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종합관리계획

Search Result 638,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Study on establishing Green Port Policy in Korea to meet Ports' Characteristics: Development of Ulsan Green Port Policy by using AHP (우리나라 항만특성에 맞는 그린포트정책 수립에 관한 연구 - AHP를 이용한 울산항 그린포트 정책 우선순위 개발)

  • Kim, Tae-Goun;Kim, Hwan-Seong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38 no.5
    • /
    • pp.549-559
    • /
    • 2014
  • The increasing demand of maritime transportation and port development especially due to increased international trade resulted in a strengthening of regulating the greenhouse gas emissions mainly from ships by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IMO). Responding to these international environmental regulation and enforcement, the United States and the European seaports have expanded their Green Port Policy, which can promote the public welfare by reducing pollution caused by ships and ports. Accordingly, in 2010, Korean government enacted "The Framework Act on Low Carbon, Green Growth" and had pushed for all Korean ports to establish and implement their own green port policies. Therefor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Green Port Policy Plan for sustainable and environmental friendly operations and developments of Ulsan port, which plans to be the oil hub port of Northeast Asia. To this end, we studied the current status of the environmental policy issues in Ulsan Port and international-&-domestic case studies on establishment of green port policy. With these studies, Ulsan green policy alternatives were identified that through the experts advice, and then were prioritized by adopting AHP survey analysis. As the result of this study, it was notified that LED lights replacement and AMP establishment as the hardware policy and the port environmental management department as the software policy were equally important policy options for the implementation of sustainable Ulsan Green Port Policy to meet port's characteristics.

A Study on Improving Estimation of Recurrence Rate of Public Water -Jungnangcheon Watershed- (생활용수 회귀수량 산정방법의 개선연구 -중랑천 유역을 대상으로-)

  • Jung, Chung Gil;Ahn, So Ra;Joh, Hyung Kyung;Kim, Seong 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509-509
    • /
    • 2015
  • 물 수요관리측면에 대한 정책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현재 또는 장래에 대한 용수수급의 정확한 이해를 필요로 한다. 이를 위해서는 용수 수요량 및 공급량뿐만 아니라 여러 산정요소를 필요로 하는데, 그 중 회귀수량은 물이 이용되고 다시 하천으로 회귀되어 이용될 가능성이 있는 수량으로 정의되며, 용수수급 및 용수절약 측면에서 회귀 수량은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 회귀수량 조사는 유역조사 사업 이래, 10년간 생?공용수를 중심으로 미시적, 거시적으로 조사를 시행하였으나, 측정 자료의 신뢰도, 조사방법 및 지점선정 등의 문제로 인하여 조사 성과의 활용성이 매우 낮은 실정이다. 수자원장기종합계획등에서는 수자원관련 계획 수립시 생?공용수의 회귀율을 65 %로 적용하고 있으나, 이는 1970년대 말의 사회적 여건 및 경제적 상황이 반연된 결과로 현재 상황에 적용되기 곤란하다. 따라서, 현재 실정에 맞는 회귀율 산정은 반드시 필요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생활용수 회귀수량 산정 연구 한계를 보완하고 유역조사 시행을 위한 개선된 회귀수량을 산정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서울시 중랑물재생센터 처리구역을 기반으로 중랑천유역을 시험유역으로 선정하였다. 기존 회귀수량 산정방법을 개선하기 위해 시험유역 회귀수량 산정을 위한 가용 자료 분석 및 용수흐름 네트워크 공간분석을 추가로 진행하였다. 가용자료로 시험 유역내 상수공급자료(정수장 공급량, 상수계통도, 유수 및 누수율), 하수처리자료(하수처리구역도, 하수처리계통도, 유입량 및 방류량) 및 기상자료(기상청 지점 및 AWS 강우자료)를 구축하였고 각각의 상수계통도 및 하수처리계통도로부터 용수 흐름 네트워크망을 구축하였다. 상수공급자료로부터 상수계통도 공급지역을 구분하여 월별 유수율에 따른 월별 실 공급량을 산정하였다. 하수처리자료로부터 시험유역에서의 월별하수처리 유입량 및 방류량을 산정하였다. 최종적으로 회귀율(하수처리 방류량/실 공급량)을 산정한 결과 연평균 회귀율은 각각 93.97 %(2011년), 95.02%(2012년)로 과잉 추정 되었으며 7 ~ 9월의 회귀율은 110 ~ 120 %로 유입량을 초과하였다. 이는, 하수처리로 유입되는 유입량의 하수관거는 합류식으로 구축되어 7 ~ 9월에 많은 양의 강우량이 우수관을 통해 하수처리장으로 이송되어 생활용수 이외에 자연적인 공급량으로 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월별 회귀율 산정을 위해서는 불투수층에서의 면적강우량(mm)을 유입량(m3/s)으로 환산된 값을 고려하여 회귀율을 재산정하였다. 그 결과 연평균 회귀율은 각각 78.27 %(2011년), 77.58 %(2012년)로 나타났다.각각의 월별 회귀율도 매우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과거 관용적으로 사용된 65 % 회귀율보다 약 12 ~ 13%로 증가하였으며 이는, 하수처리시설 구축 및 처리효율의 증가와 상수처리시설의 관로시설의 개량으로 인한 유수율 및 누수율 감소로 회귀율이 증가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The 1:5,000 Forest Soil Map: Current Status and Future Directions (1:5,000 산림입지토양도의 제작과 활용 및 향후 발전 방향)

  • Kwon, Minyoung;Kim, Gaeun;Jeong, Jinhyun;Choi, Changeun;Park, Gwansoo;Kim, Choonsig;Son, Yowha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110 no.4
    • /
    • pp.479-495
    • /
    • 2021
  • To improve on the efficient management of forest resources, it is necessary to create a forest soil map, which represents a comprehensive database of forest lands. Although a 1:25,000 scale forest site map has been used in Korea, the need for a large-scale forest soil map with high precision and information on forest lands that is specialized for individual purposes has been identified. Moreover, to keep pace with the advancement in forest management and transition to a digital society, it is essential to develop a method for constructing new forest soil maps that can diversify its use. Therefore, this paper presented a developmental process and used a 1:5,000 scale forest soil map to propose future directions. National maps showing the soil type, depth, and texture were produced based on the survey and analysis of forest soils, followed by the Forest Land Soil Map (1:5,000) Production Standard Manual. Alternatively, forest soil map data were the basis on which various other maps that can be used to prevent and predict forest disasters and evaluate environmental capacities were developed. Accordingly, ways to provide appropriate information to achieve the national forest plan, secure forestry big data, and accomplish sustainable forest management that corresponds to the national development plan are proposed based on results from the current study.

Convergent Factors Affecting Depression of Drinkers by Age (연령에 따른 음주자 우울의 융합적 영향요인)

  • Kwon, Myoungjin;Kim, Jihyun;Jeong, Sunkyung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0 no.3
    • /
    • pp.383-393
    • /
    • 2019
  •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convergent factors affecting depression in drinker by age. This was a cross-sectional secondary data analysis study that used the raw data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in 2014 & 2016. The subjects of the present study were 4,446 middle-aged drinker. Variables related to general characteristics, physical and psychological factors were selected. After a sampling plan compound file was created using IBM SPSS 23.0 program, data were analyzed by giving weights. Depression was influenced by gender (30s, 50-60s), income (30-40s, 60s), education (30-40s), number of family members (30-60s), job (30-60s), eating level (30-40s, 60s), hypertension (40s), DM (30-40s), BMI (30-40s), smoking (30s, 50s), exercise (30s), weight control (60s), drinking binge (30-60s), subjective health (30-60s), subjective body awareness (30-50s), stress (30s-60s), quality of life (30-60s). It is required to design preventive interventions and management plans for depression, considering these factors comprehensively.

An Evaluation of Development Plans for Rolling Stock Maintenance Shop Using Computer Simulation - Emphasizing CDC and Generator Car - (시뮬레이션 기법을 이용한 철도차량 중정비 공장 설계검증 - 디젤동차 및 발전차 중정비 공장을 중심으로 -)

  • Jeon, Byoung-Hack;Jang, Seong-Yong;Lee, Won-Young;Oh, Jeong-Heon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 /
    • v.18 no.3
    • /
    • pp.23-34
    • /
    • 2009
  • In the railroad rolling stock depot, long-term maintenance tasks is done regularly every two or four year basis to maintain the functionality of equipments and rolling stock body or for the repair operation of the heavily damaged rolling stocks by fatal accidents. This paper addresses the computer simulation model building for the rolling stock maintenance shop for the CDC(Commuter Diesel Car) and Generator Car planned to be constructed at Daejon Rolling Stock Depot, which will be moved from Yongsan Rolling Stock Depot. We evaluated the processing capacity of two layout design alternatives based on the maintenance process chart through the developed simulation models. The performance measures are the number of processed cars per year, the cycle time, shop utilization, work in process and the average number waiting car for input. The simulation result shows that one design alternative outperforms another design alternative in every aspect and superior design alternative can process total 340 number of trains per year 15% more than the proposed target within the current average cycle time.

Identifying Degradation Causes of Endangered Freshwater Fish, Microphysogobio rapidus Using Habitat-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멸종위기 야생생물 I급 여울마자 서식지 환경 특성 파악을 통한 훼손 원인 분석)

  • Ju-Duk Yoon;Keun-Sik Kim;Chang-Deuk Park;Dong-Won Kang;Heung-Heon Lee;Chi-Hong Lim;Nam-Shin Kim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56 no.3
    • /
    • pp.229-241
    • /
    • 2023
  • Microphysogobio rapidus is designated as endangered species class I by Ministry of Environment, and its distribution and population have been gradually declining, and it is now limited to the Nam River and some tributary streams of the Nakdong River Watershed. For the restoration of this highly endangered species, it is important to identify the causes of the decline and establish appropriate restoration plans. However, due to lack of basic data and ecological research, most steps are stagnant. Therefore, in this study, we identified the differences in the physical, biological, and sociological habitats between current and past distributed sites through field surveys and literature reviews. As a result of the field survey, there were differences in conductivity between the current and past distributed sites, and fish communities were also showed differences. The literature data also showed that the physico-chemical values of the past distributed sites were generally unfavorable, which generated negative consequences on biological factors. In particular, the effects of urbanization were found to be a major factor affecting the habitat of M. rapidus. Habitat stabilization is crucial for the recovery of this endangered species. However, in the past distributed sites, disturbances such as stream development and weir construction have altered streams physico-chemically and result in changes of M. rapidus. Therefore, a comprehensive plan that considers both stream connectivity and water quality is needed to manage and restore the habitat of M. rapidus.

Philosophical Stances for Future Nursing Education (미래를 향한 간호교육이념)

  • Hong Yeo Shin
    • The Korean Nurse
    • /
    • v.20 no.4 s.112
    • /
    • pp.27-38
    • /
    • 1981
  • 오늘 저희에게 주어진 주제, 내일에 타당한 간호사업 및 간호교육의 향방을 어떻게 정하여야 하는가의 논의는 오늘날 간호계 주변에 일어나고 있는 변화의 실상을 이해하는 데서 비롯되어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입장에서 먼저 세계적으로 건강관리사업이 당면한 딜레마가 어떠한 것이며 이러한 문제해결을 위해 어떠한 새로운 제안들이 나오고 있는가를 개관 하므로서 그 교육적 의미를 정의해 보고 장래 간호교육이 지향해야할 바를 생각해 보려 합니다. 오늘의 사회의 하나의 특징은 세계 모든 나라들이 각기 어떻게 전체 국민에게 고루 미칠 수 있는 건강관리체계를 이룩할 수 있느냐에 관심을 모으고 있는 사실이라고 봅니다. 부강한 나라에 있어서나 가장 빈궁한 나라에 있어서나 그 관심은 마찬가지로 나타나고 있읍니다. 보건진료 문제의 제기는 발달된 현대의학의 지식과 기술이 지닌 건강관리의 방대한 가능성과 건강 관리의 요구를 지닌 사람들에게 미치는 실질적인 혜택간에 점점 더 크게 벌어지는 격차에서 발생한다고 봅니다. David Rogers는 1960년대 초반까지 갖고 있던 의료지식의 축적과 민간인의 구매력 향상이 자동적으로 국민 건강의 향상을 초래할 것이라고 믿었던 순진한 꿈은 이루어지지 않았고 오히려 의료사업의 위기는 의료지식과 의료봉사간에 벌어지는 격차와 의료에 대한 막대한 투자와 그에서 얻는 건강의 혜택간의 격차에서 온다고 말하고 있읍니다. 균등 분배의 견지에서 보면 의료지식과 기술의 향상은 그 단위 투자에 대한 생산성을 낮춤으로서 오히려 장애적 요인으로 작용해온 것도 사실이고 의료의 발달에 따른 일반인의 기대 상승과 더불어 의료를 태성의 권리로 규명하는 의료보호사업의 확대로 야기되는 의료수요의 급증은 모두 기존 시설 자원에 압박을 초래하여 전래적 의료공급체제에 도전을 가해 왔으며 의료의 발달에 건 기대와는 달리 인류의 건강 문제 해결은 더욱 요원한 과제로 남게 되었읍니다. 현시점에서 세계인구의 건강문제는 기아, 영양실조, 안전한 식수 공급 및 위생적 생활환경조성의 문제에서부터 가장 정밀한 의료기술발달에 수반되는 의료사회문제에 이르는 다양한 문제를 지니고 있으며 주로 각개 국가의 경제 사회적 여건이 이 문제의 성격을 결정짓고 있다고 볼수 있읍니다. 그러나 건강 관리에 대한 요구는 영구히, 완전히 충족될 수 없는 요구에 속한다는 의미에서 경제 사회적 발달 수준에 상관없이 모든 국가가 공히 요구에 미치지 못하는 제한된 자원문제로 고심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또 하나의 공통된 관점은 각기 문제의 상황은 달라도 오늘날의 건강 문제는 주로 의료권 밖의 유전적 소인, 사회경제적, 정치문화적인 환경여건과 각기 선택하는 삶의 스타일에 깊이 관련되어 있다는 사실입니다. 따라서 오늘과 내일의 건강관리 문제는 의학적 견지에서 뿐 아니라 널리 경제, 사회, 정치, 문화적 관점에서 포괄적인 접근이 시도되어야 한다는 점과 의료의 고급화, 전문화, 일변도의 과정에서 소외되었던 기본건강관리체계 강화에 역점을 둔 다양하고 탄력성 있는 사업전개가 요구되고 있다는 점입니다. 다양한 건강관리요구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기 위한 그간 세계 각처에서 시도된 새로운 건강관리 접근과 그 제안을 살펴보면 대체로 4가지의 뚜렷한 성격들로 집약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 첫째는 건강관리사업계획 및 그 수행에 있어 지역 사회의 적극적 참여를 유도하는 일, 둘째는 지역단위의 일차보건의료에서 부터 도심지 신예 종합병원, 시설 의료에 이르기까지 건강관리사업을 합리적으로 체계화하는 일. 셋째로 의료인력이용의 효율화 및 비의료인의 훈련과 협조 유발을 포함하는 효과적인 인력관리에 대한 제안과 넷째로 의료보험 및 각양 집단 의료유형을 포함하는 대체 의료재정 운영관리에 관련된 제안들을 들 수 있읍니다. 건강관리사업에 있어 지역사회 참여의 의의는 첫째로 사회 경제적인 제약이 모든 사람에게 가능한 최대한의 의료를 모두 고루 공급하기 어렵게 하고 있다는 점에서 제한된 정부재정과 지역사회가용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자조적이고 자율적인 지역사회건강관리체제의 구현에 있다고 볼 수 있으며 둘때로는 개인과 가족 및 지역민의 건강에 영향하는 많은 요인들은 실질적으로 의료권 외적 요인들로서 위생적인 생활양식, 식사습관, 의료시설이용 등 깊이 지역사회특성과 관련되어 국민보건의 실질적 향상을 위하여는 지역 주민의 자발적인 참여가 필수여건이 된다는 점 입니다. 지역 단위별 체계적인 의료사업의 전개는 제한된 의료자원의 보다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이용을 가능하게 하며 요구가 있을때 언제나 가까운 거리에서 경제 사회적 제약을 받지 않고 이용할 수 있는 일차건강관리망을 통하여 건강에 관련된 정보를 얻으며 질병예방, 건강증진 및 기초적인 진료의 도움을 얻을 수 있고 의뢰에 대한 제2차, 제3차 진료에의 길은 건강관리사업의 질과 폭을 동시에 높고 넓게 해 줄 수 있는 길이 된다는 것입니다. 인력 관리에 관련된 두가지 기본 방향으로서는 첫째로 기존보건의료인력의 적정배치 유도이고 둘째는 기존인력의 역할확대, 조정 및 비의료인의 교육훈련과 부분적 업무대체를 들수 있으며 이러한 인력관리의 기본 방향은 부족되는 의료인력의 생산성을 높이고 주민들의 자조적 능력을 강화시킨다는 데에 두고 있음니다. 대체적 의료재정운영안은 대체로 의료공급과 재정관리를 이원화하여 주민의 경제능력이 의료수혜의 장애요소로 작용함을 막고 의료인의 경제적 동기에 의한 과잉치료처치에 의한 낭비를 줄임으로써 의료재정의 투자의 효과를 증대하는 데(cost-effectiveness) 그 기본방향을 두고 있다고 봅니다. 이러한 주변의료 사회적인 동향이 간호교육의 미래상에 끼치는 영향은 지대한 것이라 봅니다. 첫째로 장래 세계인구의 건강문제는 정치, 사회, 경제, 환경적인 의료권 밖의 요인들에 의해 더욱 크게 영향 받는다고 전제한다면 건강문제해결에 있어서도 전통적인 의료사업의 접근에서 더나아가 문제발생의 근원이 되는 생활개선이라는 차원에서 포괄적 접근을 생각하여야 하고 이를 위해선 정치, 경제, 사회전반에 걸친 깊이있는 이해과 주민의 생활환경에 직접 영향하는 교통수단, 통신망 mass media, 전력문제, 농업경영방법 및 조직적 사회활동 등 폭넓은 이해가 요구된다고 봅니다. 둘째로, 지역사회참여의 의의를 인정한다면 지역민의 자발적 참여를 효과적으로 유발시킬수 있고 의료집단과 각종 주민조직과 일반주민들 사이에서 협조적으로 일할수 있는 역량을 기르기위한 교육적 준비가 요구된다고 봅니다. 셋째로, 지역주민의 건강관리 자조능력 강화를 하나의 목표로 삼는다면 치료자에서 교육자로, 지도자에서 촉진자로, 제공자에서 지원자료의 역할의 변화 내지 다양화를 요구하게 될 것이므로 그에 대처할 수 있는 준비가 필요하다고 봅니다. 넷째로, 생각되어야 할 점은 지역중심건강관리사업을 지향하는 보건의료의 이념적 방향과 그에 상응하는 구체적 접근방법을 효율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종횡으로 연결되는 의사소통체계의 정립과 민활한 정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한다는 점에서 의사소통의 구심체로서 역할할 수 있는 역량을 함양해야 할 교육적 과제가 있다고 봅니다. 마지막으로 생각되어야 할 점은 지역중심으로 전개될 건강관리사업은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적 측면과 질병진료 및 회복과 재활에 이르는 종합적이고 포괄적인 사업이어야 한다는 점에서 종래 공공 의료부문과 사설의료기관 사이에 나누어져 있던 예방의학과 치료의학의 통합 뿐 아니라 정부주축으로 이루어 지고 있는 지역사회개발사업 및 농촌지도사업과 종교 및 각종 민간인 집단이 벌이고있는 사업들과의 전체적인 통합적 접근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입장에서 종래 간호교육이 강조하지 않던 진료의 의무와 대외적 조직활동에 대한 보완적인 교육조치가 요구된다고 봅니다. 간호의 학문체계로서의 입장은 오랜 역사를 두고 논의의 대상이 되어왔으나 아직까지 뚜렷이 어떤 것이 간호 특유의 지식체계이며 건강문제에 관련하여 무엇이 간호특유의 결정영역이며 이 결정과 그 결과를 어떠한 방법으로 치료적 행위로 옮길 수 있는가에 대한 확실한 답을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봅니다. 다만 근래에 제시된 여러 간호이론들 속에서 공통적으로 이야기되어지고 있는 개념들로선 우선 간호학문을 건강과 질병에 관련된 인간의 전인적이고 전체적인 상황을 다루는 학제적 과학으로서보는 입장이 있고 따라서 생물신체적인 면 외에 정신심리적, 사회경제적, 정치문화적 환경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인간의 건강과 질병문제를 생각한다는 지향을 갖고 있다고 말할 수 있겠읍니다. 간호교육은 간호계 내적인 학문적, 이론적 체계화의 요구에 못지않게 대민봉사하는 전문직으로서의 사회적 책임을 감당해야하는 중요과제를 안고있어 변화하는 사회요구에 효과적으로 대처해 나가야 할 당면문제를 안고 있읍니다. 간효역할 확대, 보건진료원훈련 등 이러한 사회적 요구에 대응하려는 조치가 되겠읍니다. 이러한 시점에서 간호계가 분명히 짚고 넘어가야 할 사실은 이러한 움직임들이 종래의 의사들의 외업무공급을 연장 확대하는 입장에 서서 간호의 특수전문직 명목을 흐리게 할수있는 위험을 감수할 것인지 아니면 가능한 대체방안을 갖고 간호전문직의 독자적인 진로를 개척하면서 다각적인 도전을 받아들일 준비를 갖추든지 그 방향을 뚜렷이 해야할 일이라 생각합니다. 저로서는 이미 잘 훈련된 간호원들과 조산원들의 교육적, 경험적 배경을 기반으로 지역사회 최일선 건강관리요원으로 사회적 효능을 다 할수 있는 일차건강관리간호조직의 구현을 대체방안으로 제시하고 싶습니다. 간호원과 조산원들의 훈련된 역량과 건강관리체제의 구조적 변화를 효과적으로 조화시킨다면 대부분의 세계인구의 건강문제는 해결가능하다고 보는 입장입니다. 물론 정책과 의료와 행정적지원이 활성화되어지는 환경속에서만 그 기대하는 결과가 확대되리라는 점 부언하는 바입니다. 마지막으로 언급하고 싶은 점은 바로 오늘의 주제 ''교육의 동역자-선생과 학생''이라는 개념입니다. 특히 상회정의적 입장에서 보는 의료사업전개에 지역민 내지 의료소비자의 참여를 강조하는 현시점에 있어 교육자와 학생이 교육의 현장에서 서로 동역자로서 학습의 책임을 나누는 경험은 아주 시기적으로 적합하여 교육적으로 지대한 의미를 갖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에 수반되어져야 할 역할의 변화에 수용적인 자세를 갖고 적극 실제적용하려 노력하는 선생앞에서 자주적 결정을 행사해본 학생이야말로 건강관리대상자로 하여금 같은 결정권을 행사할수 있도록 촉구하여 주민의 자조적 역량을 기르고 의료사업의 민주화, 인간화를 이룩할 수 있는 길잡이가 될 수 있으리라 믿는 바입니다.

  • PDF

Analysis of Growth Environment on Old Tree, a Natural Monument in Gyeongsangbuk-do (경북지역의 천연기념물 노거수 생육현황 분석)

  • Kim, Tae Sik;Cho, Sun Hee;Kang, Hee Jin
    • Korean Journal of Heritage: History & Science
    • /
    • v.43 no.1
    • /
    • pp.190-211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vide the preliminary data for maintenance of old trees of natural monuments and establishing protection projects. Accordingly, growth conditions, location circumstances, environment and protection management were analyzed for old trees at 34 sites in Gyeongsangbuk-do. Tree forms, crown, trunk and trees' health, leaves volume were analyzed in survey sites. As the results, the growth of Picrasma quassioides in Songsadong, Andong-si and Catalpa ovata in Hongwon-ri, Cheongsong-gun were not in good condition, along with other old trees of 6 cities (Quercus variabilis in Susan-ri, Uljin-gun, Juniperus chinensis in Hujeong-ri, Uljin-gun, Pyrus ussuriensis in Ssangjeon-ri, Uljin-gun, Salix glandulosa var. pilosa in Deokchon-ri, Cheongdo-gun, Pinus densiflora for. multicaulis in Hwasan-ri, Mungyeong-si, Pinus densiflora in Daeha-ri, Mungyeong-si). Accoding to these results, protection project and consistent monitoring are necessary. The analysis results of growth conditions per location circumstances showed that the old trees in the small spaces with large traffic of people were in bad condi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ecure sufficient space and soil improvement for such trees. The analysis results of growth conditions per species showed that Zelkova serrata, Quercus spp., Pinus densiflora are in good condition while Salix koreensis and others, i.e. a singular tree, are in poor condition. Thus, relatively smaller individuals and separately situated trees need careful management in their protection. The analysis results of trunk's growth ratio showed that Pinus densiflora, Ginkgo biloba, Zelkova serrata are in good condition whereas Juniperus chinensis, Quercus variabilis, Salix koreensis are not. It is a recent trend that tree surgeries are gradually decreasing; there are a number of damaged trees with no maintenance/management, and several sites requiring mend trunks management and cabling, bracing in protection and management projects. Hence, in the future, local government and management organizations should plan for systematic management and establish a protection plan for the natural monument trees. Also, 12 sites were found to be in need to purchase lands in order to secure the growth spaces, and since most of these areas are available for purchase, it is needed to promote a budget and purchase those areas through persuasion of the owner. These areas seems crucial in order to maximize the effect of conservation efforts and budgets for the preservation and restoration of the old trees.

Perspectives on the Landscape Ecological Function of Dangsan Forests and Rural Community Forests as a Stream Landscape (하천경관으로서 당산숲.마을숲의 경관생태학적 기능 고찰)

  • Choi, Jai-Ung;Kim, Dong-Yeob
    • Journal of Environmental Policy
    • /
    • v.4 no.2
    • /
    • pp.31-55
    • /
    • 2005
  • Dangsan forests and Rural Community Forests(RCF) have been historical assets for the rural communities of more than 40,000 in Korea and they have provided an identity through the cultural heritage. The Dangsan forests and the RCF are parts of a unique cultural landscape in the rural areas as components of stream landscape. In many cases, the Dangsan forests and the RCF are located close to stream corridor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function of the Dangsan forests and the RCF on stream water quality and to evaluate its ecological landscape values. Through the consideration of international concensus and domestic government policy for close-to-nature stream, we could find out that Dangsan forests and RCF's have close relationship with the close-to-nature streams. The water quality of the streams close to the Dangsan forests and the RCF are maintained with local culture. It is also compared to the streams located where Dangsan forests and the RCF are absent. Eight study sites were selected. Water samples were collected at three different locations at each study site. Water samples were analyzed for temperature, pH, total P, total N, dissolved oxygen, EC, BOD, COD and SS. Aquatic invertebrates were observed as water quality indicator speci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number of aquatic invertebrate species, GPI, DO, EC, BOD, and S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in stream water due to the presence of the Dangsan forests and the RCF. The role of Dangsan forests and the RCF was evident in the conservation of stream landscape and rural culture as well as in maintaining stream water quality. The management schemes of the streams with Dangsan forests and the RCF's are also suggested.

  • PDF

A Study on the Basic Directions for Forest Rehabilitation Programs Considering to Economic and Social Conditions of North Korea (북한의 경제사회적 여건을 고려한 황폐산림복구 기본방향 연구)

  • Park, Kyung Seok;Lee, Seong Youn;Park, So You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100 no.3
    • /
    • pp.423-431
    • /
    • 2011
  • The changes of forest degradation in North Korea have closely been related to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conditions at all different times. The deforestation by local people for their livelihood has been accelerated when the recession has been worsened due to the 1990's collapse of socialism and the years of natural disasters, and the fall of the centralized and planned economy system. The serious recession in the 1990's has brought many changes in the North Korean society since the 2000's. Not only the underground economy, but also the market in which personal trades are occurred have been expanded as the distribution system of the planned economy system had fallen. In addition, even many state institutions have also increased timber harvest for export to acquire insufficient foreign currency. Eventually, North Korea felt the limits of utilization of forest resources under socialism then started to seek measures to restore devastated forest, while realizing the need of support from the international society. Therefore, some NGOs of South Korea started to give financial support on building tree nurseries in which seedlings for planting are produced to help the rehabilitation of the degraded forests in North Korea. Therefore, Planning of the basic directions for forest rehabilitation programs considering to economic and social conditions of North Korea are needed based on the successful rehabilitation experience of South Korea in the 1970's. First of all, relationships which was built after collapse of centrally planned economy between districts, businesses and workers must be consider to rehabilitate forests in North Korea. Secondly, due to the nature of forest rehabilitation projects this is very needs voluntary participation of resident for a long time, and then forest rehabilitation projects can create jobs for local resident, they can obtain continuous income on the forest rehabilitation projects field in order to promote resident's work in forest rehabilitation projects. Thirdly, the rate dependence on forests of the residents living must keep the level down by rural development projects going side by side with forest rehabilitation projects. Fourthly, use of exsisting forest management system in North Korea is also needed to ensure administrative power and labor for grand scale plantations in a short period of time. Meanwhile after the success of Forest Rehabilitation, it is very important to improve exsisting forest management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