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조직학 소견

검색결과 329건 처리시간 0.032초

Dimethylnitrosamine을 투여한 햄스터에서 간홉충감염이 담관암 발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lonorchis sinensis infection and dimethylnitrosamine administration on the induction of cholangiocarcinoma in Syrian golden hamsters)

  • 이재현;임한종;박응복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1권1호
    • /
    • pp.21-30
    • /
    • 1993
  • 간흡충은 담관암 발생의 원인적 요소로 알려졌다. 그러나 간흡충이 담관암을 일으키는 병리 기전은 자세하게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는 15 ppm의 dimethylnitrosamine(DMN)을 먹는 물로 투여한 햄스터에 간흡충을 감염시켜 담관암의 발생여부를 알아보고 담관암의 병리조직학적 변화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DMN을 투여하고 간흡충을 감염시킨 챔스터에서 11주 후에 8마리 중 6마리가 육안적 혹은 조직학적으로 담관암(cholangiocarcinoma)의 소견을 보였으며 나머지 2마리는 담관종(cholangiofibroma)으로 진단할 수 있었으나 부분적으로 악성적인 모습도 관찰 할 수 있었다. 담관암의 병리조직학적 소견은 담관상피세포가 선종상 혹은 유두상의 증식을 나타내고 높은 이형성을 보였으며 점액세포화생과 괴사소를 보이고 있었다. DMN 만을, 혹은 간흡충만을 투여하거나 감염시킨 햄스터들에서는 담관암이 전혀 발생되지 않았다. 본 .실험은 DMN을 투여한 햄스터에 간흡충감염으로 담관암이 발생하는 과정에서 DMN과 간흡충의 협동작용(synergism)을 보여준 것으로 추정한다.

  • PDF

조대술에 의한 하마종의 치료 (MARSUPIALIZATION FOR TREATMENT OF ORAL RANULA)

  • 강동균;황경문;김은정;김현정;김영진;남순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39-145
    • /
    • 2006
  • 하마종은 구강저에 발생하는 점액 낭종으로 주로 설하선과 관련된다. 즉, 하마종은 설하선 분비도관의 파열로 인하여 타액이 분비도관에서 빠져나와 주위의 연조직 내에 저류됨으로써 발생하는 가성 낭으로 정의되며, 원인은 설하선 도관의 파열이나 폐색이다. 하마종의 임상소견은 청색의 투명한 종창이 구강저의 소대를 중심으로 편측으로 발생하며, 무통성이며, 촉진시 파동성을 나타낸다. 조직소견은 결합 조직 내 와동이 형성되지만, 낭 벽은 상피세포가 아닌 육아조직으로 구성되는 가성 낭을 관찰할 수 있다. 하마종의 첫 번째 치료법으로는 하마종의 내벽이 구강점막의 일부가 되도록 만들어 주는 조대술을 고려할 수 있다. 본 증례는 특징적인 하마종의 임상소견을 보이는 환아에게 gauze-packing등을 동반한 조대술을 이용하여 치료한 증례로써 양호한 치료결과를 보여 보고하고자 한다.

  • PDF

흉골늑골 쇄골간 과골증의 장기추시결과 (Long-term Follow-up Study of Sternocostoclavicular Hyperostosis)

  • 김정일;서근택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03-111
    • /
    • 2006
  • 목적: 흉골늑골 쇄골간 과골증은 흉골, 쇄골, 상부 늑골 및 주변 연부조직의 골화와 골막반응이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질환으로 골종양과의 감별이 요구되고 있다. 이질환은 비교적 잘 알려져 있으나 병인이 불분명하고 흔하게 나타나지는 않기 때문에 장기관찰에 대한 보고는 거의 없다. 저자들은 이 질환을 가진 환자들의 장기간 추적관찰을 통해 이질환의 치료 경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86년 6월부터 2000년 6월까지 본원 정형외과에서 흉골늑골 쇄골간 과골증으로 진단되어 치료 받은 환자 중 2년 이상 추시관찰이 가능하였던 17명의 환자에 대해서 이학적 검사, 방사선 소견, 조직학적 소견, 치료에 대한 반응 등을 분석하였다. 결과: 성별분포는 남자가 4례, 여자가 13례로 여자가 더 많았다. 이환된 시기의 환자의 나이는 17세부터 60까지로 평균나이는 48.7세였다. 전례에서 흉쇄골 관절 및 흉골, 늑골 주위의 흉골, 쇄골, 상부 늑골에 과골화 소견을 보였고 이것은 시간 경과후에도 변화 없거나 증가되는 양상을 보였다. 피부과 질환을 동반한 경우가 5례가 있었다. 치료에 대한 반응은 대부분의 환자에서 소염진통제에 반응을 하였지만 2년 이상의 소염진통제 및 항상제의 치료에도 반응하지 않은 경우가 3례가 있었다. 결론: 흉골 늑골 쇄골간 과골증은 골주사와 전산화 단층촬영으로 진단이 되어질 수 있는 비교적 드문 양성 질환으로 비교적 항염증 약물, 항생제, 항류마치스약물등의 보존적인 치료에 잘 반응하나 동통이 지속되는 경우에서 비스포스포네이트 같은 약제의 사용이 추천되어진다. 장기간 추시관찰시 동통은 대부분 소실되나 방사선학적 검사에서 골화부분은 변화 없거나 더욱 커지는 양상을 보였다. 대부분의 경우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지 않으나 연부조직의 침범이 있거나 악성종양과의 감별이 어려운 경우 조직검사가 필요할 수 있고 외형상문제로 수술적 치료가 요하는 경우가 있다.

  • PDF

인도메타신이 개의 유치 치근 흡수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ndomethacin on the physiologic root resorption of deciduous teeth in dogs)

  • 신강섭;강윤구;이기수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06-115
    • /
    • 2005
  • 이 연구는 흡수중인 유치를 대상으로 인도메타신이 치근흡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치근흡수에 관련된 주위 조직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인도메타신은 파골세포의 수를 감소시키고 골흡수를 감소시키며, 골형성도 감소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어 왔으나 형태와 기능이 유사하다는 파치세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희소하다. 생후 12-13주된 잡견 6마리를 통상적 복용량인 인도메타신 2 mg/kg/day를 14일간 투여한 군과 과량의 8mg/kg/day를 14외간 투여한 군과 대조군으로 구분하였으며 흡수중인 하악 절치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 치아는 $5{\mu}m$ 두께의 절편을 만들고, H&E 중염색, Masson의 trichrome 염색을 시행하고 광학현미경으로 검경하였으며, 파치세포의 수와 핵의 수를 비교하였다. 관찰 결과 유치 치근 흡수 조직은 골개조 소견과 함께 염증소견과 유사한 소견을 보였다. 흡수중인 유치의 치수는 치근흡수부위에 가까운 조상아세포층은 변성의 소견을 보이나 멀리 떨어진 치수는 종상인 소견을 보였으며 인도메타신이 투여된 실험군에서는 파치세포의 수적 감소와 핵의 수적 감소를 미약하게 나타냈다 그러나 인도메타신이 흡수중인 치아의 치수에 미치는 영향은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에 의하면 인도메타신은 파치세포의 수적 감소를 미약하게 일으키며 장기간의 인도메타신 투여는 유치 치근흡수의 지연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슬개하 지방체에 발생한 조직구종 (Histiocytoma of the Infarapatellar Fat Pad)

  • 최중근;김숙;김병흠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43-47
    • /
    • 2002
  • 슬관절에서의 양성 섬유성 조직구종은 매우 드문 질환으로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많고, 가장 호발하는 부위는 수지 및 완관절과 족지 및 족관절의 건초나 활액막에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조직학적으로 병변의 위치에 관계없이 유사한 소견을 보이고 대부분은 특별한 증상이 없으나 관절운동 제한, 동통 등의 동반증상이 발생하며 치료는 절제술만으로도 충분하다. 저자들은 슬개하 지방체와 활액막 사이에 발생한 양성 섬유성 조직구종의 1례를 치료 경험하게되어 진단적 관절경 검사 시행 후 변연부 절제수술을 시행하여 병변을 치유하였다. 수술 후 24개월의 추적 관찰상 재발은 없었으며 또한 슬관절 기능도 만족할만 하였다.

  • PDF

레가시 시스템의 컴포넌트화 방법론 개발을 위한 프로그램 분석 활동 (Program Analysis Activities for Development of Componentization Methodology for of Legacy System)

  • 차정은;김철홍;양영종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하)
    • /
    • pp.2119-2122
    • /
    • 2002
  • 기업의 비즈니스 프로세스가 복잡, 다양해짐에 따라, 현재 운영 시스템에 대한 급격한 기술적 변화를 수용하고 이를 조직적 측면의 기업 프로세스로 적용하기 위해 레가시 시스템의 현대화가 요구된다. 따라서, 현재의 기업들은 다양한 사용자들이 각자 그들의 관점에서 필요한 비즈니스 요구들을 웹 상에서 처리시킬 수 있도록 J2EE, .NET 등으로 대표되는 컴포넌트 및 웹 서비스 기술을 적용한 새로운 e-business 환경을 수용해야만 한다. 하지만, 기업 조직의 중요한 지식과 프로세스들을 처리하는 시스템들은 대부분 과거(Legacy)의 기술에 의해 개발되어졌으며, 이러한 시스템들을 새로운 비즈니스 환경에 적용하기에는 웹 환경을 위한 분산 아키텍쳐의 결여와 개방성과 표준화 미흡으로 시스템의 유지보수에 많은 어려움을 가진다. 또한, 방법론 차원에서 재공학의 절차와 기법을 체계적으로 정의하고 지원하기 위한 노력이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레거시 시스템을 새로운 시스템 환경으로의 변환 및 통합을 위한 재공학 방법론 개발을 목적으로 프로그램 분석 활동을 설명한다. 본 논문에서 개발하고자 하는 방법론은 다양한 추상화 수준에서 역공학 정보를 복구하고, 컴포넌트화 단계를 통해 새로운 시스템으로 진화할 수 있는 절차 및 기법들을 제공한다. 레거시 시스템 컴포넌트화 방법론은 변환계획 단계, 역공학 단계, 컴포넌트화 단계, 인도 단계의 4 단계로 구성되어 있으며, 본 논문에서는 전체 단계 중 가장 기초가 되고 중요한 단계인 역공학 단계에 초점을 두고 프로그램 분석을 위한 절차 및 과정의 주요 지침들을 제시한다.0보다 유의적으로 우수하였으며, 맛, 다즙성 및 전체적인 기호도는 TMR-0 및 TMR-1 사이에 유의성이 없었다(p<0.05).能性)을 알아보고자 본(本) 실험(實驗)을 실시(實施)한 결과(結果), 유의성(有意性) 있는 결과(結果)를 얻었기에 보고(報告)하는 바이다.또한 이들 상피세포(上皮細胞)들을 투과전자현미경적(透過電子顯微鏡的)으로 관찰(觀察)하였을 때 초미세구조(超微細構造)가 잘 보존(保存)되었으나 Langer-hans cell내(內)의 Birbeck granule은 유리전(遊離前) 피부상피조직내(皮膚上皮組織內)의 Langerhans cell내(內)의 Birbeck granule에 비(比)해 수적(數的)으로 현저히 감소(減少)되어 있었다. 그러나 Thy-1 양성(陽性) dendritic cell에서 볼 수 있는 dense-core 과립(顆粒)은 별변화(別變化)없이 쉽게 관찰(觀察)될 수 있었다. 조직배양(組織培養)을 한 견(犬)의 keratinocyte에 대(對)해 사람 pemphigus vulgaris의 항체(抗體)로 반응(反應)시킨 후 protein-A gold(15 nm)로 표식(標識)시킨 바 제일 바깥 상층(上層)의 keratinocyte에 있어서 세포막표면(細胞膜表面)을 따라 표식(標識)되어 세포막항원(細胞膜抗元)을 나타내었으며, 이와 같은 소견(所見)으로 미루어 정상피부(正常皮膚) 중층편평상피세포(重層扁平上皮細胞)에서도 동일(同一)한 소견(所見)을 관찰(觀察)할 수 있다고 본다.al remnants, Resorption of fetus로 관찰된 것이다. Fetal death는 수정후

  • PDF

전정질환의 측두골 조직병리 (Vestibular Histopathology in Temporal Bone)

  • 남성일
    • Research in Vestibular Science
    • /
    • 제17권4호
    • /
    • pp.130-133
    • /
    • 2018
  • There are a number of reports on the pathologies of vestibular disorders. However, these studies included only a few examples, which were not quantitative but merely anecdotal or descriptive. However, a single tissue section may be relevant to a specific disease in multiple ways. The histopathological characteristics of common peripheral vestibulopathies, including benign paroxysmal positional vertigo, $M{\acute{e}}ni{\grave{e}}re^{\prime}s$ syndrome, labyrinthitis, vestibular neuritis, and ototoxicity, have been described. A recent study validated a new quantitative method for determining vestibular otopathology. Detailed quantitative analyses of vestibular pathology are required to obtain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vestibular system. Such studies will likely reveal the pathophysiological causes of specific diseases by elucidating the correlations between structural and functional features. Therefore, histopathological studies of vestibular disorders should be performed.

골연골종(증)에서 발생한 속발성 연골육종 (Secondary Chondrosarcoma Arising from Osteochondroma(tosis))

  • 조현민;이승구;강용구;정양국;이안희;박정미;박원종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21-26
    • /
    • 2010
  • 목적: 발생 빈도가 드문 골연골종(증)에서 기인한 속발성 연골육종의 임상적, 방사선학적, 조직병리학적 소견과 더불어 수술적 치료의 결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2년 1월 1일부터 2004년 12월 31일까지 골연골종(증)에서 발생한 속발성 연골육종에 대해 수술적 치료를 받은 14명을 대상으로 환자들의 임상기록, 단순 방사선 및 전산화 단층촬영/자기공명영상, 병리조직 슬라이드를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남성 9명, 여성 5명이었으며, 평균 나이는 34세(14-75세)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54개월이었다. 결과: 모든 환자에서 소아기나 사춘기 전, 후부터 종괴를 가지고 있었으며, 방사선학적 소견은 종양의 표면이 불규칙하거나 경계가 불분명하거나, 분산된 무기질 침착 소견을 동반한 골파괴 음영 및 점상 석회화를 동반한 연부조직 종괴가 관찰되었다. 자기공명영상소견은 상기 방사선학적 소견을 반영하는 불균등신호 강도(inhomogeneous signal)의 불규칙한 경계를 지닌 종괴가 보이며, 연골모(cartilage cap)의 두께가 2예를 제외하고는 모두 1 cm 이상으로 두꺼웠다. 수술적 치료는 10명에서 광범위절제술, 3명에서 변연절제술 그리고 1명에서 절단술을 시행하였다. 결론: 골연골종(증)에서 드물기는 하나 속발성 연골육종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임상적, 방사선학적 그리고 조직병리학적 소견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주의 깊게 추시 관찰 하여, 조기에 광범위 절제술을 시행할 경우 좋은 치료결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총 비골 신경에 발생한 결절종 - 증례보고 - (Ganglionic Cyst of the Peroneal Nerve - A Case Report -)

  • 송광순;전시현;김인규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212-216
    • /
    • 2003
  • 결절종으로 인한 총 비골 신경 마비는 매우 드문 예에서 보고되고 있지만, 잘 알려져 있는 질환이다. 결절종으로 인한 비골 신경 포착을 보이는 자기 공명 영상 소견에 대하여 3편이 보고되어 있다. 본 증례에서는 진단을 위해 초음파, 자기 공명 영상, 근전도, 신경전도 검사 및 조직 검사를 시행하였다. 비골 경부 주변의 관상 구조는 자기 공명 영상 소견 상 특징적으로 T2 강조영상에서 고신호를 보이면서 상부 경비골 관절의 아래 부분까지 종축으로 뻗어있는 소견을 보였다. 비골 신경을 노출시키고 결절종에 대해 병소내 절제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후에도 마비 증상이 지속되었으나, 수술 후 4개월부터 점차적으로 마비의 회복소견을 보이기 시작했고 술 후 7개월에 완전한 회복을 보였다. 본 증례에서 자기 공명 영상은 낭종의 범위, 위치, 기원을 밝혀 내는데 도움을 주었고, 외과적 절제술로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 PDF

왕우렁이 추출물의 역류성 식도염 억제 효과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Golden Apple Snail (Pomacea canaliculata) in Reflux Esophagitis Model)

  • 남현화;류승목;양선규;김욱진;문병철;서윤수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85-96
    • /
    • 2021
  • 본 결과를 통해, 왕우렁이 추출물의 역류성 식도염 모델에서 위 내용물의 역류로 인한 조직손상에 대한 보호효과를 확인하였다. 식도 점막의 육안 소견과 조직병리학적 분석 결과 점막의 괴사, 염증세포의 침윤 등의 증상이 완화됨을 확인하였으며, 상피조직의 tight junction을 보호하여 위산과 펩신으로부터 점막을 보호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왕우렁이 추출물의 식도 보호효과는 NF-κB 기전의 조절을 통해 점막의 염증반응을 억제하여 나타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였을 때, 왕우렁이 추출물이 역류성 식도염 완화를 위한 기능성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가지는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