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종 동정

검색결과 2,312건 처리시간 0.053초

단감 잎을 가해하는 새로운 나방류 해충 3종 보고 (Three New Lepidopteran Insect Pests of Persimmon Leaf in Korea)

  • 김성연;김정민;장미연;장신애;박정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4권2호
    • /
    • pp.111-114
    • /
    • 2015
  • 경남 창원과 진주의 농약 무살포 및 유기농 단감원에서 단감 잎을 가해하는 해충을 조사한 결과 국내에서 단감 해충으로 기록되지 않은 3종을 채집 동정하였다. 동정된 종은 가을뒷노랑밤나방, 푸른빛집명나방, 감잎가는나방(신칭)이었다. 이들의 채집기록, 형태, 기주와 간단한 생태를 조사하여 보고한다.

한국 청주지역의 유곡변형충목 및 유곡사상근족충목에 대한 분류학적 연구 (원생동물아계 : 내질편모충문: 근족충상강) (A Taxonomic Study of Orders Arcellinida and Gromiida (Protozoa ; Sarcomastigophora ; Rhizopoda) from Ch'ongju Area, Korea)

  • 정완호;최진복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5권2호
    • /
    • pp.183-204
    • /
    • 1989
  • 1988년 9월부터 1989년 8월까지 청주지역에서 채집한 유각변형충 및 유각사상근족충류를 광학현미경 및 주사전자현미경을 사용하여 동정하고 이를 재기재하였다. 동정된 5과 19종 1변종 중에서 Arcella gibbosa Penard, A. polypora Rhumbler, Nebela tuberculata(Wallich), Difflugia acuminata var. inflata Penard, D.crassa Cash and Hopkinson, D.curvicaulis Penard, D.elegans Penard, D. lithophila Penard, Pontigulasia compressa(Carter), P. vas(Leidy), Eugly-pha scutigera Penard 등 12종 1변종은 한국에서 처음으로 기록되는 종들이다.

  • PDF

한국 및 뉴질랜드산 철선충류(유선형동물문, 철선충목, 철선충과) 2종의 표피 관상구조 (Tubular Structures on the Guticle of Two Gordius Species (Nematomprpha, Gordopodea, Gprdoodae_ from Korea and New Zealand)

  • Andreas Schmidt-Rhaesa;Alexandder Kieneke;Daniel Muschiol;Chung, Pyung-Rim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7권2호
    • /
    • pp.165-169
    • /
    • 2001
  • 저자들은 한국과 뉴질랜드에서 채집된 철선충(Gordius 속)의 표피상에 나타난 관상구조를 주사전자 현민경으로 관찰하였다. 한국산 철선충의 암컷 한 마리는 종을 동정할 수 없었으나 뉴질랜드산 철선충의 수컷 한 마리는 Gordius paranensis 로 동정되었다. 다른 뉴질랜드산 G. paranensis 수컷들에서는 표피상의 관상구조나 관상구조 저변의 소공들을 갖고 있지 않았다. 이로서 표피 관상구조는 종 특이성을 나타내는 구조물로는 속단하기 어려우나 그렇다고 이들은 조직과정 중의 오염물도 아니다. 이 관상구조물들은 충체의 샘조직의 산물로 여려지며 앞으로 이들의 내부구조등에 관한 연구가 있어야 할 것이다. 철선충 표피상의 관상구조물은 처음 보고되는 것이다.

  • PDF

백운산지역(白雲山地域)의 고등균류(高等菌類)(I) (Fungal Flora of Mt. Paekwoon(I))

  • 석순자;김양섭;이경준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3권4호
    • /
    • pp.556-562
    • /
    • 1994
  • 전남 백운산 지역의 버섯류 분포상을 조사하기 위하여 1991년 7월 버섯을 채집한 결과 총 137종을 분류동정하였으며, 이중 한국미기록 종인, 종이꽃 낙엽버섯 Marasmius pulcherripes Peck ; 광양주름버섯 Agaricus purpurellus(Moller) Moller ; 멍게먹물버섯 Coprinus echinosporus Buller ; 검은산그물버섯 Xerocomus nigromaculatus Hongo ; 석류밤그물버섯 Boletellus shichianus(Teng & Ling) Teng ; 꼬마무당버섯 Russula kansaiensis Hongo의 6종을 동정하였다. 백운산지역의 버섯류 분포상을 규명하기 위하여 앞으로 조사를 더하여 보완 후 버섯목록은 보고하고자 한다.

  • PDF

한국(韓國) 중부지방(中部地方)에 분포(分布)하는 목재부후성(木材腐朽性) 담자균류(擔子菌類) (The Flora of Wood Rotting Basidiomycetes in Middle Part of Korea)

  • 조수묵;서건식;신관철
    • 농업과학연구
    • /
    • 제20권1호
    • /
    • pp.43-47
    • /
    • 1993
  • 목재부후성 담자균류의 유전자원 수집을 위하여 우리나라 중남부 11개 지역에서 목재 부후성 담자균류의 발생상을 확인한 결과 24속 31종이 동정되었다. 종다양성은 지역별로 큰 차이가 없었으나 그 중 속리산 지역과 덕유산 지역이 종 다양성 지수가 높고 발생량도 타지역보다 많았다. 모든 지역에 광범위하게 분포하고 발생 빈도가 높은 우점종들은 Coriolus versicolor, Daedalea dickinsii, Daedaleopsis styracina, Lenzites betulina 그리고 Schizophyllum commune이다. 조사지역에서 자실체를 수집하여 분류동정하는 한편 인공분리 배양하여 31종 159점의 균주를 확보하였다. 분리배양한 균주는 Coriolus versicolor, Daedalea dickinsii 그리고 Lenzites betulina가 많았다.

  • PDF

국내 과실 탄저병을 일으키는 종 복합체와 종 다양성 및 살균제 감수성 (Colletotrichum Diversity within Different Species Complexes Associated with Fruit Anthracnose in South Korea and Their Fungicides In-Vitro Sensitivity)

  • 장태현;올리울하산;전종엽;김치현;이대민;김주성;강은찬;김재원
    • 식물병연구
    • /
    • 제29권4호
    • /
    • pp.345-362
    • /
    • 2023
  • 탄저병원균(Colletotrichum) 속의 많은 식물병원균은 한국을 비롯하여 전 세계 과수 생산에 큰 위협이 된다. 사과, 감, 자두, 복숭아, 대추, 포도 및 호두와 같은 과실에서 탄저병과 관련된 탄저병원균의 종이 동정되었다. 형태적, 다중 유전자의 계통발생적 및 병원성 시험이 다양한 접근으로 실시되었다. 동정된 탄저병원균의 종에 대한 감수성은 살균제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2종의 종복합체인 gloeosporioides와 acutatum에 속한 9종의 탄저병원균이 국내 과실에 탄저병의 주요 원인균으로 동정되었다.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종 복합체 안에는 6종인 C. aenigma, C. fructicola, C. gloeosporioides, C. horii, C. siamense 및 C. viniferum이 있는 반면, Colletotrichum acutatum 종 복합체 안에 종은 C. fioriniae, C. nymphaeae 및 C. orientalis이 동정되었다. 사과 탄저병원균은 C. fructicola, C. siamense, C. fioriniae 및 C. nymphaeae, 자두 탄저병원균은 C. siamense, C. fioriniae 및 C. nymphaeae, 복숭아 탄저병원균은 C. siamense, C. fructicola 및 C. fioriniae, 감 탄저병원균은 C. siamense, C. horii 및 C. nymphaeae, 오미자 탄저병원균은 C. fioriniae, 호두탄저병원균은 C. orientalis, 대추탄저병원균은 C. nymphaeae, 포도 탄저병원균인 C. aenigma, C. fructicola 및 C. siamense를 국내 과수류의 과실에 병을 일으키는 병원균의 종류로 처음 국제학술지에 보고되었다. 이들 병원균의 종에 대한 살균제의 감수성 시험에서 여러 살균제에 대한 탄저병원균의 종 간에 EC50값이 매우 다양하여 감수성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연속수증기증류법(SDE)과 동적헤드스페이스법(DHS)에 의한 참기름 중의 향기성분의 분석 (Analysis of Volatiles in Sesame Oil Collected by Simultaneous Distillation/Extraction(SDE) and Dynamic Headspace Sampling (DHS))

  • 하재호
    • 분석과학
    • /
    • 제9권4호
    • /
    • pp.399-405
    • /
    • 1996
  • 참기름 중의 향기성분을 연속수증기증류법(SDE)과 동적헤드스페이스법(DHS)으로 포집하여 GC와 GC-MSD로 동정하였다. SDE로 분석하였을 때 alcohol 6종, aldehyde 6종, ketone 및 acid류 5종, furan 및 phenol류 4종, pyrazine 화합물 12종, pyridine 및 thiazole류 4종, 기타 9종으로 총 46종이 확인되었다. DHS로 분석한 경우 alcohol 3종, aldehyde 6종, ketone, furan 및 phenol류 6종, pyrazine류 12종, pyridine 및 thiazole 4종, 기타 5종으로 모두 36종이 확인되었다. 대부분의 화합물이 SDE법에서 분리된 것이었으나 1-hexanol, pentanal, dimethylsulfide등은 DHS법에 의해서만 분리되었다.

  • PDF

식품검사에서 Lis-mix multiplex PCR 방법의 응용 및 Listeria ivanovii 특이적 검출 (Application of Multiplex PCR Using Lis-mix Primers in Food test and Specific Detection of Listeria ivanovii)

  • 한기호;이칠우;양옥순;이영순;임윤규;윤병수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251-257
    • /
    • 2001
  • Listeria monocytogenes와 L. ivanovii는 인간과 동물에 대한 식품 유래성 병원성 세균이다. Listeria 속에는 이들 병원균 외에 비병원성세균인 L. innocua, L, welshimeri, L. seeligeri, L.grayi 등 이 포함되어 있기에, 식품검사에서 배양법을 사용하는 종래의 Listeria의 검출방법은 시간과 많은 실험을 필요로 한다. 이런 이유 등으로 Literia의 종동정과 검출을 위한 신속한 검출법으로 Lis-mix multiplex PCR검출법 (Bubert et al., 1999)이 개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식품검사에 활용하기 위한 실용적인 Lis-mix multiplex PCR 방법을 개발하고, 아울러 새로운 Siw-mixIII PCR 검출법을 개발하였다. 이 방법을 사용하여 식품에서 분리된 총 69개의 Listeria 균주를 성공적으로 종동정할 수 있었으며, Siw-mixIII multiplex PCR방법을 사용하여 L. ivanovii, L.welshimeri, L.seeligeri를 한번의 PCR로 검출 및 종동정을 할 수 있었다.

  • PDF

식물생육촉진(植物生育促進) 세균(細菌) 분리(分離), 동정(同定)과 고추에 대한 처리효과(處理效果)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Plant-Growth-Promoting Bacteria and Their Effect on Growth of Red Pepper(Capsicum annuum L.))

  • 이영한;윤한대;하호성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67-73
    • /
    • 1996
  • 식물(植物) 생육촉진(生育促進) 유용미생물(有用微生物)을 지리산 일대의 침엽수와 활엽수 밑의 부엽토(腐葉土)에서 선발하고, 고추묘에 접종하여 묘의 생장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분리된 8종의 균주를 동정한 결과 Micrococcus sp., Bacillus subtilis, Enterobacter agglomerans, Bacillus megaterium, Pseudomonas putida, Pseudomonas fluorescens, Xanthomonas maltophilia, Staphylococcus xylosus등 8종의 균주가 동정되었다. 2. 8종의 혼합균주 처리구의 고추묘의 초장(草長)은 무처리구에 비해 처리 10일 이후, 엽수(葉數)는 44일 이후부터 생육이 크게 진전되었다.

  • PDF

전통 시금장 메주의 휘발성 향기성분 (The Flavor Components of Traditional Sigumjang Meju)

  • 최웅규;김영주;지원대;손동화;최동환;정민선;정영건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887-893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지역별로 수집한 시금장 메주와 보리 등겨의 향기성분을 조사하였다. 보리 등겨에서 분리 동정된 성분은 총 52가지이었다. 이 중 hexanal의 함량이 20.53 area %으로 가장 많았으며, butanoic acid>2-pentylfuran>hexanoic acid의 순으로 많았다. 12종의 시금장 메주에서 분리 동정된 성분은 총 66가지이었다. 함량은 2-furancarboxaldehyde와 1-(3-methoxyphenyl)-ethanone 및 tetramethylpyrazine이 동정된 다른 향기성분의 함량에 비해 월등히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보리등겨와 시금장 메주에서 공통적으로 검출된 성분은 22종이었으며, 이 중 butanoic acid, hexanal 및 2-pentylfuran은 보리등겨에서 그 함량이 훨씬 많았으며, 2-furancarboxaldehyde, 1-(3-methoxyphenyl)-ethanone 및 tetramethylpyrazine은 시금장 메주에서 그 함량이 훨씬 많았다. 보리등겨에서만 검출된 성분은 30종이었으며, 시금장 메주에서만 검출된 성분은 44종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