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조향기구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36초

경주용 카트 조향장치의 기구 해석 (A Kinematic Analysis of A Racing Kart Steering Mechanism)

  • 장현탁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2부
    • /
    • pp.1156-1158
    • /
    • 2010
  • 경주용 카트에 현가장치와 차동장치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선회 시에 후륜 내측 바퀴가 들리도록 애커먼 조향 기구와 큰 킹핀 경사각, 캐스터으로 설계되어 있다. 경주용 카트 드라이버는 고속으로 주행하고 빠르게 선회 시가 가능하도록 충분한 기능을 보유하도록 공학적인 해석이 필요하다. 이 논문에서는 조향기구의 설계 시 가장 중요인자인 애커먼 조향 기구를 평면에서 다양한 인자에 대하여 해석하였다.

  • PDF

랙-피니언 조향기구의 조향오차 최적설계 (Optimum Design for Reducing Steering Error of Rack-and-Pinion Steering Linkage)

  • 홍경진;최동훈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6권2호
    • /
    • pp.43-53
    • /
    • 1998
  • This paper addresses an optimization for reducing a steering error of a rack-and-pinion steering linkage with a MacPherson strut independent front suspension system. The length, orientations and inner joint positions of a tie-rod are selected as design variables and Ackerman geonetry, understeer effect, minimum turn radius, wheel alignment and packaging are considered as design constraints. Nonlinear kinematic analysis of the steering system is performed for calculating the values of cost and constraints, and Augmented Lagrange Multiplier(ALM) method is used for solving the constrained optinization problem. The optimization results show that the steering error are considerably reduced while satisfying all the constraints.

  • PDF

전달각을 고려한 조향기구의 최적합성 (Optimal Synthesis of Steering Mechanisms Considering Transmission Angles)

  • 박종근
    • 한국기계가공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68-75
    • /
    • 2012
  • In this study, the optimal synthesis of planar steering mechanisms for vehicles is studied. The author minimized the steering error between two front wheels subject to the constraints of transmission angles. Nonlinear programming methods such as BFGS method and golden section search method are used for this optimization. As numerical examples, Ackermann's steering mechanism, 6-link and 10-link planar mechanism are adopted to check the usefulness of this method. Consequently, among the three optimized mechanisms, 10-link planar one conducts far more accurate performance subject to tight constraints of transmission angles.

비포장 노면 주행을 위한 스케이트보드의 조향제어기구 설계 (Design of a Steering Control Mechanism for a Skateboard on Off-road Driving)

  • 심한섭
    • 한국공작기계학회논문집
    • /
    • 제14권3호
    • /
    • pp.110-115
    • /
    • 2005
  • Driving performance is affected by a steering mechanism and characteristics of the ground at off-road skateboarding. In order to drive on off-road, it is necessary off-road wheel and high performance steering mechanism to adapt on various configuration of the ground. In this paper, design factors are studied to affect to steering radius such as inclination angle of a king-bolt, distance of a wheel axle, and rolling angle of a deck plate. A steering system is adhered to inclination face of the deck plate. And, inclination angle is existed between the king-bolt and the flat face of the deck plate. Therefore, the wheel axle of the steering system can be steered by control of the rolling angle of the deck plate.

역진자 기구에 기반한 직립주행 가능 이동로봇용 구동 플랫폼 개발 (Development of a Moving Platform for a Upright Running Mobile Robot Based on an Inverted Pendulum Mechanism)

  • 이세한;이상용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570-576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역진자 기구와 기립 암을 이용하여 직립주행이 가능한 이동로봇용 구동 플랫폼을 개발한다. 기존에 주류를 이루고 있는 이동로봇은 4륜 혹은 3륜으로 구동되고 있으므로 그 몸체는 정역학적으로 용이하게 안정성이 확보되는 특징을 갖고 있다. 기존의 이동로봇의 형태는 평면적으로 넓적한 형태의 정사각형 혹은 직사각형 형태를 갖고 있으므로 몸체의 조향을 위해서 독립구동륜형 혹은 조향형 차륜을 장치하고 있다. 이동로봇은 협소한 지형에서 90도로 굽은 통로를 주행할 때, 전후진을 반복하는 등 특별한 조향기법을 필요로 하거나 몸체의 평면적 때문에 물리적으로 조향이 불가능한 경우에 처하게 된다. 이 때, 이동로봇은 평면적이 작은 방향 즉, 직립된 상태로 몸체의 형상을 변형시켜 해당 지형을 주행함으로써 주행곤란 문제를 회피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동로봇의 몸체를 직립시킬 수 있는 기립 암과 역진자 기구가 결합된 구동 플랫폼을 제안한다.

함정용 형광등기구의 전기.광학적 특성 (Electrical and Optical Characteristics of Fluorescent Luminaires for Naval Vessels)

  • 조향은;김일권;김윤식;길경석;조규룡
    • 한국마린엔지니어링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마린엔지니어링학회 2011년도 전기공동학술대회 논문집
    • /
    • pp.184-184
    • /
    • 2011
  • 함정용 형광등기구는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매입형, 노출형, 램프 수에 따라 2등용과 3등용, 글로브형태에 따라 투명, 반투명으로 분류된다. 본 논문은 기존의 형광등기구를 LED로 교체하기 위한 기초 실험으로 이들 등 기구의 소비전력, 총광속, 색온도 및 빔각 등 전기 광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 PDF

폐쇄 기구형 다리의 조향가능 4족 보행 로봇 시스템 (A Steerable Quadruped Walking Robotic System with Legs of a Closed-Chain Mechanism)

  • 임승철;정해성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24권1호
    • /
    • pp.118-123
    • /
    • 2000
  • Most quadruped walking robots under current research are individually controlling every joint ic make them step or walk according to an integrated strategy. Such methods are characterized by at least one pair of an actuator and a sensor installed per each 'oint so that the robots weigh execssively and move inefficiently in terms of energy expenditure. In addition, the task of controlling all the joints simultaneously is quite complex and prone to destabilize the robot motion. These respects keep the existing walking robots away from realistic applications such as transportation even if they have potentially, outstanding adaptability to swamps or uneven terrains as opposed to wheeled vehicles. So, this paper presents a new conceptual quadruped robot developed to walk and steer only with a minimal number of actuators owing to a closed-chain mechanism. To prove its actual performance including the adaptability to various types of terrains. experiments are done with the mammal-type prototype. And. it is also shown that the same concept can be easily extended to carry out different gait forms. for instance, that of spiders only with minor modifications.

농업용 트랙터의 작업 시 자동 운전 유도를 위한 횡방향 제어기 설계 (Design of Lateral Controller for Autonomous Guidance of a Farm Tractor in Field Operations)

  • 한건희;이지민;송봉섭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8권5호
    • /
    • pp.551-557
    • /
    • 2014
  • 본 논문은 작업 시 농업용 트랙터의 운전지원을 위한 강인한 횡방향 제어기를 제안하고자 한다. 자동차와 달리 트랙터의 조향 방식은 유압실린더를 이용함으로써 상대적으로 큰 시간지연을 가지고 있으며 작업 시 지면 환경도 일반 도로와는 다르다. 조향 액추에이터 모델을 포함하는 기구학적 트랙터 모델을 기반으로 동적 표면 제어라는 비선형 제어기법을 적용하여 조향 액추에이터의 시간지연 및 노면 경사의 변화에 강인한 횡방향 제어기를 설계한다. 마지막으로 상용 트랙터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마찰 계수가 일정한 주어진 노면 상태에서 조향 액추에이터의 시간 지연 변경이나 오르막 또는 내리막과 같은 지형 조건 변화에 대한 횡방향 제어기의 성능 및 강인성을 검증한다.

상용차의 제동시 쏠림 개선을 위한 조향 연결점 설계 (Steering System Design of Commercial Vehicle for Improving Pulling Phenomenon During Braking)

  • 이창훈;이동욱;이용수;손정현;김광석;유완석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7권3호
    • /
    • pp.379-385
    • /
    • 2013
  • 차량의 제동시 쏠림 현상은 크게 타이어에 의한 원인과 현가시스템, 조향시스템 등의 차량구조의 이유로 발생한다. 그 중 차량구조의 원인은 드래그링크 방식의 조향시스템과 판스프링 형태의 현가 스프링 때문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차량동역학 해석 프로그램인 ADAMS/CAR 를 사용하여 제동시 쏠림의 발생 원인에 대해 분석하였다. 제동시 드래그링크와 판스프링의 거동을 확인하고 그로 인해 발생하는 쏠림을 최소화 시키기 위해 최적화 프로그램인 Visual DOC 를 사용하여 쏠림을 감소시키기 위한 조향 연결점의 위치를 결정하였다. 설계 변경된 차량의 K&C (Kinematic & Compliance) Test 시뮬레이션을 통해서 다른 특성에 미치는 영향이 없음을 보였고, 전차량 제동시뮬레이션을 통해 제동시 쏠림이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자율주행 콤바인을 위한 포장 자동 경로생성 및 추종 시뮬레이션 기초연구 (Preliminary Study on Automated Path Generation and Tracking Simulation for an Unmanned Combine Harvester)

  • 전찬우;김학진;한웅철;김정훈
    • 한국농업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7년도 춘계공동학술대회
    • /
    • pp.20-20
    • /
    • 2017
  • 궤도형 차량의 이동구조는 에너지 소비 측면에서 단점이 있지만 접지압의 감소로 인한 평지 및 야지험지에서도 원활한 주행이 가능한 장점으로 인해 농업분야의 플랫폼에서 많이 사용된다. 곡식을 베는 일과 탈곡하는 일을 한 번에 하는 콤바인도 이러한 무한궤도형 이동구조를 사용한다. 또한 궤도형 차량의 방향전환 및 주행속도 변환은 좌 우 궤도의 회전 속도를 다르게 하여 동시에 제어하기 때문에 정교한 주행 성능을 위해서는 궤도형 차량의 기구학 모델을 고려한 경로 계획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직교형 포장에서 Round harvesting 기법 기반으로 궤도형 차량의 기구학 모델 및 포장정보를 고려한 자율주행 콤바인 경로계획 알고리즘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Labview 기반의 궤도형 차량 시뮬레이션을 구축하여 실제 포장정보를 이용해 생성 된 경로의 적용 가능성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자율주행 콤바인 경로 계획은 콤바인의 길이, 너비, 회전 시 좌 우 궤도의 속도 비, 직진 속도와 회전 속도 비, 회전 각도, 포장의 외부 경계선, 작업 겹침 량, 회경 횟수를 이용하여 좌현 새머리 선회를 포함한 내부 왕복작업 경로를 생성하며 외부 회경 횟수는 2~3회를 가정하였다. 자율주행 시뮬레이션은 차체와 궤도 자체의 미끄러짐과 작동기 지연시간을 단순화 한 궤도형 기구학 모델형태로 구성하였다. 추종 알고리즘은 선견 거리법을 사용하였으며, 측면 변이값과 방향 오차의 선형조합을 이용하여 조향변수를 정의하고 퍼지로직기반으로 좌 우 궤도 속도를 7 단계화하여 조향장치를 모델링하였다. 실험결과 개발 된 경로생성 알고리즘은 실제 취득 된 포장 외부 경계 GPS 위 경도를 이용해 자동으로 생성이 가능하며 간략화 된 콤바인 시뮬레이션에서 직진주행 RMS 위치 오차는 0.05 m, 선회구간에서 직진 구간 진입 시 RMS 위치 오차는 0.11 m, 직진 구간 RMSE 방향 오차는 3.2 deg로 콤바인 예취부 간격인 30 cm보다 작은 위치 오차를 보이며 생성된 경로 전체 추종이 가능함을 나타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