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종양 억제 유전자

Search Result 135,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Mutation of Canine Tumor Suppressor Gene p53 in a Mammary Gland Adenocarcinoma and a Malignant Mast Cell Tumor (개의 유선암종과 악성 비만세포 종양에서 발생한 종양억제 유전자 p53의 변이)

  • Lee, Chung-ho;Kweon, Oh-kyeong
    • Journal of Veterinary Clinics
    • /
    • v.19 no.2
    • /
    • pp.195-198
    • /
    • 2002
  • To identify mutations in exons 5 to 8 of the p53 tumor suppressor gene, we have analysed in 12 spontaneous canine tumors. In a malignant mast cell tumor, a 1 base pair alteration AGT $\longrightarrow$AGC (silent point mutation, serine) in codon 249 in exon 8 was detected. And the mammary gland adenocarcinoma was found to have a mis-sense point mutation (CCT $\longrightarrow$ TCT) in codon 285 in exon 8.

Identification of Tumor Suppressor Genes on Chromosome 21 (제21번 염색체의 종양억제유전자 발굴)

  • Lee, Eung-Bae;Choi, Jin-Eun;Jang, Jin-Sung;Park, Jae-Yong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v.42 no.2
    • /
    • pp.141-147
    • /
    • 2009
  • Background: We performed this study to identify the tumor suppressor genes located in the long arm of chromosome 21 in non-small cell lung cancer. Material and Method: The genes of USP25 in 21q11.2, NCAM2, ADAMTS1 in 21q21.2, and Claudin-8 (CLDN8), Claudin-17 (CLDN17) and TIAM1 in 21q22.1 were investigated for their gene expressions, genetic alterations and promoter methylation. Result: The expressions of CLDN8 and CLDN17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7 (L132, H157, H358, H522, H1299, H1703 and HCC2108) of 13 cell lines, and the expression of ADAMTS1 was also significantly reduced in 6 cell lines (A549, SW900, H1299, H1373, H1703 and H1793). There were no genetic alterations by PCR-SSCP and cDNA cloning in the cell lines with a decreased gene. In the cell lines with a decreased gene expression, the mRNA expression was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treatment of 5-Aza-CdR.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ADMTS1, CLDN8 and CLDN17 may act as tumor suppressor genes.

암의 발생기작

  • 임영희
    • Proceedings of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Conference
    • /
    • 1997.06b
    • /
    • pp.8-10
    • /
    • 1997
  • 종양은 아직 그 발생 원인과 기작이 정확히 밝혀져 있지 않으므로 정확한 정의를 내리는 것은 어려우나 일반적으로 종양이란 정상 세포가 갖고 있는 세포 분열의 특이성을 상실하여 일어나는 조직의 자율적인 과잉 성장을 말한다. 이와 같은 세포의 비정상적인 증식에 의한 종양을 임상 및 병리 형태학적으로 양서 종양과 악성종양으로 분류한다. 양성 종양을 일으키는 종양 세포는 정상 세포와 비슷할 뿐 아니라 그 주변 세포들과 확실한 경계를 이루고 있으며 증식도 느리며 다른 부위로의 전이가 없다. 이에 반해 악성종양은 일반적으로 증식도 빠르고 이형의 세포로서 주변의 조직으로 확산, 전이될 뿐만 아니라 최종적으로 숙주인 개체를 사망시킨다. 악성종양은 다시 상피 조직에서 유례한 암, 비상피 조직에서 유래된 육종, 백혈구에서 유래된 백혈병 등으로 구별하지만 그의 본질은 거의 같으며 모든 악성종양은 통속적으로 암이라고 불리운다. 종양의 발생원인으로 크게 3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화학물질, 바이러스 및 유전적 요인에 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최초의 발암물질로 알려진 benzopyrene에 의한 발암 등 연구에 의해 화학적 발암원들은 직접 발암 물질로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일단 체내에서 대사된 후 이들 대사 산물일 DNA 등에 작용함으로써 발암이 유도 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와 같이 화학적 변화를 거친 후에야 DNA에 영향을 미치는 것외에 다른 화학물질들은 또 다른 기작을 통해 암을 유발하는데 쥐의 피부에 benzopyrene을 한 번 처리하면 암을 유발하지 않으나 여기에 phorbol ester를 처리하면 높은 빈도로 암이 형성된다. 여기서 benzopyrene과 같이 세포의 DNA에 돌연변이를 일으키는 작용을 하는 발암물질을 발암개시제라 하고 phorbol ester처럼 그 자체로는 발암능이 없으나 발암개시제에 노출된 세포에 영향을 미쳐 발암능을 크게 강화시켜 주는 것을 발암촉진제라고 한다. 암은 세포증식 제어계에 DNA가 이상을 일으킨 현상을 말하는 데 이와 같은 DNA의 변형된 유전정보에 의해 암과 관련된 단백질을 합성하므로 이 DNA를 암유전자라 부르며 바이러스에서 유래된 것을 V-one 그리고 세포에서 유래된 것을 c-one이라 한다. 암유전자는 본래 암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증식제어 유전자로서 변이나 비정상으로 활성화 됨으로써 암을 유발시키므로 proto-oncogene이라 부른다. 또한 고등동물의 유전자 중에는 세포성장을 억제하는 유전자들이 있으며 이들은 세포의 성장 생존 분화를 조절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따라서 이들 유전자는 세포의 암변형을 억제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들 유전자의 이상으로 세포성장 억제기능이 상실되면 세포의 과잉 성장이 초래되면 결과적으로 암으로 유발하는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최근의 연구에 의하면 암세포에서 암억제 유전자의 이상과 암유전자의 활성화가 함께 발견 되면서 정상세포가 암으로 변형되는 과정에는 암억제 유전자의 이상과 암유전자의 활성화가 동시에 관여한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정상 세포가 암을 유발하기 위해서는 발암의 다단계설에서와 같이 여러 단계의 변과가 필요한데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정상세포의 염색체가 변화되어 정상세포들이 가지고 있는 세포분열의 특이성을 상실하고 증식이 빠르고 저항력이 강한 세포가 선택 되어지고 비정상 서ㅔ포으 과잉 분여러에 의해 종양이 형성되며 이어서 혈관의 신생을 촉진하는 맥관형성, 전이 등이 과정을 거쳐 신체의 다른 부위로 전이된다. 20세기 초까지는 암은 노화와 함께 자연발생적으로 일어나는 피할 수 없는 질병으로 여겨졌으며 그 치료도 조기에 발견된 암환자에게 외과적인 치료를 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 이었다. 그러나 현재에는 암환자의 80% 이상이 환경적 요인에 의해 암이 발생 된다고 믿어지고 있다. 과거 치료에 중점을 둔 것에서 점차 예방의 가능성과 그 방법의 모색에 관심을 갖게 되었으며 치료적인 면에서도 외과적 수술 이외에 방사선 치료, 항암제의 투여 등 약물요법, 면역요법의 이용 이외에 더 나아가 gene theraph 및 tumor vaccines 개발에 대한 관심도 증가되고 있다. 국제암연구협회에서는 인간에게 발암이 가능한 물질의 종류를 정기적으로 발표하고 있는데 지금까지 발암 가능성이 높다고 널리 알려진 위험요인을 크게 나누어 보면 다음과 같다. 흡연, 음주, 식이요인, 호르몬 및 기타 요인으로 약물, 자외선 등을 들 수 있는데 현재까지 이들 요인에 의한 발암 기작이 완전히 규명된 것은 아니지만 이들에 의한 발암의 확률이 높다는 것은 사실이므로 이 위험요인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암발생을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 암발생의 예방법으로는 암발생 자체를 예방하는 것과 이미 발생한 암환자를 조기 발견하고 치료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현재까지의 여러 연구 결과들을 보면 유전적인 요인을 제외한 대부분의 발암 위험인자들은 개개인의 생활습관과 밀접히 관련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1992년 대한 암협회에서는 '암 예방 14개 권장 사항'을 발표하여 국민 홍보활동을 하고 있는데 그 내용의 반 이상이 식생활 습관과 관련되어 있을 정도이므로 암예방에 있어서의 식품의 역할이 매우 크다 할 수 있다. 따라서 건전한 생활습관과 더불어 적절한 식품의 섭취는 암예방을 위한 기본이 될 것이다.

  • PDF

Expression of PTEN, Tumor Suppressor Protein, in Aggressive Fibromastosis (공격성 섬유종증에서 PTEN 종양 억제 인자의 발현)

  • Kim, Jung-Ryul
    • The Journal of the Korean bone and joint tumor society
    • /
    • v.9 no.1
    • /
    • pp.77-83
    • /
    • 2003
  • Aggressive fibromatosis is a rare soft tissue tumor with locally invasive and infiltrative characteristics. The mechanism of this invasive nature was not reported until now. Mutations or reduction of PTEN, tumor suppressor gene, in cancer tissues, have been found to be associated with invasiveness and metastatic properties of cancer cells. To know the pattern of expression of PTEN in aggressive fibromatosis, we analysed the expression of PTEN with immunohistochemical stain and immunoblotting. PTEN was homogeneously expressed in the normal musculoaponeurotic tissues, but absent or very faint in tissues of patients with aggressive fibromatosis as evidenced by western blot analysis and immunohistochemical examinations. Although the meaning of decreased PTEN expression in aggressive fibromatosis is not certain, it might be involved in the growth of the aggressive fibromatosis, and associated with phenotype of aggressive fibromatosis.

  • PDF

Clinical Significance of p53 Gene and nm23 Gene Expression in Esophageal Cancer (식도암 조직에시 p53 및 nm23 유전자 발현의 임상적 의의)

  • Park, Kuhn;Lee, Jong-Ho;Sa, Young-Jo;Jin, Ung;Kwon, Jong-Bum;Park, Jae-Gil;Lee, Sun-He;Kwak, Moon-Sub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v.37 no.3
    • /
    • pp.261-266
    • /
    • 2004
  • Although significant progress has been made in the surgical treatment of esophageal carcinoma as well as in the detection of early stage esophageal carcinoma by diagnostic techniques, the prognosis of the esophageal carcinoma patients remain poor. The p53 gene product is known to regulate cell growth and proliferation. And the nm23 gene was identified originally as an anti-metastatic influence whose expression was correlated inversely with tumor metastatic potential in murine melanoma cell lines. This experiment was intended to know the relationship among the p53 and nm23 gene expression versus clinicopahologic characteristics of the esophageal cancer. Total 40 cases were collected from patients who had undergone esophagectomy at St. Mary's Hospital,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Immunohistochemical stain for p53 mutant-type protein and nm23 protein was graded as <10% positive tumor cells: negative; 10∼30% positive tumor cells: + ; 30∼50% positive tumor cells: ++, and >50% positive tumor cells: +++. The tumor invasion was grades as none:- ; mild:+ ; moderate:++ ; severe: +++. Overexpression of p53 protein and nm23 was not associated with the survival and cliniocopathologic characteristics of the esophageal cancer. Moreover, the combination analysis of p53 and nm23 revealed that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the gene expression and the clinicopatholic characteristics of the esophageal cancer.

Identification of Tumor Suppressor Loci on the Long Arm of Chromosome 5 in Primary Small Cell Lung Cancers (원발성 소세포폐암에서 염색체 5번의 장완에 위치한 종양억제유전자좌의 확인)

  • Cho, Eun-Song;Kim, Ho-Guen;Cho, Chul-Ho;Chang, Joon;Chung, Kyung-Young;Kim, Young-Sam;Park, Jae-Min;Kim, Sung-Kyu;Kim, Se-Kyu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v.49 no.1
    • /
    • pp.49-59
    • /
    • 2000
  • Backgrounds : Recent cytogenetic studies indicated that long of the long arm of chromosome 5 is a frequent event in small cell lung canær (SCLC), suggesting the presence of a tumor suppressor gene in its place. To map the precise tumor-suppressor loci on the chromosome arm for further positional cloning efforts, we tested 15 primary SCLCs. Methods : The DNAs extracted from paraffin-embedded tissue blocks with primary tumor and corresponding control tissue were investigated. Nineteen polymorphic microsatellite markers located in the long arm of chromosome 5 were used in the microsatellite analysis. Results : We found that ten (66.7%) of 15 tumors exhibited LOH in at least one of tested microsatellite markers. Two (13%) of 10 tumors exhibiting LOH lost a larger area in chromosome 5q. LOH was observed in five common deleted regions at 5q. Among those areas, LOH between 5q34-qter and 5q35.2-35.3 was most frequent (75%). LOH was also observed in more than 50% of the tumors at four other regions, between 5q14-15 and 5q23-31, 5q31.1, 5q31.3-33.3, and 5q34-35. Three of 15 tumors exhibited shifted bands in at least one of the tested microsatellite markers. Shifted bands occurred in 2.5% (7 of 285) of the loci tested. Conclusion : Our data demonstrated that at least five tumor-suppressor loci exist in the long arm of chromosome 5 and that they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small cell lung cancer tumorigenesis.

  • PDF

p53 Mutations in Ewing's Sarcoma (유잉육종의 p53 돌연변이)

  • Bae, Dae-Kyung;Sun, Seung-Deok
    • The Journal of the Korean bone and joint tumor society
    • /
    • v.6 no.4
    • /
    • pp.143-151
    • /
    • 2000
  • Purpose : The p53 tumor suppressor gene is one of the most frequently altered genes in human malignancies. We try to explore the implication of p53 alteration in Ewing's sarcoma. Materials and Methods : We analyzed 35 paraffin blocks to explore the deletion and sequence alterations of p53. Results : Quantitative PCR analysis showed that 2 tumors showed a homozygous deletion of the gene. Mutational analysis of exons 4 to 9 of p53 by PCR-SSCP revealed that 3 tumors carry sequence alterations in exons 5 or 8, and DNA sequencing analysis identified missense point mutations. Conclusion : Taken together, our data demonstrate that p53 is genetically altered in a small fraction of Ewing's sarcoma.

  • PDF

Microarray Analysis of Gene Expression in RAW Cells Treated with Carthami Flos Herbal Acupuncture Solution (홍화약침액(紅花藥鍼液)이 RAW Cell 유전자발현(遺傳子發顯)에 미치는 영향(影響))

  • Kang, Seung-Beom;Kim, Jong-In;Kim, Yong-Seok;Kang, Sung-Keel;Koh, Hyung-Kyun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v.25 no.1
    • /
    • pp.139-154
    • /
    • 2008
  • 목적 : 홍화(紅花)는 활혈거어(活血祛瘀), 해독지통(解毒止痛)의 효능이 있어 관절염, 동맥경화(動脈硬化), 종양(腫瘍), 월경부조(月經不調), 뇌혈전(腦血栓)에 사용되어 왔다. 이에 홍화약침액(紅花藥鍼液)의 분자생물학적 효능 분석을 하고자 Lipopolysaccharide(LPS)로 염증을 유발한 RAW 264.7 cell의 유전자(遺傳子) 발현(發顯)에 미치는 영향을 Microarray를 통하여 관찰하였다. 방법 : RAW cell을 배양하고 홍화약침액(紅花藥鍼液)의 세포 독성을 확인한 후 (1) LPS, (2) 홍화약침액(紅花藥鍼液), (3) 홍화약침액(紅花藥鍼液)과 LPS를 처치했을 때의 유전자 발현양상을 microarray를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대조군에 비해 2배 이상 발현의 차이가 있는 경우를 유의한 것으로 보았다. 결과 : 8,170개의 유전자 중 (1) LPS를 처치하였을 경우 35개의 유전자에서 발현이 상승되었고, (2) 홍화약침액(紅花藥鍼液)을 처치하였을 경우 11개의 유전자에서 발현이 상승되고 53개의 유전자에서 발현이 억제되었으며, (3) 홍화약침액(紅花藥鍼液)과 LPS를 동시에 처치하였을 경우에는 47개의 유전자에서 발현이 상승되었고 11개의 유전자에서 발현이 억제되었다. LPS 자극으로 발현이 상승되었지만 홍화약침액(紅花藥鍼液)을 처치할 때 발현이 억제되는 유전자는 SUMO1/sentrin specific protease 7(SENP7), Serine(or cysteine) proteinase inhibitor, clade B(ovalbumin), member 7(SERPINB7), M-phase phosphoprotein, mpp8(HSMPP8), Glycogenin 2(GYG2), InaD-like(Drosophila)(INADL), Copine III(CPNE3), Loss of heterozygosity, 11, chromosomal region 2, gene A(LOH11CR2A), Chromosome 9 open reading frame 33(SHC3), NADH dehydrogenase(ubiquinone) 1 beta subcomplex, 2, 8kDa(NDUFB2)로 9개가 있었다. 요약 : 홍화약침액(紅花藥鍼液)이 LPS로 염증을 유발시킨 RAW 264.7 cell의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Microarray를 통해 분석하였다. 홍화약침액(紅花藥鍼液)이 LPS로 발현을 항진시킨 35개의 유전자 중 9개를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여 염증 치료 기전을 시사하는 유용한 자료를 얻을 수 있었으며 홍화약침액(紅花藥鍼液)이 발현을 항진시킨 유전자들을 통해 혈관생성과 종양억제 등 보다 넓은 범위에 대한 연구가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