬레이션에 제안한 사용자경험 평가 요인을 적용하여 사용자경험을 측정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사용자평가 방법론은 기존 사용자평가 방법론에 기반하되, 가상현실 주거공간의 특성에 맞도록 사용 경험과 평가 요인을 변경하여 수립하였다. 프로토타입으로 제작한 가상현실 주거공간 시뮬레이션은 실제 사용자가 현실감을 느낄 수 있도록 실제 공간과 유사하게 구성하였고, 사용자들이 현실에서 사용하는 오브젝트들을 각 공간에 배치하였다. 실험 대상자들은 주어진 시나리오대로 작업을 수행한 뒤, 시뮬레이션 평가를 수행하였다. 평가 결과 시뮬레이션의 주요 목표인 사용자에게 현실감을 느끼게 하는 항목이 예상보다 낮게 나타났다. 이는 추후 시뮬레이션은 현실감을 높이는 요소의 추가하거나 확장하는 방식으로 수정 방향을 설정해야 함을 의미한다. 이렇게 본 논문에서 제안한 UX평가 방법은 콘텐츠 개발자 또는 디자이너에게 가상현실 주거공간에서 사용자의 요구를 파악할 수 있는, 보다 객관적인 지표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왕곡마을 민가의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Folk Houses at Wanggok Village)

  • 최장순;조현길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8권5호
    • /
    • pp.1-10
    • /
    • 2007
  •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sidential spatial composition structures of vernacular agricultural village which to be called Wanggok in Yeongdong a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cdot}$ The backyard of farmhouses is surrounded by a fence and a frontyard is open to the road, so that the spatial realm system from the road to the backyard is classified as public-semi public-private realm. ${\cdot}$ The plan type of this village is mainly composed of ㅡ type Gyeobjib (the two row rooms under one roof) and ㄱ type Gyeobjib, the Anmaru (the inner wood floor to be surrounded with wall) in both of which plays an important role that connects Sarangbang (the men's main room) with Anbang (the women's main room) in the residential space. ${\cdot}$ The particular item that not found out in another area is the Sarangbang kitchen which located to Sarangbang's side wall to be furnished with a fire hole. ${\cdot}$ The houses represent the socio-cultural environmental elements of those built days, such as while Sarangbang is faced on a frontyard to be open to the neighborhood, Anbang is faced on a backyard surrounded with a fence to be closed to the one. ${\cdot}$ The Gyeobjib with Anmaru appeared by cultural transformation connecting the 田-shaped house of Hamgyeongdo with the Gyeobjib with Anmaru of Gangwondo and Gyeongsangbukdo. ${\cdot}$ The ㄱ type Gyeobjib is preferred to ㅡ type Gyeobjib because of the sea wind and the north-east wind occurring by geographical and climatic environment elements, the privacy protection according to look into a frontyard, the muck drainage of cowshed to make use of ground unevenness, the economic gains called material saving and the intention to enlarge the frontyard as to be concentrated in a residential space and etc.

지하공간온도의 수치해석을 위한 행렬 구성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 Method of Making the Matrix far the Numerical Analysis of Underground Temperature)

  • 정수일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11권1호
    • /
    • pp.36-41
    • /
    • 2001
  • 우리가 에너지원으로 사용하고 있는 연료는 40년이면 바닥이 난다는 게 일반적으로 알려진 사실이며 우리나라는 주거용에너지가 전체에너지 수요의 30∼40%를 차지하고 있는 실정이므로 주거용 에너지 절약의 한 방법으로서 지하공간의 사용을 검토해 봄직도 하다. 지하공간의 열 해석에는 그리드로 된 교점회로망을 구성하여 해석을 하게되는 데, 지금 시중에 나와있는 해석용 프로그램은 비싸고 큰 용량을 필요로 함으로 현장에서의 사용이 쉽지는 않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교점회로망을 구성하여서 중심교점에 영향을 미치는 인접교점들의 열저항요소를 계산하여 행렬에 대입함으로써, 지중온도를 구하는 방법을 연구하여 실험현장의 실측치와 비교한 결과,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다. 따라서 이 방법을 적용하면, PC 에서도 값싼 계산용 프로그램 (C++, 포트란, 베이직 등)을 사용하여 지중온도를 쉽게 해석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건축물 내외부의 친환경 구성을 위한 입체녹화의 부문별 디자인 적용요소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Design Components of 3D Greenery System for Eco-Friendly Indoor and Outdoor Space of Buildings)

  • 신경선;김원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275-284
    • /
    • 2017
  • 입체녹화가 도시환경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친환경 건축물의 새로운 대안으로 부각되고 국내적용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필요해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외 건축물 준공사례를 대상으로 건축물 내 외부에 반영되고 있는 입체녹화의 공간특성을 조사하고 구성체계 및 디자인요소를 분석하여 친환경구성을 위한 부문별 디자인 적용요소의 발전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분석결과, 입체녹화는 건축물 내 다양한 외부공간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대형화하는 고밀도 개발형태를 보이며 초기에는 전시, 교육 등 공공시설이 많았으나 최근에는 공동주택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공동주거 Unit에 다양한 근접공간을 도입하고 사적 공간에서 독립적인 녹화공간을 제시하는 등 거주자의 선호조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근접공간을 이용하도록 계획하는 방법은 일률적인 국내 공동주거의 디자인을 지양하고 거주자의 다양한 행위를 유도할 수 있다. 새로운 공간분위기와 다양한 옥외공간으로 인한 커뮤니티 장소들은 사회적 상호 작용을 통해 공동주거의 생활패턴을 변화시키고 새로운 마을공동체를 조성하는 방법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대지의 환경특성을 적극적으로 반영하고 건축물 형태에 자연지형과 경사로를 이용하는 경향을 뚜렷이 보이고 있어 외부공간 환경조성 디자인요소에 대한 후속 연구도 필요하다.

주거기능에 대한 고찰

  • 이문섭
    • 건축사
    • /
    • 5호통권76호
    • /
    • pp.16-22
    • /
    • 1975
  • 본 내용은 1973년 10월 ‘스웨덴’에서 있었던 ‘주택산업의 개발전망’이라는 심포지움중, 스웨덴 주택연구소 기술과장으로 있는 ‘Borelius Anno'여사의 발표내용으로서 주택기준 작성에 고려하여야 할 사항을 항목별로 기술하고, 그에 따른 자료를 예시하고 있다. 물론 본기준과 자료가 우리나라 실정에는 맞지 않으나 접근방법과 평면계획, 공간구성등은 좋은 연구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라이프스타일을 고려한 유비쿼터스 주거 공간 계획 연구 (A Study on the planning of Ubiquitous housing for the Lifestyle)

  • 조해림;안길재;김용성
    • 한국디지털건축인테리어학회논문집
    • /
    • 제13권3호
    • /
    • pp.41-49
    • /
    • 2013
  • According to the ROK 2010 census, representatives living arrangement are changing from 4 people per household to 2 people. Increasing number of elderly household and single household, the variety of lifestyles there has been a type of family structure. In this study, 1) through a precedent study review and case analysis to deduct representative group of lifestyle of Korean household. 2) Proposing spatial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preferred lifestyle. 3) Deducting residential U-services from which specified from "Ubiquitous City Construction Project Operation Guide (2009)" of the korean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4) Deduct highly expected U-service by each of lifestyle. As a result, spatial configuration and U-Services are proposed by changes of lifestyle which is based on ROK 2010 census.

공동주택단지의 공동생활공간 구성을 위한 거주자 사용행태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sidents¡?Behavior for the Planning of the Shared Community Space)

  • 조성희;강혜경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3권3호
    • /
    • pp.103-113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users'behavior for the planning of the shared community space(SCS). It was analyzed and estimated that the present status of the SCS of the contemporary multi-family housing sites in Korea and the residents'behavior in the SCS. Theoretic investigation and empirical research methods were used in this study. The empirical survey focused on seeking out user-oriented design criteria, based on the analysis of residents'usage behavior for the SCS. The analysis was made by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to the usage status survey for the SCS,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degree of usage according to their locations. Second, as to the analysis of the SCS through a mental map, the sketch map analysis is found to be a useful research method for the SCS planning by actualizing the residents'behavior characteristics. In detail, the main characteristics in the SCS planning are nearness, centrality, intimacy, combination of facilities and the connection with the main paths of the complex.

주상복합건축물의 전이공간 구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mposition of the Transitional Space of the Mixed-Use Buildings)

  • 김진숙;구본덕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6권5호
    • /
    • pp.107-116
    • /
    • 2005
  • This study focuses on the planning and actual use of the transitional spaces in the residential-commercial mixed-use buildings. The range of case study include from the year of 1960's to 2000. Through the case study and field survey, we can extract the elements of the transitional space and the problems of Mixed-Use building from the viewpoint of transitional space. According to the field survey, most of the residential-commercial mixed-use buildings contain the transitional space to some degree, but there need to be a more active planning method to secure the residential factors and for this reason, the application of the transitional space must be emphasized at a higher level.

대전시 노인복지회관 시설공간개선 연구 (A Study on the Facility Space Improvement for the Senior Welfare Center in Daejeon City)

  • 이해욱;이정수;송용호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7권5호
    • /
    • pp.1-8
    • /
    • 2006
  • Being rapidly increased in population of the elderly, the welfare of the elderly is no longer family's and personal problems. It is a social issue that have to be solved by the community and the government. Daejeon city government faces the same social issue and should release the solution to the community in the near future. Based on the new trend of deinstitutionalization and community care for the elderly who live in normal home rather than for those in protection systems, the solution could be released to the elderly. This paper is assessed as the first stage research of normalization of the old people's living. By the comparition analysis of the existing Senior Welfare Center in Daejeon city and Japan, the facility space improvement method was considered. And through the above investigation and comparition analysis, the method that extend and improve the welfare facility space of Senior Welfare Center is proposed.

도시적 맥락에서 본 전통한옥의 공간구성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nges of Spatial Structure of Korean Traditional Housing in Urban Context)

  • 이해경;강경호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8권4호
    • /
    • pp.69-78
    • /
    • 2007
  • This study is to describe the changes of spatial structure of Korean traditional housing in urban context with the following preconditions. Firstly, Chosun Hanyang's urban housing should be classified as it's own type. Secondly, Chosun's traditional housing accomplishes a complete urban housing type in Japanese colonial period through the stream of time.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s followings. First is to find out the process of changes of urban housing in urban context from the latter period of Chosun Dynasty to 1960's. Second is to find out the origin of spatial structure of urban house which is being kept throughout the above changes. Third is to find out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urban house and the fundamental differences with folk houses in provi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