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종자생산

Search Result 564,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Establishment of Organic Seed Harvesting Technology of Carrot (당근 유기종자 채종기술 확립)

  • Kwon, Sung-Ae;Bak, Min-Kyung;Kwon, Young-Han;Lee, Young-Hun;Ruan, Jiwei;Murti, Rudi Hari;Jee, Hyung-Jin;Lee, Yeon;Kim, Byun-Sup;Yeoung, Young-Ro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Organic Agriculture Conference
    • /
    • 2009.12a
    • /
    • pp.297-297
    • /
    • 2009
  • 최근 유기농산물에 대한 관심과 요구가 급증하면서 소비자들은 고품질 유기농산물을 선호하고 있어 국내 대부분 유기농가들은 무처리 일반종자를 이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앞으로 국제 기준에 부합하는 채소류 유기재배를 위해서는 유기종자의 이용이 필수적이므로 유기종자 채종체계 확립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당근 종자(재래종 heimloom)를 사용하여 유기종자의 채종체계를 확립하고자 하였다. 일반적으로 당근종자 생산은 적어도 2년을 요구한다. Seed to seed 방법과 Root to seed 방법이 이용되고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Root to seed 방법을 사용하였다. Root to seed 방법은 6월에 당근종자를 파종하여 가을에 뿌리를 수확하여 지상부를 5cm 정도 남기고 정지하여 일시 저온저장 하였다가 이듬해 뿌리를 이식하여 새순에서 추대시켜 종자를 수확하는 방법으로 종자 생산성이 높아 종자회사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도 Root to seed 방법으로 채종 시험하였다. 2008년도에 파종 및 수확한 뿌리를 저온저장고에 일시 저장 후 1차 이식은 2008년 11월 하순에 노지포장에서 실시하고 이때 월동 중 동해를 막기 위하여 보온덮개로 멀칭 처리하였다. 이듬해 3월 중순에 주간거리 75${\times}$40cm 간격으로 솎음하여 처리당 10주씩 배치하였다. 이식후 뿌리에서 새순 1대를 유도하였고 추대 및 개화 6주후부터 종자가 갈색으로 변하기 시작할 때 채종을 시작하였다. 수확부위는 1차 측지 중 1번째 화지를 대상으로 하였고 화경절단은 화총으로부터 20cm 정도 남겨서 잘랐고 실내에서 1개월 이상 충분히 후숙시킨 후 종자를 정선하여 종자생산성을 조사하였다. 결실율과 발아율 조사는 채종된 종자를 이용하여 종자 충실도와 발아력을 조사하였다. 각 품종별 추대율은 15번 품종과 16번, 24번 품종이 5% 미만으로 매우 부진하였고 그밖에 추대된 묘의 생육 및 발육상은 매우 양호하여 개화에는 커다란 문제가 없었다. 종자 결실율은 23번 품종을 제외한 모든 품종에서 높았고 각 품종별 화총구조를 고려해 볼 때 주간 화총, 1차측지, 2차측지 순으로 결실율이 떨어졌다. 각 품종의 천립중은 1, 11, 12, 14, 20번 품종이 2.02g 이상으로 대립종으로 판단되며 각 품종별 화총의 크기는 비슷하여 대립종은 각 화총당 종자수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분분의 대립종은 만생종으로 생육기간이 소립종 보다 10-20일상 길며 종자 성숙기간도 장기간 소요되며 특히 장마기간을 넘겨야 할 경우에는 비가림 시설 채종재배가 필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발아율은 10, 11, 14, 18, 19, 26번 품종이 80% 이상으로 가장 높았고 다른 품종에서는 다소 떨어져 품종별 차이가 많았다. 종자 생산성은 장근종과 단근종간에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 주간 화총을 포함하여 1차 측지 4-5개에서 채종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당근의 개화 기간을 보면 1화륜은 8~10일, 1개체는 40~50일, 채종포장에서는 1화륜에서 측지 6개구까지 채종은 60~70일 소요되어 미숙종자와 과숙종자가 혼재되어 적정 수확시기를 결정하기가 매우 어려운 점이 발생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서 생육특성, 수량성, 품질특성, 종자 생산성, 발아율을 고려해 볼 때 1, 7, 8, 9, 10, 14, 19, 26번 품종이 유기농 재배 및 유기채종에 적합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

Effects of Seeding Time on Growth Characteristics and Seed Production of Tall Fescue (파종시기가 톨 페스큐 생육특성 및 종자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 Lee, Ki-Won;Choi, Gi Jun;Kim, Ki-Yong;Ji, Hee Jung;Park, Hyung Soo;Lee, Dong-Gi;Lee, Sang-Ho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 /
    • v.34 no.2
    • /
    • pp.103-107
    • /
    • 2014
  • Tall fescue (Festuca arundinacea Schreb.) is one of cool-season adapted perennial grass species and has been cultivated worldwide as a important forage and lawn grass.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seed production of new tall fescue cultivar, 'Purum', which was cultivated in Korea. Agronomic aspects of tall fescue were determined using seed production and forage nutritive value of straw at the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from 2012 to 2013. The heading date according to the seeding time displayed 2~3 days differences. The harvested seed yields were the largest (1,711 kg/ha) when seeding date at September $17^{th}$, whereas it decreased when planted ten days earlier or later than at that time. The thousand-grain weight of gathering seeds was 2 g, and the germination rate was 80 to 83% showing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different seeding times. The yield of fresh weight and dry matter were the largest (63,556 kg/ha and 16,926 kg/ha, respectively) when planted at September $17^{th}$. The dry matter yield was gradually decreased with delaying seeding time as 10 days period. However, nutritive values of straw did no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daptation Strategy in Dry Matter and Seed Production of Rice and Weed Species (벼와 잡초(雜草)의 건물생산(乾物生産) 및 종자생산(鐘子生産) 특성(特性)에 따른 환경적응(環境適應) 전략(戰略))

  • Kim, Soon-Chul;Moody, Keith
    • Korean Journal of Weed Science
    • /
    • v.9 no.3
    • /
    • pp.183-200
    • /
    • 1989
  • An experiment was conducted at the greenhouse of the International Rice Research Institute in 1987 to find out the character of dry matter production, the potential seed production ability and the ecological and physiological strategies to adaptation. For these, two rice cultivars, IR64(lowland rice) and UPLRi-5(upland rice), and seven weed species were used ; Echinochloa glabrescens Munro ex Hook. f., E. cress-galls ssp. hispidula (Retz.) Honda, E. colons (L.) Link, Monochoria vaginalis (Burin. f.), Ludwigia octovalvis Jacq.) Raven, Fimbristylis miliacea Vahl and Cyperus difformis L. Adaptation strategies of weed species varied by species. However, they had efficient seed production strategy through different ways. In general, sedge weed species (F. miliacea and C. difformis) produced great amount of seeds at the expense of seed size through greater ratooning ability and low relative dry weight for flowering. For broadleaved weed species, greater number of descendants were obtained through high plasticity and low relative dry weight for flowering (M. vaginalis) or greater growth ability through effective photosynthetic efficiency (L. octovalvis). Grass weed species, on the other hand, produced their seeds through effective growth (net assimilation rate and relative growth rate), high ratooning ability (except E. crus-galls ssp. hispidula) or low relative dry weight to maximum dry weight for flowering (E. glabrescens). The harvest indices of the weed species were considerably lower than those of rice. Fimbristylis miliacea had the greatest ratooning ability followed by C. difformis, E. colons and E. glabrescens. The greatest seed productivity was recorded by C. difformis (279, 000) and L. octovalvis (268,000) while rice produced the least number of seeds (1300-6100). Log seed weight had a negative linear relationship with log seed number (y=6.30-1.48X, $R=-0.965^{**}$). For all species plant plasticity response was not directly correlated with mortality response.

  • PDF

Effect of Planting Ratio of Male Sterility (MS) and Restorer Line (RL) on Fatty Acid Content and Composition during Seed Filling Period in $F_1$ Seed of Brassica napus L. (유채의 $F_1$ 종자 생산시 종자친과 화분친의 재식비 및 등숙시기별 종자의 지방산 분석)

  • Ku, Yang-Gyu;Yang, Sun-Young;Jung, Yong-Su;Kim, Hyun-Sung;Suh, Mi-Chung;Ahn, Sung-Ju
    •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
    • v.55 no.3
    • /
    • pp.226-231
    • /
    • 2010
  • The objective of this experiment was determin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planting ratio of Male Sterility (MS) to Restorer Line (RL) and harvesting time on fatty acid compositions under $F_1$ seed production of Brassica napus L. For rapeseed seed production,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in the open fields. One experiment studied planting ratios of MS to RL (4:2, 10:2, or 10:1) were planted and investigated fatty acid composition at 40, 45, 50, 55, and 60 days after flowering, the other $F_2$ seeds were analyzed on fatty acid compositions of harvested seeds at five sequential stages. The results showed that fatty acid compositions of developing seeds were influenced by MS:RL planting ratios and $F_2$ hybrid treatments and contaminated level of fatty acid compositions, erucic acid, were unaffected by planting ratio of MS to RL. Fatty acid compositions such as palmitic acid (C16:0), stearic acid (C18:0) and linoleic acid (C18:2) contents decreased during seed maturation period in $1^{st}$ and $2^{nd}$ experiments. In contrast, oleic acid (C18:1) content relatively increased up to 55days after flowering. At day 60 after flowering, oleic acid content was unaffected by MS:RL planting ratios and $F_2$ seeds treatments. Aspects of related gene expression of fatty acid synthesis such as SAD, FAD1 and FAD2 were followed exactly to changes of fatty acid composition during seed matur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MS ratio may be enlarged and RL may be reduced, indicating this ratio will be useful for rape seed production.

Optimum Culture Condition and Seed Harvesting Time For the Superior Seed Production in Ligularia stenocephala (곤달비 우량종자 생산을 위한 적정재배 조건 및 채종시기)

  • Song Hee Ahn;Jung Seob Moon;Gue-Saeng Yeom;Jin Ho Yang;Min Sil Ahn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0.08a
    • /
    • pp.66-66
    • /
    • 2020
  • 쌈채소나 산나물로 알려진 곤달비(Ligularia stenocephala)의 종자나 종묘는 시장 거래가격이 높게 형성되어 재배농가의 경영비 증가로 이어지고 있다. 또한, 곤달비의 종자는 대개 농가 자가 채종으로 생산되며, 채종재배에 대한 체계가 정립되어 있지 않다. 이에 본시험은 곤달비의 우량종자 생산을 위한 종자결실률 향상 재배조건과 채종적기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전북 남원시 허브산채시험장에서 2018년 10월에 2년생 곤달비 종묘를 포장에 정식하여 시험을 실시하였다. 적정 채종 재배조건을 구명하기 위해 2019년 노지, 하우스, 55% 차광막을 설치한 노지포장에서 곤달비의 개화시기, 개화율, 생육특성, 결실률 등을 조사하였다. 더불어 채종적기를 설정하기 위해서 곤달비 개화 후 50일~100일 동안 7일 간격으로 채종하여 결실률, 채종량, 종자 발아율을 조사하였다. 곤달비의 개화는 하우스재배, 노지재배의 경우 7월 하순, 차광재배는 8월 초순 개화가 시작되었으며, 개화 최성기도 하우스재배와 노지재배가 차광재배와 비교해 15일 정도 일렀다. 하지만 개화 종료 시기는 노지재배가 가장 빨랐으며 하우스재배가 가장 늦었다. 개화율은 하우스재배, 차광재배, 노지재배 순으로 높았다. 개화기 생육특성는 차광재배일 때 초장과 화경장이 가장 컸으며, 화서수와 자방수는 하우스재배가 타 재배방법에 비해 다소 많았다. 곤달비 재배방법에 따른 결실률은 차광재배가 70.1%, 노지재배가 21.9%, 하우스재배가 15.8%이었으며, 채종량은 차광재배의 경우 10a당 39.6kg, 노지재배 4.9kg, 하우스재배 4.6kg이었다. 백립중과 종자길이, 종자너비 또한 차광재배가 타 재배방법에 비해 양호하였다. 채종시기에 따른 결실률은 채종시기가 늦어질수록 높은 값을 가졌으나, 화경당 채종량은 개화 후 70일에 85일 사이에 가장 많았다. 발아율은 노지재배의 경우 개화 후 70일 이후부터 90% 이상으로 높은 발아율을 보였고, 차광재배는 개화 후 65일부터 95% 이상의 발아율을 나타냈으나 하우스재배의 경우에는 개화 후 80일 이후부터 85% 이상으로 발아율이 양호하였다. 따라서 곤달비의 우량종자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55% 차광막을 설치한 노지에서 재배하여 개화 후 65일 이후부터 종자가 비산하기 전까지 채종해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 PDF

연초 1대잡종 품종 육성과 이용 방향

  • 조천준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Tobacco Science Conference
    • /
    • 2001.05a
    • /
    • pp.35-43
    • /
    • 2001
  • 일대잡종육종이란 현대의 다양한 육종기술 중 하나로 교배 제1세대의 잡종강세현상을 곧바로 이용하는 것으로 여러 작물에서 실용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F$_1$잡종종자를 생산하려면 자가수분을 통제해야 하는데 웅성불임을 이용하면 자친의 화분제거 노력이 생력되어 경제적인 종자생산이 가능하다. 연초는 자식성 작물로 잡종강세는 높지 않으나 종간 교잡에 의한 cms가 만들어진 이후 버어리종 등에서는 60년대부터 직적형질에 가깝게 유전되는 우성 단일유전자의 지배를 받는 N. logniflora의 역병(race 0)저항성을 도입한 웅성불임(cms) F$_1$잡종이 활발하게 이용되어 왔다. 최근에는 cms F$_1$잡종의 이용영역이 넓어져 우리나라의 경우 N. glutinosa에서 유래한 우성 단일인자 TMV저항성을 도입한 황색종 cms F$_1$잡종 KF 114가 주 재배품종이 되었고 버어리종에서는 VAM에서 유래한 열성단일유전자의 지배를 받는 PVY저항성이 도입된 KB 111의 확대재배가 예상되고 있다. 본 글에서는 cms F$_1$잡종의 국내외 이용 사례를 살펴보고 cms F$_1$잡종의 육성과 이용방향, cms F$_1$잡종 종자생산에 관하여 기술하였다. 그리고 병저항성뿐 아니라 알칼로이드함량, 염록소함량, DVT나 챤-abienol 및 SE함량 등 질적형질에 가깝게 유전되고 유전양식이 명확하게 밝혀진 화학성분에 대해서도 F$_1$잡종 육성의 대상 형질로 논의하였다.

  • PDF

Seed Production and Distribution System Improvement of Medicinal Crop Seeds (약용작물 종자 생산 및 보급체계 개선)

  • Jang, Woo Whan;Park, Jae Sang;Rubenecia, Maria. Rosnah Ultra.;Park, Chung Beom;Ahn, Young Sup;Lee, Sang Chul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v.31 no.4
    • /
    • pp.286-294
    • /
    • 2013
  • Increasing concern for the health, well-being, and income of the people has expectedly brought continuous increase in the industrial value of medicinal plants in recent years as these are also used in foods and cosmetics. However, Korea's increased import of these products from China due to the FTA contract causes negative effects on its industrial value. In this regard, various measures for medicinal crop seed development and production, organization and expansion of circulation and forest land use deregulation are needed to promote the agricultural food industry including medicinal plants. As a measure, first, a database of medicinal plants should be built that can help to promote the national medicinal industry and the seed management system. Second, agricultural productivity should be enhanced via the development and supply of varieties of high quality medicinal plants. Third, there should be a good practice of the system maintenance for the production and supply of medicinal crop seeds. Fourth, production and distribution system of medicinal plants should be established by standardization of high quality seeds. Nowadays, the consumption pattern of medicinal crops is changing from direct ingestion to cosmetics, drugs, and food and this is expected to increase continuously. Consequently, the increased production of medicinal crops will support the development policy and the institutional improvement in response to this trend of the positive change of industrialization.

Establishment of The Optimal Harvest Limit Time for Wild Vegetable Seed Production (산채류 채종을 위한 적정 생채 수확 한계기 설정)

  • Song Hee Ahn;Jung-Seob Moon;Gue-Saeng Yeom;Dong-Chun Cheong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1.04a
    • /
    • pp.42-42
    • /
    • 2021
  • 산채류 종자는 주로 농가의 자가 채종으로 생산되고 있다. 농가에서는 종자만을 생산하기 위해서 산채를 재배하지 않으며, 대체로 산채를 수확한 후 채종하는 실정이다. 하지만 종자생산을 위해서 생채나 나물을 언제까지 수확해야 하는지에 대한 한계기 설정이 불분명하다. 따라서 전북농업기술원 허브산채시험장에서는 개미취와 섬쑥부쟁이는 5년생, 곤달비는 3년생 묘목을 이용하여 종자생산을 위한 적정 생채수확 한계기를 설정하고자 시험을 실시하였다. 55% 차광막을 설치한 노지 재배포장에서 생채 수확 한계기를 각각 2020년 4월, 5월, 6월까지로 두어 한계기별 생채 수량, 상품 수량 및 상품율과 개화 시기, 개화율 및 결실률 등을 조사하였다. 개미취의 생채 상품율은 수확 한계기가 늦어질수록 다소 떨어지는 경향이었으며, 개화 시기는 무처리와 4월까지 수확은 동일하였으나, 5월, 6월까지는 수확 한계기가 늦어질수록 지연되었다. 개화율은 대부분 10% 미만이었으며, 5월과 6월까지 생채를 수확한 경우는 추대 및 개화가 거의 되지 않았다. 섬쑥부쟁이는 생채를 6월까지 수확하면 4월까지 수확한 경우보다 약 2배 이상의 생채를 얻을 수 있으나 상품율은 확연히 떨어졌다. 개화 시작은 무처리와 4월까지 수확이 타 처리에 비해 빨랐으나 개화종은 시기에 상관없이 비슷하였다. 또 4월까지 생채를 수확한 경우 무처리보다 개화율, 결실률이 더 높았다. 5월 이후 수확은 생육 부진으로 이어져 개화 및 결실률이 매우 떨어졌다. 곤달비는 개미취와 섬쑥부쟁이에 비해 생채 수확 한계기가 늦어질수록 상품 수량이 눈에 띄게 증가하였으며, 처리 간 추대 시기도 차이는 없었다. 개화율은 5월 수확 이후 낮아졌으며, 결실률은 6월 이후에 급격히 떨어졌다. 따라서 채종을 위해서는 차광재배 시 개미취와 섬쑥부쟁이는 생채 수확시기를 4월 하순, 곤달비는 5월 하순까지로 한정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