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종합평가

Search Result 4,503, Processing Time 0.045 seconds

An Study on Decision Tree Analysis with Imbalanced Data Set : A Case of Health Insurance Bill Audit in General Hospital (의사결정나무 분석에서 불균형 자료의 분석 연구 : 종합병원의 건강보험료 청구 심사 사례)

  • Heo Jun;Kim Jong-U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05a
    • /
    • pp.1667-1676
    • /
    • 2006
  • 다른 산업과 달리 병원/의료 산업에서는 건강 보험료 심사 평가라는 독특한 검증 과정이 필수적으로 있게 된다. 건강 보험료 심사 평가는 병원의 수익 문제 뿐 아니라 적정한 진료행위를 하는 병원이라는 이미지와도 맞물려 매우 중요한 분야이며, 특히 대형 종합병원일수록 이 부분에 많은 심사관련 인력들을 투입하여, 병원의 수익과 명예를 위해서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건강보험료 청구 심사 과정에서, 사전에 수많은 진료 청구 건 중 심사 평가에서 삭감이 될 수 있는 진료 청구 건을 데이터 마이닝을 통해서 발견하여, 사전의 대비를 철저히 하고자 하는 한 국내의 대형 종합병원의 사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데이터 마이닝을 적용함에 있어, 주요한 문제점 중의 하나는 바로 지도학습 기법을 적용하기에 곤란한 데이터 불균형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다. 이런 불균형 문제를 해소하고, 비교 조건 중에 가장 효율적인 삭감 예상 진료 건 탐지 모형을 만들어 내기 위하여 데이터 불균형 문제의 기본 해법인 과, Sampling 오분류 비용의 다양하고 혼합적인 적용을 통하여, 적합한 조건을 가지는 의사결정 나무 모형을 도출하였다.

  • PDF

Analyzing of Project Satisfaction and Intention of Participants about Public Management System Evaluation Indicators of Urban Redevelopment Projects (도시정비사업의 공공관리제도 평가요인에 대한 참여자의 사업만족과 참여의사 영향구조 분석)

  • Lee, Jeong-Jae;Kim, Gu-Hoi;Lee, Joo-Hyung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7 no.6
    • /
    • pp.418-428
    • /
    • 2016
  • The participants in an urban and housing redevelopment project were categorized as construction companies, government employees, and housing cooperatives. This study analyzed how a public management system affects the continuous participation intention using comprehensive project satisfaction. The specific factors for the evaluation items of a public management system were composed using advanced research. A hypothesis and research model was set up and verified using the PLS-SEM model to analyse how the continuous participation intention is affected by the public management system via comprehensive projects satisfaction. Setting the project plan and selecting the project tool, as well as post management and sustainability affect the comprehensive projects satisfaction meaningfully in the case of construction companies. The participation of the user, and post management and sustainability affect the comprehensive project satisfaction meaningfully in the case of government employees. The operating organization and using and participation of the user affect the comprehensive project satisfaction meaningfully in the case of a housing cooperative. The comprehensive project satisfaction affects the continuity of the participation meaningfully in the case of all of project participants.

Assessment of Green Spaces and Direction of Master Plan for Urban Parks Considering Functional Characteristics - Focused on Donjibong Park in Daegu - (도시공원의 기능적 특성을 고려한 녹지평가 및 계획방향 - 대구광역시 돈지봉공원을 대상으로 -)

  • LEE, Woo-Sung;JANG, Gab-Sue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20 no.2
    • /
    • pp.17-31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arry out a comprehensive assessment of Donjibong Park in Daegu and establish a master plan for green space considering the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park. For this purpose, green space in the park was assessed based on 13 indicators using three functions. A comprehensive green master plan was then proposed. Green spaces with high scores for the natural-ecological and environmental-control functions were found in the central area of the park, whereas green spaces with low scores were found near the park boundary and paved areas. Green spaces in the southeast were found to have a high score for usage functions due to their proximity to a residential area. In the master plan based on the comprehensive assessment, the plan space was divided into a conservation area, restoration area, buffer area, environmental monitoring area, observatory/trail/facility area, and waterside green space area. Also, concrete plan directions were proposed based on each plan space. These results can be utilized for establishing objective plans in the future construction of new parks.

A Study on Optimum Allocation and Risk Assessment of Recognition Devices Intended for the Mobility Handicapped in Terms of the Guardian Services (지킴이 서비스를 위한 교통약자 인식장치 적정배치 및 위험도 평가에 관한 연구)

  • Han, Woong-Gu;Kim, Hyun-Myung;Choi, Kee-Choo;Sohn, Sang-Hyun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11 no.2
    • /
    • pp.67-76
    • /
    • 2012
  • In this study, we established objective appraisal standard by applying newly made appraisal standard to those areas equipped with the protection system targeted to the Mobility handicapped announced in this edition (issue 5, volume 9(Oct., 2010)) beyond simple evaluation related to protector satisfaction. Additionally, we achieved efficient budget execution by conducting the preliminary estimation assessment regarding those areas on which recognition devices should be newly deployed. Through the assessment of the system coordination, the maximum safety distance is proved to be 72.2m. On the basis of this result, we applied dangerous grade to the deployment of recognition devices considering both psychological and accidental risk. With this, we proposed valuation basis to enable us to do future business. Based on this assessment standard, the degree of risk is proved to decrease by 35.2% compared to before conducting the demonstration project in terms of evaluation of comprehensive risk regarding intended areas. Additionally, we confirmed the fact that the degree of risk can decrease by 33.1% totally after having recognition devices built according to the deployment standard within budget. Furthermore, comprehensive risk can decrease up to 94% compared to the level of the demonstration project even though we spend 21.9% less of the existing budget. Hence, we can say that the deployment method of recognition devices related to the degree of risk is applied efficiently in the near future in terms of controlling comprehensive risk and cutting down budget through this study.

Application of Physical River Assessment System in Naeseongcheon (내성천에 대한 물리적 하천 평가시스템 적용)

  • Jung, Hye Ryeon;Kim, Ki H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563-567
    • /
    • 2015
  • 우리나라 하천관리의 패러다임은 1990년대 이후 기존의 치수 및 이수능력을 고려함과 동시에 하천환경의 보전 및 복원을 새로운 목표로 설정한 자연친화적 방식으로 변화되었다. 하천법령 및 제도적 측면에서도 수자원 장기종합계획 및 유역 종합 치수계획은 하천의 환경보전 및 다목적 이용계획을 포함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며, 국내 하천법에 따르면 하천기본계획 수립 또한 자연친화적 하천조성 및 이와 관련된 보전지구 지정 등을 포함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하천설계기준, 자연 친화적 하천관리에 관한 통합지침, 또는 수자원 장기종합계획에서 적용하고 있는 하천환경조사 및 평가지표는 서로 다를 뿐만 아니라 과학적인 근거가 명확하지 않는 등 국가차원의 표준화가 이루어지지 못한 상태라 할 수 있다. 1990년대 이후 미국, 독일, 영국, 호주 등 선진국들은 하천환경 복원사업의 추진과정에서 복원사업의 타당성 제고 및 성공적인 사업수행을 위하여 그들 국가의 하천특성에 적합한 하천환경 평가 체계를 구축한 바 있으며, 이들 평가체계는 새로운 과학적 지식과 기술의 축적에 힘입어 지속적으로 발전되고 있다. Fujita의 유형화(Segment 분류)법에 의하면, 하천구간(Segment)은 하상경사, 하상재료, 식생, 생태 등이 통계적으로 동질인 하천 구간으로서, 하도 특성과 하천생태계 공간을 구분하는 단위이다. 자연하천에서 동일한 경사를 갖는 하천구간은 하상재료, 소류력, 저수로 폭, 수심 등이 대체로 동일한 값을 나타내고 있으며, 하도 특성을 지배하는 주요 인자로 각 하천의 평균 연최대유량, 하상재료의 대표입경, 하상경사 등을 설정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구간을 유형화하는 기준을 하상경사로 적용하여 평가단위를 분류하였으며, 평가체계는 미국의 USEPA를 한국형 하천환경에 맞도록 수정보완 하였다. 특히 미국의 USEPA의 지표 중 하안영역의 식생피복, 하반림 등은 생물분야 식생영역과 상충되어 제외하고 우리나라 특성에 적합한 하천횡단형상, 하천횡단 구조물 등의 평가기준을 재정립하여 내성천에 평가적용 분석하였다. 하천환경의 수리 및 하도 특성 평가기준 개발에 따라 평가체계의 개념적 틀을 토대로 통합적이고 표준화된 한국형 하천평가기준 개발을 위한 방법론을 정립하고, 나아가 하천환경의 지속가능성을 전제로 한 하천복원사업의 장 단기적 성공 여부를 평가할 수 있는 실무지침의 과학적 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 PDF

Real-Time Power Quality Evaluation by using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를 이용한 실시간 전력품질 평가기법)

  • Lee, Buhm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17 no.1
    • /
    • pp.85-90
    • /
    • 2022
  • This study presents a Real-Time Power Quality(:PQ) Evaluation methodology that reflects customer's load characteristics. Author determined PQ as [Ideal], [Measured], [Acceptable], and evaluated measured PQ between Ideal and Acceptable by using Ideal AHP. Author determined Load as Resistance, Electric Motor, and Electronics, and evaluated PQ reflect Load characteristics. As future studies, author has plan to study 1:1 matrix and overall PQ evaluation including year-based PQ.

A Study on the Evaluation Method of Close-to-Nature Stream Improvement Works (자연 친화적인 하천 정비사업의 평가방법에 관한 연구)

  • Kim, Seok-Gyu;Kim, Chul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0 no.7
    • /
    • pp.503-510
    • /
    • 2007
  • In the area of such a nature-friendly stream improvement, it is not established yet which engineering method is suitable for stream environment, due to lack of technology. Therefore, although nature-friendly stream improvement was done with expensive engineering method, the effect has not been fully confirmed, which results from the absence of overall valuation tool of stream improvement. In this regar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apply comprehensive and diverse valuation methods covering stream functions to the analysis of stream improvement. In this study, we collected data from years' of monitoring on the Gyeongcheon river, which is located in Sunchang-eup, Jeollabuk-do and recently underwent an nature-friendly stream improvement work. Based on the data, we developed a series of valuation methods such as stream naturalness evaluation, life cycle evaluation, amenity evaluation, and economic benefit analysis to consider the environmental function of stream from a comprehensive perspective. Stream naturalness evaluation is a quantitative analysis of how natural a stream is, and includes additional valuation items such as ecosystem and water quality for the purpose of overall valuation, unlike existing research focusing on physical elements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a stream. We developed a method of stream valuation with life cycle assessment to river reorganization project. Amenity evaluation method was developed as a means to analyze residents' satisfaction with stream improvement through questionnaires. Economic benefit analysis was developed as a means to determine the attributes of environmental water supply, ecosystem, river maintenance, and water quality and predict economic benefits using contingent valuation method (CVM) and multi-attribute utility analysis (MAUA) method in order to analyze economic benefits brought in by stream improvement. It is considered that the four methods developed in this study make possible to conduct an overall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stream improvement.

Estim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Basic Engineering Design Education Through Student Survey (학생 설문을 통한 기초설계 교육효과 평가)

  • Won, Yun-jae
    • Journal of Practical Engineering Education
    • /
    • v.11 no.2
    • /
    • pp.159-165
    • /
    • 2019
  • Engineering design education has been established and implemented as three stages of basic design, element design, and capstone design with the introduction of engineering education accreditation system. In the basic design, the concept and procedure of design is introduced to the beginners of engineering, and the creativity and teamwork is practiced rather than mathematical detailed design for the purpose of being connected to and used effectively in the capstone design. In this study, the opinions of the students performing capstone design after taking basic design were surveyed through questionnaire. Overall, students recognize the importance of basic design education and experienced that it is useful. The results indicate that effective basic engineering design education is being carried out, and are considerably agree to those at the professors in the former survey.

Study on Development of River Synthesis Management Index (유역종합관리지표 선정 및 타당성 검증)

  • Baeck, Seung-Hyub;Choi, Si-Jung;Lee, Dong-Ryul;Hong, Seung-Jin;Seo, Jae-S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735-735
    • /
    • 2012
  • 국내 및 세계적으로 중앙정부 관점에서 수자원관련 현황을 평가하거나 취약성을 파악하는 등 관련 적응 정책 수립, 부문별 정책 수립의 우선순위 결정과 평가를 위하여 지수(Index)와 지표(Indicator)를 개발하고 사용하고 있다. 수자원관련 지수의 개발은 이수, 치수 및 하천환경 분야의 지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그 중 치수관련 지수는 국내 외에서 많은 연구 결과가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지표 및 지수의 구성체계는 크게 두 가지로 분류가 되며 하나는 인과관계 접근방식으로 측정하고자 하는 현상, 결과를 나타나게 하는 요인, 이러한 현상을 완화 또는 강화하기 위한 노력 간의 상관성을 파악하여 지표를 도출하고, 다른 하나는 주제 접근방식으로 파악하고자 하는 현상을 크게 분야별로 구분한 후 분야별 정책목표에 따라 하위 분야로 세분화하고 이에 따른 관련지표를 선정한다. 최근에는 주제 접근방식의 지표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자원통합관리를 위하여 행정구역 및 유역의 다양한 대리변수를 조사, 분석하여 1990년부터 2007년까지의 시군구 및 국가표준지도인 수자원단위지도의 812개의 표준유역별 DB를 구축하였고, 물이용취약성지수 홍수취약성지수 하천환경취약성지수 및 유역종합관리지수를 개발하여 평가하는 유역종합관리지표를 개발하였다. 각 분야별 취약성 지수는 다양한 대리변수들을 통계분석을 통하여 잠재지표를 선정하였으며, 잠재지표들 간의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서로 유사한 변수들끼리 묶어주는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주제별 세부지표를 선정하였다. 지표 산정에 있어 표준화방법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Z-score 방법을 사용하였고 가중치부여 방법은 동일가중치를 이용하였으며 최종적인 집계과정은 누적합산방법으로 지수를 산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유역종합관리지표의 타당성조사를 위하여 2008년 강원도 지역의 이수 및 치수관련 자료를 구축하여 피해이력을 제외한 유역종합관리지수를 산정하여 제한급수 및 홍수 피해이력이 발생한 유역과 비교 분석하여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지표는 유역관련 현황 파악 및 취약성 분석을 통하여 향후 분야별 관련 정책 및 대책 수립에서 보다 효과적인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Clinical Assessment of Efficacy, Safety and Usefulness of Traditional Herbal Medicine (THM) on Atopic Dermatitis (아토피 피부염에 대한 한약치료의 효과, 안정성 및 유용성에 대한 임상 평가)

  • Koh, Duck-Jae;You, Han-Jung;Lee, Jin-Yong;Kim, Deog-Gon
    • The Journal of Pediatrics of Korean Medicine
    • /
    • v.20 no.2
    • /
    • pp.129-137
    • /
    • 2006
  • 목적 : 본 연구를 통하여 아토피 피부염 환아의 한약치료 후 임상 효능, 안전성을 평가하고, 나아가 효능과 안전성을 종합적으로 평가함으로써 아토피 피부염에 대한 한약치료의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방법 :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부속한방병원 한방소아과에 내원한 아토피 피부염 환아 39명의 한약치료 전후의 의무기록을 검토하였다. 아토피피부염 치료에 대한 한약의 효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치료 후 아토피 피부염의 개선정도에 대한 부모의 평가를 VAS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아토피 피부염에 패한 한약치료 후 안정성의 평가를 위하여 치료 전후 혈중 AST, ALT, BUN, creatinine 변화를 검토하여 한약치료의 간신독성 여부에 대해 조사하였고, 보호자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한약치료 후 발생한 부작용 및 불편한 증상의 종류 및 정도를 평가하였다. 나아가 한약의 효능 및 안정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아토피 피부염에 대한 한약 치료의 유용성을 분석하였다. 결과 및 결론 : 환아 39명 중 27명 (69%)의 부모가 한약치료가 아토피 피부염의 개선에 효과가 있다고 보고하였다. 안정성의 평가에 있어서, 39명의 환자에게서 한약 치료 후 간장과 신장에 미치는 독성이 발견되지 않았다. 2명의 환아가 일시적이고 경미한 복부 불쾌감을 호소하였으나, 한약투여와의 관련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1명의 환아에서 경미한 복통이 발견되었으나, 의학적 치료 없이 증상은 소실되었으며, 치료 과정의 중단 없이 계획되었던 모든 치료 과정을 종료하였다. 치료 후 상기 환아는 아토피 피부염의 증상 개선 뿐 아니라 변비증상의 완화, 만성적 어지러움의 개선 등 제반 신체 조건의 호전을 보고 하였다. 임상적 효능과 안전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환아 39명 중 27명 (69%)의 사례에서 한약치료가 아토피 피부염의 유용한 치료수단으로 평가되었다. 이를 근거로 한약치료가 아토피 피부염에 대하여 안전성을 가진 유용한 치료방법이라 사료되며, 향후 임상적 효능과 안전성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대규모의 임상연구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