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경북지역의 천연기념물 노거수 생육현황 분석

Analysis of Growth Environment on Old Tree, a Natural Monument in Gyeongsangbuk-do

  • Kim, Tae Sik (Lab. of Natural Heritag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Cho, Sun Hee (Lab. of Natural Heritag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Kang, Hee Jin (Lab. of Natural Heritag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투고 : 2010.01.15
  • 심사 : 2010.03.11
  • 발행 : 2010.03.30

초록

본 조사연구는 경상북도지역의 천연기념물 노거수 34개소의, 생육상태와 입지환경 및 주변환경 실태, 보호관리실태 등을 조사하고 분석함으로써, 향후 천연기념물 노거수의 관리방안 및 보호사업 수립에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조사대상지의 수형 수관 주간 건강 엽량 상태를 조사분석한 결과, 안동 송사동 소태나무와 청송 홍원리 개오동나무의 생육상태가 아주 불량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울진 수산리 굴참나무, 울진 후정리 향나무, 울진 쌍전리 산돌배나무, 청도 덕촌리 털왕버들, 문경 화산리 반송, 문경 대하리 소나무 등 6개소의 노거수도 생육상태가 불량하여 지속적인 보호사업과 관찰이 요구되는 대상지로 분류되었다. 입지별 생육현황을 분석한 결과 사람의 내왕이 잦고 뿌리생육공간이 협소한 인문 입지환경에서 자라는 노거수가 생육상태가 불량 것으로 조사 되었다. 따라서 사람의 내왕이 잦은 입지환경의 노거수는 생육공간 확보와 토양 환경개선에 역점을 두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수종별 생육현황을 조사한 결과 종합적인 생육상태는 느티나무, 참나무, 소나무 수종이 생육상태가 양호하였으며, 버드나무와 대상지가 1개소인 기타수종은 불량하였다. 향후 개체수가 적은 기타수종은 보호관리에 있어 세심한 관리가 필요하다. 주간의 생부비율을 조사한 결과 소나무, 은행나무, 느티나무가 양호하였으며, 향나무, 굴참나무, 버드나무, 기타수종은 불량하였다. 보호관리사업에 있어서는 외과수술은 점차 감소하고 있는 추세로서 대부분 유지관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 파손된 곳이 많았으며, 지주관리나 쇠당김시설도 시급한 보수가 요구되는 곳이 여러군데 조사되었다. 향후 지자체 등 관리단체는 마을주민의 일상적인 보호관리방법이 아닌 전문가에 의한 체계적인 관리와 보호계획을 수립한 후 실시하는 세심한 보호사업이 필요하다. 생육공간 확보를 위한 토지매입이 필요한 곳이 11개소로 조사되었는데, 대체로 토지매입이 가능한 지역이므로 예산확보와 해당 주민 설득을 통한 토지 매입 추진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vide the preliminary data for maintenance of old trees of natural monuments and establishing protection projects. Accordingly, growth conditions, location circumstances, environment and protection management were analyzed for old trees at 34 sites in Gyeongsangbuk-do. Tree forms, crown, trunk and trees' health, leaves volume were analyzed in survey sites. As the results, the growth of Picrasma quassioides in Songsadong, Andong-si and Catalpa ovata in Hongwon-ri, Cheongsong-gun were not in good condition, along with other old trees of 6 cities (Quercus variabilis in Susan-ri, Uljin-gun, Juniperus chinensis in Hujeong-ri, Uljin-gun, Pyrus ussuriensis in Ssangjeon-ri, Uljin-gun, Salix glandulosa var. pilosa in Deokchon-ri, Cheongdo-gun, Pinus densiflora for. multicaulis in Hwasan-ri, Mungyeong-si, Pinus densiflora in Daeha-ri, Mungyeong-si). Accoding to these results, protection project and consistent monitoring are necessary. The analysis results of growth conditions per location circumstances showed that the old trees in the small spaces with large traffic of people were in bad condi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ecure sufficient space and soil improvement for such trees. The analysis results of growth conditions per species showed that Zelkova serrata, Quercus spp., Pinus densiflora are in good condition while Salix koreensis and others, i.e. a singular tree, are in poor condition. Thus, relatively smaller individuals and separately situated trees need careful management in their protection. The analysis results of trunk's growth ratio showed that Pinus densiflora, Ginkgo biloba, Zelkova serrata are in good condition whereas Juniperus chinensis, Quercus variabilis, Salix koreensis are not. It is a recent trend that tree surgeries are gradually decreasing; there are a number of damaged trees with no maintenance/management, and several sites requiring mend trunks management and cabling, bracing in protection and management projects. Hence, in the future, local government and management organizations should plan for systematic management and establish a protection plan for the natural monument trees. Also, 12 sites were found to be in need to purchase lands in order to secure the growth spaces, and since most of these areas are available for purchase, it is needed to promote a budget and purchase those areas through persuasion of the owner. These areas seems crucial in order to maximize the effect of conservation efforts and budgets for the preservation and restoration of the old tree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