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좌향

검색결과 39건 처리시간 0.026초

함안-의령 일대 서북서 방향의 선상구조와 좌향이동 지시자 (WNW Trending Lineament and Criteria of Left-Lateral Displacement Around Haman-Uiryeong, Korea)

  • 류충렬;김종선;이한영
    • 자원환경지질
    • /
    • 제41권4호
    • /
    • pp.465-468
    • /
    • 2008
  • 경상분지 남부의 함안-의령 일대에서 확인되는 서북서 방향의 선상구조를 중심으로 반원상의 지형구조가 이 선상구조를 중심으로 남측지괴와 북측지괴에 각각 발달하고 있다. 이틀을 우향으로 약 750m 이동하면 하나의 환상구조로 복원된다. 따라서 이 서북서 방향의 선상구조는 환상구조가 생겨난 이후 좌향의 전단운동을 겪은 단층으로 해석된다. 그리고 북북서 방향으로 달리는 산릉이 이 단층에 전하면서 반시계방향으로 끌림습곡을 보이는 양상 또한 좌향의 이동을 지시한다.

혼합 우좌향 전송 선로 기반의 새로운 고조파 조절 회로를 이용한 저위상 잡음 전압 제어 발진기 (Low Phase Noise VCO Using Novel Harmonic Control Circuit Based on Composite Right/Left-Handed Transmission Line)

  • 최재원;서철헌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7권1호
    • /
    • pp.84-90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주파수 조절 범위의 감소 없이 위상 잡음을 줄이고 회로 크기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혼합 우좌향 전송 선로 기반의 고조파 조절 회로를 이용한 새로운 전압 제어 발진기를 제안하였다. 위상 잡음은 2차와 3차 고조파에서 동시에 단락임피던스를 갖는 새로운 고조파 조절 회로에 의해 줄어들었다. 제안된 고조파 조절 회로는 혼합 우좌향 전송 선로의 주파수 오프셋과 위상 기울기에 의한 이중 대역 특성을 갖는 혼합 우좌향 전송 선로를 이용하여 설계되었다. 높은 Q 특성의 공진기는 위상 잡음을 줄이기 위하여 사용되어 왔지만, 주파수 조절 범위가 감소하는 문제를 갖고 있다. 하지만 제안된 전압 제어 발진기의 주파수 조절 범위는 위상 잡음이 높은 Q 특성의 공진기 없이 감소하였기 때문에 줄어들지 않았다. 또한, 일반적인 우향 전송 선로 대신 혼합 우좌향 전송 선로를 이용하는 것을 통하여 회로의 크기를 소형화 하였다. 전압 제어 발진기의 위상 잡음은 5.731 ~ 5.938 GHz의 주파수 조절 범위 내에서 100 kHz의 오프셋 주파수에서 -119.17 ~ -117.50 dBc/Hz이다.

서원건축(書院建築)의 좌향결정(坐向決定)과 풍수적요인(風水的要因)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Layout for Korean Academics of Classical Learning with Fengshui Factors)

  • 박정해
    • 건축역사연구
    • /
    • 제19권5호
    • /
    • pp.49-63
    • /
    • 2010
  • With the effect that the Yipsu-ryong(入首龍) of Ju-san(主山) influenced on the layout in the view of geomantic topography(形勢), how Ahn-san(案山) affected the layout plan of the Korean academics of classical learning(書院) is researched. And how the "Jirisinbeob(地理新法)" which had been written by Ho-sun-sin(胡舜申) was applied to the Korean academics of classical learning in the view of Li and Ch'i(理氣) is studied. In Fengshui, the method to pick out a site and to confirm the direction for building construction was divided into two, one of them was 'the geomantic topography', which included 'Ju-san following type(主山順應形)', 'Ahn-san stressing type(案山重視形)' and 'Ju-san & Ahn-san complex type(主 案山混合形)'. And the other is the 'Rule of direction(向法)'. The Korean academics of classical learning was applied by the geomantic topography of Fengshui for its layout and direction, regardless of political, regional and period factors. So when the Sa-rim(士林) needed to set direction for the Korean academics of classical learning, the ground that was appropriate to the geomantic topography of Fengshui was selected. Therefore, the Sa-rim who was abused in Neo-Confucianism had a mind of stressing geomantic topography of Fengshui and they applied it positively for building construction.

청주(淸州) 탑동양관(塔洞洋館)의 입지선정(立地選定) 및 좌향(坐向)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Site Selection and Orientation of Western House in Cheongju)

  • 서향순;이민경;김태영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97-202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site selection and orientation which have affected the western missionaries in construction of the first western house in Cheongju a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the site selection, they chose Tap-Dong hill, by finding the higher position and taking a fine view of all natural elements, because the alters like the tomb of Confucius, the existing settlement Godang village, Dang Mt. are already located around this area. And also it was that they could easily go into Tap-Dong hill through the existing alleys, These alleys, generated near the original road of Tap-Dong hill, are developed to modern road system. These alleys affect western house's entrance and orientation. In deciding the orientation of house, korean people prefer to south and east by considering Feng-shui theory; otherwise western house, specially the first house has a southwestern aspect, because the western missionaries have a preference for the topography, entry, and view than a house facing south.

  • PDF

변위가 발생한 매립부 지반에 대한 연구

  • 김성욱;이현재;원지훈;서동주;이종출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2년도 총회 및 춘계학술발표회
    • /
    • pp.303-306
    • /
    • 2002
  • 변위가 발생한 해안도로 옹벽에 대한 원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기반암과 매립부 지반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지역에서 지질구조선의 발달은 관찰되지 않고 지표에서 기반암의 거동은 낙석의 형태로 나타난다. 기반암은 생교란작용의 유무에 따라 상, 하부지층이 구분되며 하부 지층은 신선한 상태로 이완된 불연속면은 나타나지 않는다. 변위는 옹벽의 이음부에 집중되며 옹벽의 운동방향은 우향이동과 좌향이동이 반복되며 최초 변위 발생지점 (시 점부)에서 멀어짐에 따라 장력에 의한 확장 (벌어짐)이 우세하며 종점부에서 회전운동이 수반된다. 이음부의 확장과 회전은 최초 발생 지점에서 응력이 전달되는 과정에서 나타난 것으로 해석된다. 매립부 지반의 전기비저항탐사에서 상부의 매립층은 높은 전기비저항을 가지는 것에 반해 하부는 매우 낮은 전기비저항 값을 보여준다. 이는 매립부의 하부지반이 해수면 이하에 위치하여 해수와 같은 유체의 영향을 받으나, 상부는 유체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 것으로 추정된다. 반면 최초 변위가 발생한 지점의 매립부 지반은 하부와 같이 낮은 전기비저항 값을 보여준다. GPR 탐사에서 최초 변위 발생 지점에서 매질의 이완 내지 공동으로 추정되는 구조가 관찰된다.

  • PDF

형국(形局)이 남서향(南西向)을 향하는 전통마을에서 주택의 방위(方位)적 특성 -한개, 오미, 닭실, 주실마을을 중심으로- (A Characteristics of Directional Orientation of the Houses in Hangae, Omi, Daksil, Jusil Traditional Villages of Geomantic South-west)

  • 이현병;김성우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1권3호
    • /
    • pp.45-52
    • /
    • 2009
  • This study is about the co-relationship between the directional orientation of the houses and the geometric direction in the Korean traditional villages. The major mountain in the back of the village and the front mountain ranges give the most important influence for the direction of the houses. This paper, therefore, tries to identify how the houses of villages facing South-west direct the orientation. The village, where the natural environment face the South-west village, solves the problem by facing major direction rather than one all direction. All houses observe and respect the circumstance of geomantic surrounding to the extant that almost no houses revise its direction without any geomantic reference. This kind of research let us know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atural direction, the direction of geomantic surrounding, and the direction of houses in traditional Korean villages.

  • PDF

농촌마을의 살림집 좌향(坐向)에 관한 연구 (The Lay of the Houses in the Rural Villag)

  • 리신호;오무영
    • 농촌계획
    • /
    • 제7권2호
    • /
    • pp.27-31
    • /
    • 2001
  • The meaning of the lay of the houses - traditional dwellings- was discussed and its application in the rural village was surveyed, The azimuth of the houses is considered to the direction of a sun and the house facing south is best. The houses are built with a low and comfortable hill for a background. The direction of the houses, which way the center of a house looks, usually looks the 70-80% point of a ridge line. The civil surroundings that the houses never look each other in the face and three houses are not sit side by side are good. The two rural villages surveyed were placed along the traditional custom

  • PDF

『선원보감(璿源寶鑑)』에 수록된 산도(山圖)의 표현기법(表現技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xpressive Technique of Sando(山圖) Included in 『Seonweon Bogam(璿源寶鑑)』)

  • 황인혁;김택진;김기덕
    • 역사민속학
    • /
    • 제44호
    • /
    • pp.39-70
    • /
    • 2014
  • 산도(山圖)에 대한 연구는 고지도(古地圖)를 중심으로 회화(繪畵)와 풍수(風水) 등 다양한 분야에서 다양한 시각으로 꾸준히 연구 성과가 축적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는 대부분 문헌연구(文獻硏究)에 의한 산도(山圖)의 양식과 종류 그리고 실생활에서의 활용 등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고 산도(山圖) 자체에 대한 분석과 연구는 미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산도(山圖)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를 위해 지금까지 축적된 산도(山圖)에 대한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산도표현(山圖表現)의 특징을 세 가지 관점으로 분류하고 분석하여 아래와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1) 산도(山圖)에 적용된 좌향(坐向)에 대한 정보를 통해, "선원보감(璿源寶鑑)" 산도(山圖)의 제작과정에서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의 자료를 참고하였을 가능성을 밝혔고, (2) <사공공릉도(司空公陵圖)>에 사용된 범례(凡例)를 통해 <사공공릉도(司空公陵圖)> 제작자가 고지도(古地圖) 전문가일 가능성을 밝혔으며, (3) "선원보감(璿源寶鑑)" 산도(山圖)에 표기된 태조(太祖)의 4대조(代祖) 능에 표기된 위치정보(位置情報)의 내용을 "북도각릉전도형(北道各陵殿圖形)" 산도(山圖)의 내용과 비교분석하여 두 자료의 연관성과 또 다른 판본(版本)의 존재 가능성에 대해 논하였고, (4) 나경(羅經)의 발명과 발전이 지도(地圖)와 산도(山圖)의 정확한 표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과 이러한 방위 표기법이 고지도(古地圖)와 산도(山圖)에 각각 다르게 적용된 사례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5) 산도(山圖)의 대상지에 대한 자연환경을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물길과 도로가 "선원보감(璿源寶鑑)" 산도(山圖)에 각각 다르게 표현된 사례를 정리하였고, (6) 산도(山圖)의 표현에서 중요한 요소인 물(水)에 대한 표현을 중국(中國)의 풍수서(風水書)와 일부 다르게 표현하고 있음을 밝혀 조선시대 산도(山圖)가 기본적으로는 중국(中國) 풍수서(風水書)의 표현을 따르고 있지만 우리만의 독자적인 표현기법도 동시에 존재하였음을 살펴보았으며, 마지막으로 ⑦ 산도(山圖)에 표기된 풍수용어(風水用語)들을 분석하여 산도(山圖)가 자연 지형을 풍수지리(風水地理) 명당 공간으로 형상화한 그림지도임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