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종간잡종

검색결과 127건 처리시간 0.036초

한국산 살모사속(뱀과) 2종의 지리적 변이 및 종간 잡종 (Geographic Variation and Interspecific Hybridization between Two Species of the Genus Agkistrodon (Crotalidae) in Korea)

  • 백남극;양서영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5권1호
    • /
    • pp.77-88
    • /
    • 1989
  • 한국산 살모사속 (Agkistrodom) 2종의 유전적, 형태적 및 종간잡종 형성 유.무를 구명하기 위하여 남한의 7개 지역에서 147개체를 채집하여 전기영동 및 형태형질 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15개의 성소 및 단백질에서 19개의 유전자를 검출하여 유전적 변이를 조사한 바 5개 유전자(26.3%)는 종간 및 집단간에 전혀 차이가 없었고 나머지 14개의 유전자중 4개 유전자는 매우 높은 률의 유전적 변이를 나타내었다. 2. 각 집단의 유전적 변이정도를 산출한 결과 A. b. brevicaudus는 평균 A= 1.55, P=42.1%, HD=0.096 및 HG=0.1l5였고 A .ussuriensis는 A= 1.45, P=31.6%, HD=0.1l7 및 HG=0.122로서 타 파충류에 비하여 높은 유전적 변이를 나타냈으며 이는 이들 종의 집단이 크고 안정된 상태에 있다고 사료된다. 3. 형태적으로 2종의 중간형으로 여겨졌던 제주집단은 강릉집단의 A .ussuriensis와 동일종으로 확인되었으며 종간 잡종은 전혀 찾아볼 수 없었다. 4. 2종간의 유전적 근록치는 S=0.662로서 이들은 약 180만년전에 분화되었으리라 추산된다.

  • PDF

고추의 친품종 및 품종간 잡종의 과실수량과 형태적 특성 (Fruit Yield and Morphological Characters of Parental Cultivars and Intervarietal Hybrids of Capsicum annuum L.)

  • 조만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219-226
    • /
    • 1996
  • 고수량. 고품질의 고추 신품종을 육성하기 위해 피만의 'California Wonder'와 일본재래종 4품종, 이들의 F$_{1}$ 잡종 12조합 그리고 한국의 F_{1} 3품종을 공시하고, 과실수량과 형태적 특성에 관하여 검토했다. 그 결과 'California Wonder'와 일본재래종간 교잡에 의해 얻어진 F$_{1}$ 잡종은 친품종보다 3일 먼저 개화했다. F$_{1}$ 잡종은 특히 'California Wonder'가 편친이었을 때 친품종보다 고수량 이었다. 또한 일과중도 증가하는 경향 이었다. F$_{1}$ 잡종중에서 'California Wonder' 와 'Fushimi Amanaga' 간 잡종이 가장 고수량 이었다. 자실수와 종자수는 'California Wonder'가 편친이었을 때 친품종보다 많았다. 초장은 친품종보다 F$_{1}$ 잡종이 큰 경향 이었다.

  • PDF

두 Lotus종과 그들 교잡종간의 유식물 활력 비교 (Seeding Vigro of Two Lotus Entries and Their Reciprocal F Hybrids)

  • Sam Nam Hur;C. J. Nelson;P. R. Beuselinck;J. H. Coutts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88-294
    • /
    • 1994
  • Birdsfoot trefoil(MO-20)과 tetraploid narrowleaf trefoil(PI302921)및 이들 종간 잡종의 유식물 확력을 건물축적량 광합성율 생장분석 등을 통하여 비교검토하였다. 일반적으로 종간 잡종의 표현형은 그 들 부모의 중간 특성을 나타내었으며, 암호흡, 광합성 및 휴식물생육은 이 들 모계 계통인 MO-20 birdsfoot trefoil과 유사하였다. 중간잡종은 birdsfoot trefoil 보다 빨리 자랐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또한 교잡종은 narrowleaf trefoil보다 유식물 활력이 더 우수하였는데 그것은 낮은 암호흡율과 높은 상대성장율에 기인되었다. 앞으로 birdsfoot trefoil의 유식물 활력의 유전적인 개량은 새로운 분야로서 개량의 여지가 많음을 보여 주었다.

  • PDF

Drosophila melanogaster complex내의 유전적 유연관계에 관한 연구 (Genetic Relationship within the melanogaster Complex of the Genus Drosophila)

  • 최영현;이원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69-75
    • /
    • 1999
  • Genus Drosophila에서 melanogaster complex내의 4종에 대한 유연관계 해석을 위하여, insemination test에 의한 premating isolation, 잡종형성 여부에 의한 postmating isolation, 형태 형성에 관한 영향 및 종 분화 관련 유전자의 특징 등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종내 교배에서는 insemination rate는 96∼99% 정도였고 종간 교배에서는 정역 교배간에 심한 변이를 보였으며 D. melanogaster 암컷은 타종 수컷과의 교배에서 전반적 성공률이 높으며 D. sechellia 수컷은 타종 암컷과의 교배에서 비교적 높은 교배 성공률을 보였다. 종간 잡종 형성에서는 특히 simulans, mauritiana 및 sechellia 사이에서 임성이 완전한 암컷과 불임의 수컷이 형성되어 이들 3종이 더욱 근연임을 시사하고 있다. sex comb과 genital arch에 대한 잡종의 형태 형성에 관한 영향은 대부분이 polygene에 의하여 조절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D. melanogaster와 simulans에 있어서 분화 관련 유전자로 추정되는 잡종의 온도 감수적 생존도는 주로 simu-lans의 X 염색체상의 유전자에 의하여 조절되고 있음이 분석되었다.

  • PDF

오리의 인공수정

  • 박용우
    • 오리마을
    • /
    • 통권56호
    • /
    • pp.54-56
    • /
    • 2008
  • 오리 종란을 수집하기 위해서 이용하는 가장 보편적인 사육 방법은 암.수를 일정한 비율로 합사하는 것으로 자연교미를 이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우수한 종오리나 특정 합성종오리(종간 혹은 속간 잡종)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인위적인 인공수정기술을 이용하여 계획교배를 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서 선발된 오리들은 케이지 사육을 하여야 한다. 오리 인공수정기술이 닭의 인공수정기술과는 숫오리의 정액 채취기술에서만 차이가 있고 다른 부분에서는 매우 유사하므로 정액채취부분을 중심으로 설명을 하고자 한다.

  • PDF

수단그라스, 수단그라스잡종 및 수수-수단그라스잡종의 사초생산성 V. 수단그라스계 장려품종의 비교 (Performance of Sudangrass, Sudangrass Hybrids and Sorghum-Sudangrass Hybrids for Forage Production V. Comparison of recommended cultivars of sorghum-sudangrass hybrids)

  • 김동암;김종림;권찬호;김원호;김종관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258-263
    • /
    • 1991
  • 현재 축산업협동조합중앙회가 권장하는 수단그라스계 잡종의 장려품종은 10종이 있으나 이들은 동일한 환경조건하에서 함께 평가된 일이 없다. 따라서 본 시험은 수원소재 서울대 농대의 사초시험포장에서 2년간에 걸쳐 수단그라스계 잡종의 축협장려품종에 대한 사초수량과 사료가치를 비교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10종의 공시품종중 G83F 및 NC$^{+}$855는 조생품종으로 분류되었으며 Pioneer 988 및 Sordan 79는 다른품종에 비하여 잎마른병에 강하였다. Jumbo, Sordan79 및 SX-17 품종은 도복이 많이 되었다. 사초의 건물수량에 있어서는 공시품종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Pioneer 988, TE-Haygrazer 및 G83F는 1989년에 다른 품종보다 수량이 좀 높았고 NC$^{+}$855 및 Pioneer 988은 1990년에 높았다. 1990년에 조사된 공시품종간의 CP, ADF, NDF 및 RFV에 있어서는 큰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3회 수확시 수단그라스계 잡종의 ADF, NDF 및 RFV는 1회 및 2회 수확시보다 높았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축협장려품종인 10종의 수단그라스계 잡종간에는 사초수량에 있어서 차이가 없다고 할 수 있다

  • PDF

팥나방(Matsumuraeses phaseoli)과 어리팥나방(M. falcana)의 종간 교잡과 접합후 생식격리 (Interspecific Hybridization between Matsumuraeses phaseoli and M. falcana (Lepidoptera: Tortricidae) and Postzygotic Reproductive Isolation)

  • 정진교;박창규;문중경;김은영;조점래;서보윤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8권4호
    • /
    • pp.305-311
    • /
    • 2019
  • 동소동속종인 팥나방(Matsumuraeses phaseoli)과 어리팥나방(M. falcana)(나비목: 잎말이나방과) 사이에 교잡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서 실험실에서 인위적으로 두 종을 교잡시켰다. 두 종의 암수를 교차하여 교미시켰을 때, F1 잡종세대가 발생하였다. 두 잡종세대 집단을 집단 내 및 집단 간 암수를 교차하여 교미시킨 경우들에서, 팥나방 암컷과 어리팥나방 수컷이 교잡되어 생성된 F1 잡종세대 집단(H집단)의 암컷이 같은 집단의 수컷 혹은 다른 집단의 수컷과 교미되었을 때, F2 후대를 거의 생성하지 못했다. 다른 집단으로 만들어진 F2 세대는 집단 내 교미에서 F3 세대를 생성시켰다. F1 잡종세대 집단 암수와 팥나방 혹은 어리팥나방 암수를 각각 교차하여 교미시킨 역교잡 8개 집단 중에서도 H집단의 암컷과 짝지어진 어미세대 수컷 집단 2개는 전혀 산란하지 못했다. 후대가 생성된 다른 6개 집단은 모두 집단 내 암수 교미에서 역교잡 F2 세대를 생성하였다. 이 결과는 팥나방 암컷과 어리팥나방 수컷이 교미하였을 경우 F1 후대잡종을 생성할 수 있으나, 이 F1 후대잡종 암컷은 불임이 되는 것을 나타냈다. 결과적으로 두 종 사이에 접합후 생식단계에서 부분적인 생식격리가 발생할 수 있는 것을 나타냈다.

나라꽃 무궁화 품종중 가로수용, 분화용 및 지피용으로 조경적 활용도가 높은 품종 선정 (Selection of Cultivars with Vigorous Growth Habit for Street Tree, Dwarf Tree Form for Pot Plants, and Spreading Branches for Groundcovers in the Recently Developed Cultivars of Rose of Sharon (Hibiscus spp.) for Landscape Uses)

  • 강호철;김동엽;하유미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87-99
    • /
    • 2016
  • 본 연구는 조경수용 무궁화 우수품종 보급을 위한 유전자원 수집과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최근 국내외에서 육성된 127품종의 1년생 접목묘를 이용하여 2014년부터 2015년까지 2년 동안 생육 및 형태적 특성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품종 중 키가 큰 가로수 및 독립수용 품종, 왜성형 분화 및 지피용 품종 등을 선정하여 무궁화를 조경수로 활용도를 높이는데 기여하고자 하였으며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최근 국내외에서 육성된 나라꽃 무궁화 품종들의 생육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먼저 접목 1년생 수고를 조사한 결과 20~120cm까지 다양하게 나타났다. 무궁화 '주몽'과 '홍가로수', 종간교잡종 Hibiscus hybrid 'Daewangchun', 'Daeil', 'Lohengrin', 'Jina', 'Yeonam' 등이 키가 100cm 이상으로 가장 큰 품종으로 조사되었다. 최근 국내외에서 육성된 무궁화 127품종 중 조경적 활용가치가 높은 교목성 가로수로 이용할 수 있는 품종은 무궁화 '주몽'과 '홍가로수', 종간교잡종 Hibiscus hybrid 'Daewangchun', Hibiscus hybrid 'Daeil', Hibiscus hybrid 'Lohengrin', Hibiscus hybrid 'Jina', Hibiscus hybrid 'Yeonam' 등이 있었다. 분화 및 분재용으로 이용할 수 있는 왜성형 품종으로는 'Red Heart', '백령도', 종간교잡종 '진선', '꼬마', '여천', '야음' 등이 있었으며, 키가 30cm 미만의 아주 작은 품종으로는 '안동', '청조', 'Lil Kim' 등이 포함되었다. 수고가 작은 왜성형으로 가지의 생장이 아래로 향하는 '탐라', 'Melrose', '비단', '하이리', '별이', '병화', '미백', '한양', '청암', 'Lil Kim Violet', '종무', '은하수', 종간교잡종 Hibiscus hybrid 'Saehanseo'와 Hibiscus hybrid 'Yousoon'은 화단 및 지피용 소재로 이용가치가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