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종양괴사인자-${\alpha}$

검색결과 54건 처리시간 0.02초

인삼 사포닌류가 종양괴사인자의 생성 및 T 세포 증식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Ginsenosides from Panax Ginseng on TNF-${\alpha}$ Production and T Cell Proliferation)

  • 조재열;박지수;유은숙;백경업;박명환;한병훈
    • 약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96-301
    • /
    • 1998
  •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insenosides from Panax ginseng on mitogenic responses in macrophages and splenocytes from murine, we examined the effects of representative protopanaxadiol and protopanaxatriol ginsenosides ($Rb_1,\;Rb_2,\;Re\;and\;Rg_1$) on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alpha}$) production in murine macrophage cell line (RAW264.7 cells) stimulated by lipopolysaccharide (LPS) and T cell proliferation in splenocytes stimulated by concanavalin A (Con A). Among the ginsenosides tested, protopanaxadiol ginsenosides ($Rb_1\;and\;Rb_2$) significantly inhibited TNF-${\alpha}$ production in a dose-dependent manner. However, protoppanaxatriol ginsenosides (Re and $Rg_1$) showed little inhibitory activity. The molar concentrations of $Rb_1\;and\;Rb_2$ producing 50% inhibition ($IC_{50}$) of TNF-${\alpha}$ production were $55.8{\mu}g/ml\;(48.0{\mu}M)\;and\;31.8{\mu}g/ml (27.9{\mu}M)$, respectively. As a positive control, prednisolone also exhibited inhibitory activity with an $IC_{50}$ value of $21.7{\mu}M$. In T cell proliferation, $Rg_1$, was not effective but $Rb_1$ and Re or $Rb_2$ significantly increased or inhibited at high concentration, 75 and $100{\mu}g/ml$. In contrast, prednisolone showed potent inhibitory activity with an $IC_{50}$ value of 6.1nM. These results suggest that ginsenosides may take part in the mitogen-induced signaling pathway for TNF-${\alpha}$ production and T cell proliferation from macrophages and splenocytes.

  • PDF

생쥐 대식세포의 감염균 치사활성과 종양 치사활성에 미치는 Polyamine 생합성 억제의 영향 (Effect of Polyamine Biosynthesis InhibItion on the Microbicidai and Jumoriddal Activities in Mouse Macrophage)

  • 이준백;정노팔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73-180
    • /
    • 1991
  • 생쥐 대식세포의 감염균 치사활성과 종양 치사활성에 미치는 Polyamine 생합성 억제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ornithine의 억제제인 $\alpha$ -Difluoromethylomithine (DFMO)과 S-adenosylmethionine decarboxylase의 억제제인 methylhlyoxal bis(guanylhydrazone)(MGBG)을 in vitro 또는 in vivo에서 처리하였다. 대시세포의 감염균 치사활성의 지표로서 화학발광(chemiluminescence)과 nitroblue tetrazolium(NBT)의 환원정도를 측정한 결과, 염증유발물질인 thioglycollate(TG)와 세균이 세포내 독소인 liopopolysac- charide(LPS)를 주사하였거나 BCG를 감염시킨 후 측정된 화학 발광의 수준은 TG, LPS, BCG의 순으로 증가하였다. 그러나 이런 화학발생의 수준은 DFMO를 경구투여 하였을 때 전체적으로 감소하였고, 이 세포에 의한 NBT 환원정도 또한 DFMO와 MGBG의 in vitro 처리에 의하여 감소되었다. 한편 BDG로 활성화시킨 대식세포의 종양 괴사인자분비에 의한 종양치사 및 종양세포와의 부착에 의한 직접적 치사정도를 측정한 결과, polyamine생합성억제제의 처리농도를 증가시킴에 따라 그 정도는 감소하였지만, 외부에서 polyamine인 putrescene을 처리 하였을 때 회복되었다. 위의 결과로부터 대식세포내의 polyamine 생합성은 이 세포의 최적 활성화와 과정에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종양괴사인자로 유도된 기도 뮤신 생성, 뮤신 유전자 발현 및 NF-${\kappa}B$ p65의 핵으로의 이동에 대한 크리신의 영향 (Effect of Chrysin on Tumor Necrosis Factor-${\alpha}$-induced Mucin Production, Mucin Gene Expression and Translocation of Nuclear Factor-kappa B in Cultured Airway Epithelial Cells)

  • 신현대;이현재;무함마드 아사두자만 식더;류지호;박수현;홍장희;석정호;이충재
    • 약학회지
    • /
    • 제56권3호
    • /
    • pp.198-203
    • /
    • 2012
  • Chrysin and chlorogenic acid are natural products derived from Scutellariae Radix and Lonicerae Flos, respectively. We examined whether chrysin and chlorogenic acid affect airway mucin production induced by TNF-${\alpha}$ in NCI-H292 cells. Cells were pretreated with each agent for 30 min and then stimulated with TNF-${\alpha}$ for 24 h. Of the two compounds, chrysin suppressed airway MUC5AC mucin production. Also, chrysin suppressed MUC5AC mucin gene expression and translocation of NF-${\kappa}B$ p65 induced by TNF-${\alpha}$. This result suggests that chrysin can regulate the production and gene expression of mucin induced by TNF-${\alpha}$ through the inactivation of NF-${\kappa}B$ in airway epithelial cells.

배양된 기도 상피세포에서 종양괴사인자에 의한 $I{\kappa}B$의 분해와 NF-${\kappa}B$ p65의 핵으로의 이동에 미치는 실리비닌과 레스베라트롤의 영향 (Effects of Silibinin and Resveratrol on Degradation of $I{\kappa}B$ and Translocation of NF-${\kappa}B$ p65 Induced by Tumor Necrosis Factor-${\alpha}$ in Cultured Airway Epithelial Cells)

  • 박수현;이현재;류지호;이수열;신현대;홍장희;석정호;이충재
    • 약학회지
    • /
    • 제58권1호
    • /
    • pp.1-6
    • /
    • 2014
  • We examined whether silibinin and resveratrol affect airway mucin production, degradation of $I{\kappa}B$ and translocation of NF-${\kappa}B$ p65 induced by TNF-${\alpha}$ in NCI-H292 cells. Cells were pretreated with each agent for 30 min and then stimulated with TNF-${\alpha}$ for 24 h or the indicated periods. The two compounds suppressed TNF-${\alpha}$-induced airway mucin production, degradation of $I{\kappa}B$ and translocation of NF-${\kappa}B$ p65. This result suggests that silibinin and resveratrol can regulate the production of mucin induced by TNF-${\alpha}$ through the inactivation of NF-${\kappa}B$ pathway in airway epithelial cells.

종양미세환경에서 이질적인 사이토카인에 의한 PN-MES 뇌종양줄기세포 전이 조절 (Different Cytokine Dependency of Proneural to Mesenchymal Glioma Stem Cell Transition in Tumor Microenvironments)

  • 이선용;김형기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530-536
    • /
    • 2019
  • 교모세포종은 형질 전환된 신경 교세포로부터 유래한 악성 종양이다. 교모세포종의 치료는 외과적 수술을 포함한 약물 및 방사선 치료를 통해 진행된다. 그러나 이러한 치료 과정이 환자의 예후에 크게 기여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교모세포종 치료의 어려움 중 하나로 뇌종양줄기세포의 존재를 들 수 있다. 주요하게 proneural (PN) 아형과 mesenchymal (MES) 아형으로 나누어지는 뇌종양줄기세포는 교모세포종의 발달, 유지 및 항암 치료 후 재발의 원인이 되는 암세포로 이해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PN 아형 뇌종양줄기세포들이 특정 사이토카인에 선택적으로 MES 아형으로 전이가 될 수 있다는 것에 중점을 두고 실험을 진행하였다. PN 아형 뇌종양줄기세포 중 GSC11 세포는 $TNF-{\alpha}$ 사이토카인에 의해, 그리고 GSC23 세포는 $TGF-{\beta}1$ 사이토카인에 노출이 될 때 MES 아형 뇌종양줄기세포의 표지 인자인 CD44의 발현 증가가 관찰되었다. 또한, Ivy Glioblastoma Atlas Project (Ivy GAP) 데이터 베이스를 통해, $TNF-{\alpha}$$TGF-{\beta}1$은 종양미세환경을 구성하는 요소 중 각각 괴사 부위와 미세혈관 주위에서 높은 발현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PN 아형의 뇌종양줄기세포가 특정 종양미세환경에서 조절되는 다양한 종류의 사이토카인 신호에 의해 MES 아형으로의 전이가 결정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노인의 저근육형 비만에 따른 만성염증 억제를 위한 후생유전학적 영양에 관한 고찰 (A review of epigenetic nutrients on chronic inflammation associated with sarcopenic obesity in the elderly)

  • 노재경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81-188
    • /
    • 2013
  • 노인에게서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는 저근육형 비만은 근육감소를 동반한 체지방의 증가로 신체상의 뚜렷한 체성분의 변화를 야기 시킨다. 이때 골감소증을 동반하여 신체기능의 감소 및 골절장애 그리고 대사성 관련 질환의 위험도가 올라가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노화로 인한 체성분의 변화는 단순한 저근육형일 경우와 비만일 때 보다 급격히 증가된 복부내장 지방조직에서 분비되는 염증성 사이토카인, C-반응성 단백질(CRP), 인터루킨(IL)-6, IL-8 및 종양 괴사 인자(TNF-${\alpha}$)들이 단백질 대사를 저해하여 근육량의 감소를 더욱 촉진시키며, 염증관련 대사질환의 유병률에 중요한 요인이다. 본 연구에서는 DNA 메틸화가 당뇨병, 심혈관질환, 암과 같은 만성염증성 질환에 관계하고 있다는 최근 연구 결과를 기초로 하여 항염증 영양소와 생리활성을 갖는 식품인자들의 충분한 섭취가 염증조절에 중요하게 기여할 것으로 생각되며, 또한 염증성 질환의 주요 표식자인 DNA 메틸화와 히스톤 변형을 유발하는 효소의 활성 또는 비 암호화된 RNA의 발현을 조절함으로써 근육량 증가와 체지방 감소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을 살펴보았다. 따라서 최근 새롭게 인식되는 후생유전학적 연구의 중심에 있는 항염증 영양소의 효과와 체성분 변화와의 긍정적 관계를 중심으로 저근육형 비만의 예방 및 인구고령화에 건강한 노화를 위한 효과적인 방법을 제시하였다.

백혈병세포에서 종양괴사인자에 의한 PTEN 발현증가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alpha})$ Induces PTEN Expression in HL-60 Cells)

  • 이성호;박철홍;김병수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81-188
    • /
    • 2006
  • Tumor necrosis ftctor-alpha$(TNF-{\alpha})$는 세포의 고사, 염증 및 면역 등의 다양한 생물학적 기능에 대한 역할을 한다. PTEN 역시 세포의 성장과 증식 그리고 세포의 유주와 분화 등의 세포학적인 다양한 기능을 갖는다 그러므로 이들 두 분자들 사이의 상호관계가 있을 것으로 제안되고 있으며, $TNF-{\alpha}$는 사람의 대장세포 주인 HT-29에서 nuclear factor-kappa $B(NF-{\kappa}B)$ 경로를 통해 PTEN downregulate 기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저자 등은 본 연구에서 HL-60 cells에서 $TNF-{\alpha}$$NF-{\kappa}B$를 통해 PTEN를 upregulates하는 기존의 반대 현상을 확인하였다. $TNF-{\alpha}$는 HL-60 cells에서 time과 dose의존성 방법으로 PTEN 발현을 증가시켰지만 반응은 p65 anisense oligonucleotide 또는 pyrrolidine dithiocarbamate(PDTC)으로 $NF-{\kappa}B$를 분해함으로 파괴되었다. 따라서 저자 등은 $TNF-{\alpha}$$NF-{\kappa}B$경로를 활성화시킴을 확인하였고, $TNF-{\alpha}$를 처리 할 경우 핵에 대하여 p65 전위에 의해 $TNF-{\alpha}$가 활성화됨을 증명하였다. 결국 HL-60세포에서 $NF-{\kappa}B$의 활성화에 따라 PTEN 발현의 upregulation이 유도되는 것으로 결론지었다.

방기 전탕액의 비만세포 매개성 아나필락시반응 및 종양괴사인자알파 생성 억제효과 (Inhibitory Effect of Mast Cell-Mediated Anaphylactic Reactions and Tumor Necrosis $Factor-{\alpha}$ Production by Aqueous Extract of Sinomenium acutum stem)

  • 김동혁;송봉근;이언정;김형균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52-59
    • /
    • 2000
  • Objectives: The root and stem of Sinomenium acutum has been used for treatment of arthritis and neuralgia in oriental medicine. To find new substances of the anti-anaphylactic drugs, we studied Sinomenium acutum. Method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is plant, the effect on anaphylactic reaction, plasma histamine level, and tumor necrosis $factor-{\alpha}-(TNF-{\alpha})$ production were measured after the aqueous extract of Sinomenium acutum stem (SSAE) was administrated to mice and rats. Results: The SSAE (0.1 to 1000 mg/kg) dose-dependently inhibited systemic anaphylactic reaction induced by compound 48/80 in mice. Especially, SSAE reduced compound 48/80-induced anaphylactic reaction with 50% at the dose of 1000 mg/kg. SSAE (100 to 1000 mg/kg) also significantly inhibited local anaphylactic reaction activated by anti-dinitrophenyl (DNP) IgE. When mice were pretreated with SSAE at a concentration ranging from 0.1 to 1000 mg/kg, the plasma histamine levels were reduced in a dose-dependent manner. SSAE (1 to 1000 g/ml) dose-dependently inhibited histamine release from the rat peritoneal mast cells (RPMCs) activated by compound 48/80 or anti-DNP IgE. The level of cAMP in RPMCs, when SSAE was added, increased compared with that of a normal control. In addition, SSAE (0.1 g/ml) had a significant inhibitory effect on anti-DNP IgE-induced $TNF-{\alpha}$ production. Conclusion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SAE inhibits mast cell-mediated anaphylactic reactions and $TNF-{\alpha}$ production from mast cells.

  • PDF

담배 니코틴에 의한 사람 태아 성상세포에서 종양괴사인자(TNF-α)의 발현 억제작용 (The Inhibitory Effect of Nicotine on TNF-α Expression in Human Fetal Astrocytes)

  • 손일홍;이성익;양현덕;한선정;석승한;이재규;김재현;박주영;문형인;이성수
    • 대한화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251-257
    • /
    • 2007
  • 니코틴은 사람 대식세포에서 interleukin 2 (IL-2)와 종양괴사인자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α) 가 생성되는 것을 억제하는데, 이러한 억제작용은 cytokine 유전자 발현 중 전사단계에서 전사인자의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일어난다. 이러한 니코틴의 면역반응 억제작용은 아프타성궤양 및 궤양성대장염, 알레르기성폐 포염, 건초열 등에서도 보고되고 있다. 만일 중추신경계에서도 위와 같은 니코틴의 면역억제 작용이 일어난 다면 다발성경화증과 같은 면역반응 매개질환의 치료에 새로운 전기가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 는 중추신경계의 여러 면역반응 매개질환의 병태생리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자, 이미 알려진 니코틴의 cytokine 생성억제가 사람 중추신경계의 성상세포에서도 일어남을 확인하고 그 억제기전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 하여 사람 태아 성상세포에 다양한 농도의 니코틴과 IL-1β를 처리한 다음 TNF-α mRNA의 발현 정도와 NF- κB의 활성을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사람 태아 성상세포를 0.1-20 μg/ml의 니코틴으로 처리해 본 결과 10 μg/ml 이상의 농도에서 세포독성능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2. 사람 태아 성상세포에 IL- 1β를 처리하면 2시간만에 TNF-α mRNA가 최대로 발현되었으며 그 이후로는 점진적으로 감소하였다. 3. 사 람 태아 성상세포를 1 및 0.1 μg/ml의 니코틴으로 전처리한 후 IL-1β로 자극한 군에서는 IL-1β 단독 처리군에 비해 TNF-α mRNA의 발현이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1 μg/ml의 니코틴을 처리한 경우에는 8시간 이후부터 TNF-α mRNA의 발현이 현저하게 감소하여 12시간에 최대로 감소하였다. 또한 0.1 μg/ml의 니코틴을 처리한 군에서는 24시간에 가장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4. 성상세포에 IL-1β로 처리한 군에서는 강력한 NF-κB의 활성 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니코틴을 전처리하고 IL-1β 자극한 군에서는 NF-B의 활성이 감소하였다. 결론적으로 일정농도 이상의 니코틴은 세포독성효과를 나타내나 적정한 농도와 시간 경과후 니코틴은 사람 태아 성상세포에서 IL-1β에 의해 유도되는 TNF-α의 발현 감소를 유도하며, 이는 NF-κB의 활성을 감소시킴으로써 나타난다고 생각된다.

The Difference in Bone metabolism markers and Adipocytokine according to the applying Modern Dance with Osteopenia elderly women

  • Kim, Chan-Yang;Lee, Jin-Wook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5호
    • /
    • pp.147-158
    • /
    • 2020
  • 본 연구는 골감소증 노인 여성들을 대상으로 모던댄스 적용에 따른 골대사 지표 및 아디포사이토카인의 변화를 분석하여 골다공증 예방을 위한 효과적인 운동 방법을 제안하는데 있다. 연구의 대상자는 T-score -1.0 ~ -2.5사이 여성노인을 선정하였고, 모던댄스 그룹(n=10), 컨트롤 그룹(n=10)으로 무선 배정했다. 모던댄스는 주3회, 60분씩 12주간 실시하였고 자료 분석은 SPSS를 이용해 이원반복분산분석(two-way repeated measures ANOVA)으로 분석했다. 본 연구 결과 모던댄스 그룹에서 osteocalcin(p<.01), T-score(p<.05)가 유의하게 증가했다. Adiponectin(p<.05)은 모던댄스 그룹에서 유의하게 증가했고, TNF-α(p<.05), IL-6(p<.05)는 모두 모던댄스 그룹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모던댄스는 골감소증 노인여성의 골다공증 예방을 위해 효과적인 전략이 될 것으로 사료되며 더불어 신진대사 및 기능 향상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