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졸음운전

Search Result 97, Processing Time 0.042 seconds

A Study on Preventing Drowsy Driving with Kinect (Kinect를 이용한 졸음운전 방지에 대한 연구)

  • Han, Ji Sub;Nasridinov, Aziz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8.05a
    • /
    • pp.529-531
    • /
    • 2018
  • 본 논문은 끊이질 않는 졸음운전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연구 내용이다. Kinect 의 움직임 감지 기반 센서를 활용하여 센서를 통하여 얻은 수치를 코드화 하여 프로그램을 구현한다. 졸음운전이라는 안전사고는 사전에 방지가 가능한 안전사고로서 운전자들이 졸음에 빠졌을 때 이를 스스로 인지하여 운전자에게 청각적 신호를 주어 운전자의 졸음운전을 방지하여 안전운전을 지향한다. 이는 졸음운전이 잦은 장거리 운전자나 화물트럭 기사들, 습관적으로 졸음운전을 하는 운전자들에게 효과적인 시스템이다.

Drowsiness detection and prevention with RaspberryPi (라즈베리파이를 이용한 졸음운전 감지 및 예방)

  • Seo, Ju-Won;Roh, Wan-Tae;Lee, Sang-Rak;Jeong, Rae-Hoon;Kim, Woongsup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0.11a
    • /
    • pp.220-223
    • /
    • 2020
  • 한국도로공사가 제공하는 자료에 따르면 운전자 4명 중 1명은 졸음운전을 경험해 보았다고 말한다. 또한, 졸음운전 사고의 치사율은 건당 4명으로 전체 교통사고 치사율의 2배이며, 그 위험성은 음주운전보다 크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졸음운전 감지 시스템이 국내외에서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졸음운전 감지 시스템과 더불어 졸음운전을 예방하는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Drowsy - driving Prevention Techniques by BP Algorithm Using ElectroOculomoorGraphy and HRV (HRV와 안구활동(EOG) 신호의 BP알고리즘 이용을 통한 졸음운전 방지 기법 설계)

  • Park, Won-Sik;Choi, Jin-Woo;Kim, Tae-Min;Yang, Young-Kyu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6a
    • /
    • pp.194-199
    • /
    • 2007
  • 최근 차량증가에 따라 교통사고가 날로 증가하고 있고, 안전운전을 위한 보조장치 개발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특히 교통사고 원인중 운전자의 졸음으로 인한 사고가 30%에 달하고 있어 졸음운전 예방장치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졸음운전예방을 위한 효율적인 졸음경보 장치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HRV와 안구활동 신호를 BP(역전파알고리즘)을 이용 보다 더 정확한 측정 및 판단을 행하여 운전자에게 음성경고를 보내주는 방식이다. 제안된 방식은 기존의 연구된 피부전기활동, 영상처리를 이용한 졸음운전 감지 시스템, 심박변동신호 분석 방법보다 훨씬 효율적인 졸음경보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Study for Drowsy Driving Detection & Prevention System (졸음운전 감지 및 방지 시스템 연구)

  • Ahn, Byeong-tae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 /
    • v.8 no.3
    • /
    • pp.193-198
    • /
    • 2018
  • Recently, the casualties of automobile traffic accidents are rapidly increasing, and serious accidents involving serious injury and death are increasing more than those of ordinary people. More than 70% of major accidents occur in drowsy driving. Therefore, in this paper, we studied the drowsiness prevention system to prevent large-scale disasters of traffic accidents. In this paper, we propose a real-time flicker recognition method for drowsy driving detection system and drowsy recognition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carbon dioxide. The drowsy driving detection system applied the existing image detection and the deep running, and the carbon dioxide detection was developed based on the IoT. The drowsy prevention system using both of these techniques improved the accuracy compared to the existing products.

AI drowsiness prevention application based on brain waves using deep learning (딥러닝을 이용한 뇌파 기반 AI 졸음 예방 어플리케이션)

  • Kang, Yeon-Jae;Kim, Da-Young;Choi, Yu-Ri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1.11a
    • /
    • pp.1242-1244
    • /
    • 2021
  • 한국교통안전공단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교통사고로 사망한 원인의 70%가 졸음운전이다. 최근에는 졸음운전을 예방하기 위해 눈 깜박임 인식 등의 운전자의 생체 데이터를 활용한 방법들이 대두되고 있다. 특히 운전자의 졸음운전 판단 기술로 뇌파를 이용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뇌파를 사용하여 효과적으로 졸음 상태를 판단할 수 있는 딥러닝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졸음 상태인 경우, 아닌 경우인 2가지의 운전자 상태를 85%의 정확도로 판단한다. 또한 제안한 알고리즘을 활용해 졸음운전 감지 시스템과 더불어 졸음운전 예방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심전도를 통한 졸음운전 예측 타당성 검증

  • Hwang, Gyeong-In;Choe, Eun-Ju;Kim, Seul;Kim, Hyeon-Jeong;Eom, Ji-Eun;Lee, Jae-Hui;Lee, Gye-Hun;Mun, Gwang-Su;O, Se-Jin
    • Proceedings of the Safety Management and Science Conference
    • /
    • 2013.11a
    • /
    • pp.561-567
    • /
    • 2013
  • 본 연구는 졸음운전의 지표로 예상되는 심전도의 LF/HF 비율이 효과적으로 졸음운전을 예측하는지를 검증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는 총 31명이 참가하였으며, 가상 운전 시뮬레이션 과제를 활용하여 진행하였다. 수면박탈이 운전 중 LF/HF 비율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충분한 수면을 취한 조건과 수면이 박탈된 조건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충분한 수면을 취한 조건에서 참가자는 전날 6시간 이상의 수면을 취한 후 30분동안 진행되는 가상 운전과제를 수행하였다. 수면이 박탈된 조건에서는 실험에 참여하기 전날에 참가자가 5시간 이하의 수면을 취하도록 유도한 후 60분 동안 진행되는 가상 운전 과제에 참여하도록 하였다. 참가자는 두 조건 모두에서 심전도를 측정할 수 있는 장비를 착용한 상태로 가상 운전 과제를 수행하였다. LF/HF 비율과 지각된 졸음운전과의 관계성을 확인하기 위해서 참가자가 가상 운전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10분간격으로 주관적 졸림정도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충분한 수면을 취한 조건보다 수면박탈 조건에서 참가자의 LF/HF 비율이 감소하였으며, 동일하게 주관적 졸림정도는 증가하였다. 또한 주관적 졸림정도가 LF/HF비율을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LF/HF 비율을 통한 졸음 운전 예측은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 Study on the Effects of Drowsy Driving Prevention OOH Advertising Depending on Message Framing and Regulatory Focus (메시지 프레이밍과 조절 초점에 따른 졸음운전 예방 OOH 광고 효과에 관한 연구)

  • Yesolran Kim;Tae-eun Kim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10 no.3
    • /
    • pp.321-327
    • /
    • 2024
  • Out-of-home (Out-of-Home) advertising can be an effective means of delivering messages for preventing drowsy driving, given that it is exposed at locations and times where vehicle traffic occur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message framing of drowsy driving prevention OOH advertising and regulatory focus on the intention to drowsy driving prevention behaviors by an experimental study targeting 200 university students. The results showed an interaction effect between message framing and regulatory focus on the intention to drowsy driving prevention behaviors. While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intention to drowsy driving prevention behaviors based on regulatory focus for positively framed messages, for negatively framed messages, a higher intention was observed when the prevention focus group rather than promotion focus group. This study focuses on two key areas: how messages are crafted (message framing)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ople who receive them (regulatory focus). By exploring these aspects, it provides valuable theoretical and practical knowledge. Essentially, it opens doors for creating message strategies that are finely tailored to suit the preferences of the audience. This advancement is vital for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as it enhances the effectiveness of communication efforts.

An Study on the Driving Prevention Technique to Prevent Driver (운전자 졸음운전예방기법에 관한 연구)

  • Kim, Ji-Yong;Kim, Chan-Min;Lee, Ji-Ho;Jeon, Seon-Jin;Cho, Jae-Ho;Park, Jin-Ho;Kim, Young-J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7.04a
    • /
    • pp.740-742
    • /
    • 2017
  • 교통안전공단이 운전자 400명을 대상을 졸음운전 실태를 조사한 결과 최근 1주일간 10명 중 4명이 졸음운전을 경험했으며, 그 중 19%는 사고가 날 뻔한 '아차사고'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운전자들의 졸음운전을 예방하기 위한 시스템의 존재가 시급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운전자의 졸음운전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운전 방지 기법을 제시한다.

The Hazardous Expressway Sections for Drowsy Driving Using Digital Tachograph in Truck (화물차 DTG 데이터를 활용한 고속도로 졸음운전 위험구간 분석)

  • CHO, Jongseok;LEE, Hyunsuk;LEE, Jaeyoung;KIM, Ducknyu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35 no.2
    • /
    • pp.160-168
    • /
    • 2017
  • In the past 10 years, the accidents caused by drowsy driving have occupied about 23% of all traffic accidents in Korea expressway network and this rate is the highest one among all accident causes. Unlike other types of accidents caused by speeding and distraction to the road, the accidents by drowsy driving should be managed differently because the drowsiness might not be controlled by human's will. To reduce the number of accidents caused by drowsy driving, researchers previously focused on the spot based analysis. However, what we actually need is a segment (link) and occurring time based analysis, rather than spot based analysis. Hence, this research performs initial effort by adapting link concept in terms of drowsy driving on highway. First of all, we analyze the accidents caused by drowsy in historical accident data along with their road environments. Then, links associate with driving time are analyzed using digital tachograph (DTG) data. To carry this out, negative binomial regression models, which are broadly used in the field, including highway safety manual, are used to def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umber of traffic accidents on expressway and drivers' behavior derived from DTG. From the results, empirical Bayes (EB) and potential for safety improvement (PSI) analysis are performed for potential risk segments of accident caused by drowsy driving on the future. As the result of traffic accidents caused by drowsy driving, the number of the traffic accidents increases with increase in annual average daily traffic (AADT), the proportion of trucks, the amount of DTG data, the average proportion of speeding over 20km/h, the average proportion of deceleration, and the average proportion of sudden lane-changing.

A study on prevention model of drowsiness driving using Arduino (Arduino를 활용한 졸음운전 예방 모델 연구)

  • Kim, Kyung-Min;Choi, Jung-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9.01a
    • /
    • pp.449-450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차량 내 이산화탄소 농도 측정을 통해 운전자의 졸음운전을 예방하는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된 모델은 이산화탄소 농도 측정 센서를 연결한 아두이노 보드를 차량 내부에 부착하여 측정된 수치를 실시간으로 분석한다. 분석된 수치를 운전자, 탑승자에게 전송하여 자발적으로 졸음 방지를 유도한다. 또한 설정된 수치 이상인 경우 차량 내 사용자와 차량 외 보호자에게도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고 차량 내 공기 상태를 알린다. 추후 차량 내 환경과 운전 시간, 탑승자 정보 등을 활용하여 전송된 수치를 분석하면 운전 환경 개선을 위한 방안을 모색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