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nce the introduction of AEO certification in South Korea in 2008, 516 areas have been AEO certified based on a report dated December 31st, 2013. The number is expected to increase drastically as more and more companies strive to obtain the AEO certification. In this regards, this study is designed to contribute to the further invigoration of the AEO certification system as well as to propose directions to improve companies' performance in a practical point of view. To do so, the writer reviewed the past studies done in the relevant subjects in order to 1) grasp the principal subject, 2) catch the areas with insufficient information/lacking points, and to 3) get a focus on future directions on how additional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An analysis of the past studies proved that prior to the introduction of the AEO certification, the focus of the studies were to present the reasons as to why AEO should be introduced, the benefits of AEO, and a comparative analysis of countries already in wide usage of the AEO system. Studies done after the introduction of AEO (that is, after 2008) focused mainly on invigorating the system into the market. Compared to the previous studies, this study will present a distinct conclusion by breaking down the major points of each study on a year-by-year basis and studying them in total in order to provide an even more practical direction in the future of AEO in South Korea.
This study aims at improving Korea's competitiveness in port logistics through marketing strategy with integrating the conceptual approach into the empirical one and combining both the oldest military treatise and the newest evaluating model in social science that was applied by the HFP(hierarchical fuzzy process) model enhanced by the KJ method. The empirical results of this study show Busan in the middle among subject ports. At present, Korea plays a reciprocal role in the port market in East Asia, but in the medium- and long-term, Korea's ports will vie together with most major ports in the East Asian region. A descriptive investigation shows that Korea's developing tasks in port logistics must be considered in the context of the direction for developing port policies, the necessity of expanding port facilities in the capital region, securing the sufficient traffic volume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the hinterland linking system and its positive utilization, and reforming the direction for developing the global logistics through increased port competitiveness. In the short- and medium-term, Korea must use the opportunity factor of 'Growth and open door policy of China' as a geoeconomic advantage and to utilize Korea's ports as a gate to Chinese foreign trade. With the rise of China's economy, China also plays a significant role in both port and airport markets. Hence, the linking system between the two must be established to meet the expanding traffic volume, especially in the capital area. Moreover, it is necessary for Korea to secure port logistics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the hinterland linking system and its positive utilization. The great accomplishment of this paper is to present strategies to increase Korea's port competitiveness in the rapidly changing environments of world logistics with the focus on both the oldest military strategic treatise and the newest empirical method in social science. In order to reinforce this study, it needs further compensative research because the evaluation structure could be subdivided with more extensive and precise criteria.
The industry trends of major global shipping and ports in the world are changing rapidly because of the spread of COVID-19, resulting in the reorganization of GVCs by global companies, and strengthening of environmental regulations by IMO. Based on these environmental changes, Busan Port was ranked 5th in the global container port rankings in 2013. However, since the outbreak of COVID-19, Busan Port's global container port ranking in 2020 fell to 7th, behind Qingdao Port. In the post-Corona era, for Busan Port to compete with global container ports and gain a competitive edge in the port, it is necessary to accurately identify the competitive factors of Busan Port and establish a comprehensive policy.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how the competitive factors of Busan Port have changed in the selection of ports by current global shipping companies, compared to the first study conducted in 2005. Additionally, a comprehensive policy plan was established by identifying factors impacting the frequency of future calls as well as the growth potential of Busan Port, through a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call preference and growth potential of Busan Port in the post-Corona era are most affected by 'port facilities'. And it was found that the calls frequency in the future is most impacted by 'the geopolitical location' factor.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
v.37
no.2
/
pp.35-48
/
2021
Modern cities are changing to 'smart cities' dramatically with the introduction and developmen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ies. Among these technologies blockchain is unique because it not only embraces technological innovation but also societal revolution. Therefore, blockchain is expected to play a pivotal role for contributing comprehensive development of smart city. The current research and policy atmosphere in Korea, however, is that blockchain is just a new technology and its broader impacts are overlooked. This study argues that blockchain has significant effects on smart cities not only from technological perspectives but also from social, economic, institutional, governmental perspectives. Further, this study suggests three categories that blockchain can help the development of smart city: technology, socio-economic, and governance, with examples of existing blockchin projects. However, these projects have been builting separately without any interaction under the common hood of 'smart city'. To emhance influences of blockchain on smart cities in positive ways, private companies, policy maker, and citizend are supposed to consider and discuss about publi sector's blockchain that is commonly used in at the smart city level.
This study is intended to examine how strategic nature of the alliaTnce, characteristics of input resource, communication activities will affect the strategic partnership(trust/commitment) and performance in the strategic alliance between internet shopping mall and the third party logistics. The variables affecting the partnership(trust/commitment) between internet shopping mall and the third party logistics produced the result to prove what I intend to suggest in this study, in verifying four hypotheses such as strategic importance, complementation of resource, quality of communication, share of information. It was found that the partnership have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s on the performance of strategic alliance. As most of the domestic Internet shopping malls employ the third party logistics strategically, the implication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ing: First, this study attempts to find out factors influencing partnership(trust/commitment) and the performance of strategic alliances. Second, the results that strategic partnership can build up based on the long term thrust and commitment implies operation and management are important during operation of strategic alliance. Third, this study provides the model of determinants of partnership and performance in the strategic alliance for logistics services which is one of the factors consumers in the Internet shopping mall are most sensitively response to, and quantifies the model through the empirical analysis.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대중교통 통행배정모형이 고려하지 않거나 미흡하게 반영하였던 차량과 노선의 용량제약을 고려한 모형의 구축을 시도하였다. 일반적으로 대중교통 통행배정에서 수요와 공급의 관계는 수요가 증가하는 것과 무관하다고 받아들여지고 있으나 용량 초과는 통행자들의 경로선택 및 수단선택에 영향을 끼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용량초과에 의한 혼잡을 반영하기 위해 용량제약식을 포함한 모형을 개발하고 실용운행회수라는 개념을 도입하였다. 또한 기존에 제시된 용량제약을 고려한 모형들이 실제적인 현상을 정확히 모사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을 뿐 만 아니라 현실과 다소 거리가 있는 가정이 내재되어 있는 반면 본 연구에서는 가능한 한 최대로 현실 여건을 반영하는 모형을 정립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모형은 동일한 기종점 사이를 운행하는 경쟁노선이 많은 대도시에서 통근·통학을 위한 통행자들이 많은 오전, 오후 첨두시 대중교통 수요를 분석하여 대중교통의 운행관리체계 개선 및 투자계획, 서비스 개선을 위한 수요예측을 하는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그리고 기존의 대중교통 통행배정의 결과가 현재나 장래의 잠재적인 수요(demand)를 예측하는 방법인데 반하여 본 연구에서 정립된 모형은 주어진 네트워크에서 실제로 통행하고 있는 수요(flow)를 예측함으로써 교통 계획가나 대중교통 운영자의 계획 및 운영정책수립에 합리적인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현재의 대중교통 시스템 하에서의 통행배정 뿐만 아니라 다른 형태의 용량과 운행특성을 가진 교통 수단이나 노선이 도입되었을 때 공급이 제한적인 경우의 수요 예측에 적합한 모형을 개발하였다.에 대한 규제가 초국가적 차원으로 발전되는 계기를 제공하고 있다. 향후, 담배규제협약안의 세부사안들에 대한 합의과정에서 각 국별로 상당한 이견과 반발이 예상되고 있지만, 협약안의 전체 회원국 투표에서 승인될 경우 각 국가들뿐만 아니라 담배산업과 담배기업들에게 미치는 파급효과가 매우 클 것으로 예상된다. 대부분의 국제협약들이 그러하듯이, 담배규제협약도 그 적용 범위와 수준이 어느 정도로 결정되는지에 따라 각 국가와 기업별 이해관계가 크게 달라지게 되기 때문에 신중한 대응전략이 요구된다고 하겠다.의 화물전용차선의 설치시는 수답렬 교통량의 구성비와 구간 평균교통량에 의하여 그 효과가 다르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물류비용 절감차원에서의 화물전용차선의 설치는 본 연구에서 나타낸 방법과 같이 수단간의 경제적 편익을 고려한 구간별 시간대별 효과분석을 통하여 정책의 시행여부가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화물전용차선의 설치로 인한 물류비용의 절감을 보다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는 종합류류 전산망의 시급한 구축과 함께 화물차의 적재율을 높이고 공차율을 낮출 수 있는 운송체계의 수립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라나 이러한 화물전용차선의 효과는 단기적인 치유책일 수밖에 없기 때문에 물류유통 시설의 확충을 위한 사회간접자본의 구축을 서둘러 시행하여야 할 것이다.으로 처리한 Machine oil, Phenthoate EC 및 Trichlorfon WP는 비교적 약효가 낮았다.>$^{\circ}$E/$\leq$30$^{\circ}$NW 단열군이 연구지역 내에서 지하수 유동성이 가장 높은 단열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tilize the system dynamics to carry out a medium and long-term forecasting analysis of the bunker price. In order to secure accurate bunker price forecast, a quantitative analysis was established based on the casual loop diagram between various variables that affects bunker price. Based on various configuration variables such as crude oil price which affects crude oil consumption & production, GDP and exchange rate which influences economic changes and freight rate which is decided by supply and demand in shipping and logistic market were used in accordance with System Dynamics to forecast bunker price and then objectivity was verified through MAPEs.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bunker price is expected to rise until 2029 compared to 2016 but it will not be near the surge sighted in 2012. This study holds value in two ways. First, it supports shipping companies to efficiently manage its fleet, offering comprehensive bunker price risk management by presenting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various variables affecting bunker price. Second, rational result derived from bunker price forecast by utilizing dynamic casual loop between various variables.
Kim, Hun-Cheol;Chang, Seok;Yang, Seung-Il;Kang, Chang-Gu;Koh, Chang-Du
Bulletin of the Society of Naval Architects of Korea
/
v.32
no.4
/
pp.37-39
/
1995
가스터빈, 워터제트 등 기존의 추진시스템을 이용한 초고속선의 핵심기술 등을 종합하여 중형 화물선은 일본 TSL 수준에 도달시키고 중간목표로 설정한 선박의 실용화를 단계적으로 추진 하며, 선형기술, 선체 구조기술, 추진시스템기술, 원자력 안전기술, 해상 교통관제기술 등 이에 필요한 기술을 개발한다. 이들 기술은 21세기에 걸맞는 최첨단 기술이 될 것이다. 선박개발과 병행하여 초고속 선박의 운항과 조화를 이루는 고속 하역설비를 갖춘 항만시설의 개발도 함께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초고속 해상 물류체계의 구축을 위해서는 수송 수단인 선박뿐만 아니라 항만, 하역시스템의 고속 현대화가 필요하다. 그러므로 초고속 선박과 접안, 하역이 가능한 전 용항만의 설계와 개발을 위해서는 이에 관련된 국내의 공공연구기관들과 SOC 관련 엔지니어 링사, 조선사 등 민간기업의 참여로 추진해야할 것이다. 또한 원자력 추진선 개발을 위해서는 선박용 원자로 및 연료기술이 필요하므로 원자력영구소와 미국의 참여로 공동개발하며, 상대국 에도 전용 항구가 필요하므로 해당국가간의 협약에 의해 하역장비, 운한 안전기술 등을 개발하고 건설하는 등 국제 컨소시엄의 구성이 바람직하다. 다만 기술개발의 성공과 핵심기술의 확보를 위하여 우리나라가 Initiative를 장악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2023.05a
/
pp.452-452
/
2023
1970년대 이후 중화학공업을 중심으로 산업이 발전하면서, 위험한 기계·기구를 사용하게 되었다. 더 나아가 각 산업마다 새로운 공법을 채용하면서 산업재해가 과거에 비해 더 빈번하게 나타나고, 그 피해 역시 과거에 비해 매우 광범위하게 나타났다. 특히, 유해물질을 대량으로 사용하는 산업이 다양해지고, 작업환경 역시 각 산업에 따라 다른 모습을 보이자 이에 따른 직업병의 발생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였다. 이러한 위험은 직접적으로 근로자의 생명과 건강을 해칠 뿐 아니라 사용자에게도 경제적 피해를 주게 되었다. 이러한 위험에 효율적으로 대처하기 위하여 적극적·종합적인 산업안전보건관리가 필요하게 되어 산업안전보건법이 제정되었다. 하지만 산업안전보건법이 제정된 이후에도 같은 사고가 재발하고 현장관리의 소홀, 노동환경 개선 등이 이루어지지 않으며 비슷한 사망사고가 재발하였다. 이러한 산업재해사고를 막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강구하여 왔지만 큰 실효를 보지 못하자 실질적인 효과를 보기 위해 영국의 '기업살인법'을 참고하여 사업주, 경영주, 경영책임자에게 직접적인 책임을 묻고 중대재해 예방과 일하는 사람과 시민의 생명·신체를 보호함에 있음을 분명히 하기 위해 중대재해처벌법이 제정되었다. 이러한 법률이 제정됨에 따라 재해 및 안전에 관한 관심이 전국민적으로 증가하게 되었고 과거보다 많은 관심을 받게 되었다. 그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최근 10년간에 발생한 산업, 중대재해 등에 대하여 발생 사고, 발생 원인, 발생 기간에 따라 정리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산업, 중대재해 등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critically examines the role performance of local distributors within the Stimulus-Organism-Response (SOR) model, while also considering the moderating influence of market competition on the organism (O) and response (R) elements. Adopting a holistic approach, the SOR model provides a comprehensive framework for analyzing how external stimuli, including distributive, procedural, and interaction unfairness, interact with internal psychological processes, such as perceived unfairness, to shape the long-term orientation of importing agents. Moreover, this study acknowledges the pivotal role of market competition in the operational context of local distributors. It posits that competitive market dynamics play a crucial role in intens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behavioral factors and the long-term orientation of distributors, thereby revealing contingent effects within the SOR model. Through the exploration of these dynamics, this study contributes to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interplay among external stimuli, internal psychological processes, and market competition within the SOR framework, advancing our knowledge in this field.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04년 10월 1일]
이용약관
제 1 장 총칙
제 1 조 (목적)
이 이용약관은 KoreaScience 홈페이지(이하 “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이하 '서비스')의 가입조건 및 이용에 관한 제반 사항과 기타 필요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규정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제 2 조 (용어의 정의)
① "이용자"라 함은 당 사이트에 접속하여 이 약관에 따라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받는 회원 및 비회원을
말합니다.
② "회원"이라 함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당 사이트에 개인정보를 제공하여 아이디(ID)와 비밀번호를 부여
받은 자를 말합니다.
③ "회원 아이디(ID)"라 함은 회원의 식별 및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자신이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④ "비밀번호(패스워드)"라 함은 회원이 자신의 비밀보호를 위하여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제 3 조 (이용약관의 효력 및 변경)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에 게시하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회원에게 공지함으로써 효력이 발생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이 약관을 개정할 경우에 적용일자 및 개정사유를 명시하여 현행 약관과 함께 당 사이트의
초기화면에 그 적용일자 7일 이전부터 적용일자 전일까지 공지합니다. 다만, 회원에게 불리하게 약관내용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최소한 30일 이상의 사전 유예기간을 두고 공지합니다. 이 경우 당 사이트는 개정 전
내용과 개정 후 내용을 명확하게 비교하여 이용자가 알기 쉽도록 표시합니다.
제 4 조(약관 외 준칙)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관한 이용안내와 함께 적용됩니다.
②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아니한 사항은 관계법령의 규정이 적용됩니다.
제 2 장 이용계약의 체결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등)
① 이용계약은 이용고객이 당 사이트가 정한 약관에 「동의합니다」를 선택하고, 당 사이트가 정한
온라인신청양식을 작성하여 서비스 이용을 신청한 후, 당 사이트가 이를 승낙함으로써 성립합니다.
② 제1항의 승낙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과학기술정보검색, 맞춤정보, 서지정보 등 다른 서비스의 이용승낙을
포함합니다.
제 6 조 (회원가입)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은 당 사이트에서 정한 회원가입양식에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가입을 하여야 합니다.
제 7 조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
당 사이트는 관계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회원 등록정보를 포함한 회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회원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에 대해서는 관련법령 및 당 사이트의 개인정보 보호정책이 적용됩니다.
제 8 조 (이용 신청의 승낙과 제한)
① 당 사이트는 제6조의 규정에 의한 이용신청고객에 대하여 서비스 이용을 승낙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아래사항에 해당하는 경우에 대해서 승낙하지 아니 합니다.
-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한 경우
- 기타 규정한 제반사항을 위반하며 신청하는 경우
제 9 조 (회원 ID 부여 및 변경 등)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에 대하여 약관에 정하는 바에 따라 자신이 선정한 회원 ID를 부여합니다.
② 회원 ID는 원칙적으로 변경이 불가하며 부득이한 사유로 인하여 변경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ID를
해지하고 재가입해야 합니다.
③ 기타 회원 개인정보 관리 및 변경 등에 관한 사항은 서비스별 안내에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제 3 장 계약 당사자의 의무
제 10 조 (KISTI의 의무)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이 희망한 서비스 제공 개시일에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보안시스템을 구축하며 개인정보 보호정책을 공시하고 준수합니다.
③ 당 사이트는 회원으로부터 제기되는 의견이나 불만이 정당하다고 객관적으로 인정될 경우에는 적절한 절차를
거쳐 즉시 처리하여야 합니다. 다만, 즉시 처리가 곤란한 경우는 회원에게 그 사유와 처리일정을 통보하여야
합니다.
제 11 조 (회원의 의무)
① 이용자는 회원가입 신청 또는 회원정보 변경 시 실명으로 모든 사항을 사실에 근거하여 작성하여야 하며,
허위 또는 타인의 정보를 등록할 경우 일체의 권리를 주장할 수 없습니다.
② 당 사이트가 관계법령 및 개인정보 보호정책에 의거하여 그 책임을 지는 경우를 제외하고 회원에게 부여된
ID의 비밀번호 관리소홀, 부정사용에 의하여 발생하는 모든 결과에 대한 책임은 회원에게 있습니다.
③ 회원은 당 사이트 및 제 3자의 지적 재산권을 침해해서는 안 됩니다.
제 4 장 서비스의 이용
제 12 조 (서비스 이용 시간)
① 서비스 이용은 당 사이트의 업무상 또는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 운영을
원칙으로 합니다. 단, 당 사이트는 시스템 정기점검, 증설 및 교체를 위해 당 사이트가 정한 날이나 시간에
서비스를 일시 중단할 수 있으며, 예정되어 있는 작업으로 인한 서비스 일시중단은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에 공지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서비스를 특정범위로 분할하여 각 범위별로 이용가능시간을 별도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 그 내용을 공지합니다.
제 13 조 (홈페이지 저작권)
① NDSL에서 제공하는 모든 저작물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으며, KISTI는 복제/배포/전송권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②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복제/배포/전송할 경우 사전에 KISTI의 허락을
받아야 합니다.
③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보도, 비평, 교육, 연구 등을 위하여 정당한 범위 안에서 공정한 관행에
합치되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④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무단 복제, 전송, 배포 기타 저작권법에 위반되는 방법으로 이용할 경우
저작권법 제136조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제 14 조 (유료서비스)
① 당 사이트 및 협력기관이 정한 유료서비스(원문복사 등)는 별도로 정해진 바에 따르며, 변경사항은 시행 전에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하여 회원에게 공지합니다.
② 유료서비스를 이용하려는 회원은 정해진 요금체계에 따라 요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제 5 장 계약 해지 및 이용 제한
제 15 조 (계약 해지)
회원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가입해지] 메뉴를 이용해 직접 해지해야 합니다.
제 16 조 (서비스 이용제한)
① 당 사이트는 회원이 서비스 이용내용에 있어서 본 약관 제 11조 내용을 위반하거나,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2년 이상 서비스를 이용한 적이 없는 경우
- 기타 정상적인 서비스 운영에 방해가 될 경우
② 상기 이용제한 규정에 따라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에게 서비스 이용에 대하여 별도 공지 없이 서비스 이용의
일시정지, 이용계약 해지 할 수 있습니다.
제 17 조 (전자우편주소 수집 금지)
회원은 전자우편주소 추출기 등을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 또는 제3자에게 제공할 수 없습니다.
제 6 장 손해배상 및 기타사항
제 18 조 (손해배상)
당 사이트는 무료로 제공되는 서비스와 관련하여 회원에게 어떠한 손해가 발생하더라도 당 사이트가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손해발생을 제외하고는 이에 대하여 책임을 부담하지 아니합니다.
제 19 조 (관할 법원)
서비스 이용으로 발생한 분쟁에 대해 소송이 제기되는 경우 민사 소송법상의 관할 법원에 제기합니다.
[부 칙]
1. (시행일) 이 약관은 2016년 9월 5일부터 적용되며, 종전 약관은 본 약관으로 대체되며, 개정된 약관의 적용일 이전 가입자도 개정된 약관의 적용을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