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조직침착

검색결과 176건 처리시간 0.029초

성견의 실험적 치아이동시 골재형성에 관한 연X선학적 연구 (A SOFT X-RAY STUDY ON THE BONE REMODELLING IN TOOTH MOVEMENT OF DOG)

  • 김상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587-592
    • /
    • 1995
  • 교정력에 의한 치아이동시 발생하는 골침착과 흡수의 골재형성 과정을 교정력의 크기와 적용기간에 따라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성견 6마리를 대조군 1마리와 실험군 5마리로 나누어 실험군에서는 하악 제 1,2소구치 사이에 open coil spring을 장착해서 좌측에는 강한 힘(250-300g), 우측에는 약한 힘(50-75g)이 가해지도록 하여 12시간, 24시간, 3일, 1주, 2주에 각각 희생시켰다. 분리된 조직편에 대해 연X선 촬영을 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견인측에서의 신생골 형성은 7일째부터 관찰되기 시작하여 14일째에는 광범위한 부위에서 방사선 불투과상을 관찰할 수 있었으나 힘의 크기에 따른 비교는 불가능하였다. 2. 압박측에서의 치조골 흡수는 3일째에 치조백선의 파괴로 나타나기 시작하여 7일째, 14일째에 걸쳐 증가되는 양상을 보였다.

  • PDF

테타니가 발생한 윌슨병 1예 (Tetany in a 13-Year-Old Girl with Wilson's Disease)

  • 라채익;김상용;고홍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14권1호
    • /
    • pp.86-90
    • /
    • 2011
  • 구리를 운반하는 P형 ATPase 단백을 합성하는 ATP7B 유전자의 돌연변이로 인하여 간, 뇌, 각막, 신장 및 적혈구 등 여러 조직에 구리가 축적되어 발병하는 상염색체 열성 유전 질환인 윌슨병은 간 증상과 신경증상이 주요 증상이지만 이외에도 용혈성 빈혈, 심장, 신장 및 내분비 이상 증상을 초래할 수 있다. 저자들은 윌슨병으로 진단되어 치료 받던 중 부갑상샘의 구리 침착에 의한 것으로 추측되는 부갑상샘저하증, 여러 복합요인에 의한 비타민 D 결핍 그리고 원인이 불명확한 저마그네슘혈증으로 인하여 발생한 테타니를 칼슘, 마그네슘 및 비타민 D 투여로 치료하였던 1예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생쥐 치아의 화학적 조성, 미세구조 및 Hydroxyapatite 구조 분석 (Analysis of Chemical Composition, Microstructure and Hydroxyapatite Structure for Mouse Teeth)

  • 김은경;전태훈;김창연;남승원;송경;이상길;김윤중
    • Applied Microscopy
    • /
    • 제40권3호
    • /
    • pp.147-154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광학 및 전자현미경 관찰과 전자현미분석을 수행하여 쥐 치아의 미세구조, 화학 조성 및 hydroxyapatite의 결정구조를 파악하였다. 치아의 겉 표면을 둘러싸고 있는 법랑질은 막대들이 일정하게 배열된 구조이며 결정도가 높고 Ca이 많이 침착되어 있다. 그에 비해 상아질은 상아세관이 통과하는 원형의 구멍이 고루 분포되어 있는 스펀지 구조이며 유기질의 존재로 인해 Mg의 분포가 법랑질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Hydroxyapatite 결정들은 법랑질에서는 크기가 큰 막대 형태로 나타났으나 상아질에서는 크기가 작은 침상 형태로 나타났으며, 각 조직의 결정도와 유기질의 유무에 따라 전자회절패턴의 차이를 보였다.

Cocker spaniel 견에서 발생한 전신성 아밀로이드증 (Systemic Amyloidosis in a Cocker Spaniel)

  • 박선일;김두;한정희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86-189
    • /
    • 2006
  • 7개월된 암컷 Cocker spaniel견이 3주전부터 체중감소, 구토, 탈수, 식욕저하를 보이면서 지속적인 미열을 동반한 다음과 다뇨를 주증상으로 시내 병원에 내원하였다. 담당 수의사의 진료내역을 검토한 결과 복수와 간종대, 혈액 도말 검사에서 비재생성빈혈과 흉부방사선 사진에서 좌측 중심부에 불규칙한 음영이 관찰된 것으로 기록되었다. 이후 prednisolone으로 치료하였지만 증상의 경과가 호전되지 않아 정밀진단을 위하여 환자의 혈액을 강원대학교 부속동물 병원에 분석, 의뢰하였다. 혈액화학검사에서 고칼슘혈증, 고질소혈증, 콜레스테롤혈증, 고인혈증, 저알부민혈증 및 대사성 산증을 보였으며 뇨검사에서 단백뇨를 동반한 약산성의 등장뇨가 관찰되었다. 임상증상과 실험실 소견에 근거하여 간과 신장에 대한 정밀한 검사를 위하여 입원을 요청하였으나 다음 날 환자는 폐사한 상태로 병원에 후송되었다. 보호자의 동의를 얻어 부검과 조직병리학적인 검사를 실시한 결과 간, 신장, 비장 등의 전신 장기에 과량의 아밀로이드가 침착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소아에서 출혈성 수포를 동반한 $Henoch-Sch{\"{o}}nlein$ 자반병 1례 (A Case of $Henoch-Sch{\"{o}}nlein$ Purpura with Hemorrhagic Bullae in a Child)

  • 오연미;정미림;최혜정;차희정;정진영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10권1호
    • /
    • pp.40-44
    • /
    • 2006
  • [ $Henoch-Sch{\"{o}}nlein$ ] 자반증은 소혈관의 혈관염으로 오는 전신적 혈관 장애로 자반, 위장 증세, 관절 증세, 신 증세를 주 증세로 하는 질환이다. HSP의 흔한 피부증상은 주로 궁둥이와 하지의 자반 증상이며 성인에서는 출혈성 수포를 동반하는 경우가 흔하나 소아에서는 드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관절통과 복통을 호소하는 환아에서 출혈성 수포가 동반되어 있어 피부조직 검사를 하였고 진피의 leukocytoclastic vasculitis와 면역 형광법상 소혈관의 IgA와 fibrinogen의 침착을 관찰하였다. HSP로 진단하여 스테로이드 치료를 하였고 수일 내로 관절통과 복통이 호전되어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인슐린 투여가 정상쥐의 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xogenous Insulin on The Metabolism of Normal Rat)

  • 주진순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2권4호
    • /
    • pp.237-246
    • /
    • 1989
  • 본연구는 인슐린 투여가 생체내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기 위한 기본단계로 생후 약 10주령되는 정상쥐에 인슐린을 복강 주사한 뒤 혈청내 변화와 조직학적 변화를 조사하였다.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가. Acute phase에서의 인슐린 투여 효과 \circled1 인슐린 주사후 1.5시간만에 혈당치는 최저를 나타냈으나 그후 점차 증가하여 4시간후에는 처음 수준으로 복귀하였으나 Hb,Ht,혈청 단백직과 알부민 등은 인슐린 투여에 의해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circled2 혈청 총지질, 중성지방은 인슐린을 주사한지 2시간까지는 약간 증가하다 차츰 감소하였고, 혈청 콜레스테롤은 감소하다가 4시간 이후에 다시 증가추세로 바뀌었다. 그러나 인지질은 별다른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나. Chronic phase에서의 인슐린 투여 효과 \circled1 인슐린 투여에 따라 공복혈당치는 큰 영향을 받지 않았으며,Hb, Ht, 혈청 알부민과 단백질등은 실험기간중 별다른 변화가 없었다. \circled2 혈청 총지질은 인슐린 투여 20일까지는 큰 변화가 없었으나 그후 30일째는 처음 수준의 절반으로 감소함을 보였다. 그러나 중성지방, 인지질, 혈청콜레스테롤 등은 뚜렷한 증가나 감소가 없는 경향을 보였다. \circled3 인슐린 투여가 간과 aorta의 지발 침착에 미치는 영향은 뚜렷한 변화가 없었다.

  • PDF

화상 후 발생한 관절외 연조직의 이영양성 석회침착: 문헌조사 및 증례보고 (Dystrophic Extra-Articular Soft Tissue Calcification after Burn Injury: A Case Study and Literature Review)

  • 윤인식;이상수;전여름;정섬;송준호
    • 대한화상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38-42
    • /
    • 2021
  • Soft tissue calcifications after burn injuries are commonly found in the periarticular region. They can easily be found because they cause severe pain and distress to the patient. However, a long period is required to identify extra-articular soft tissue calcification after burn injuries because they have no specific symptoms. Herein, we present the case of a patient with dystrophic extra-articular soft tissue calcification after a burn injury. A 70-year-old woman developed a non-healing ulcer in the right lower leg area two months before presentation to the hospital. She had third-degree flame burns on the anteromedial tibial area of the right leg approximately 40 years prior, and there had been no particular problem. Examination revealed chronic ulcers, and a review of radiograph findings revealed irregular calcification. The wound was treated with wide excision with a skin graft, and it healed without complications. During follow-up one month later, no recurrence of the calcification or ulceration of the lesion was found.

파브리병에서의 심장 자기공명영상의 역할 (The Role of Cardiac MRI in the Diagnosis of Fabry Disease)

  • 홍유진;김영진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1권2호
    • /
    • pp.302-309
    • /
    • 2020
  • 파브리병(Fabry disease)은 매우 드문 X-연관 유전 대사 질환으로 알파 갈락토시다아제(alpha galactosidase A)의 결핍으로 인하여 다양한 세포 및 기관에 글리코스핑고지질(glycosphingolipid)의 축적을 초래하는 질환이다. 심장 침범이 비교적 흔하며 비정상적인 지질침착으로 인한 심근 염증, 좌심실 비대 및 심근 섬유증을 일으킨다. 심장 침범은 환자 예후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므로 이를 진단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심장 자기공명영상은 심실의 기능, 부피 측정을 위한 표준기법으로 알려져 있으며 심근의 조직 변화를 볼 수 있는 유용한 기법이다. 특히 최근 많이 쓰이는 T1 지도화 기법을 통한 심근 조영 전 T1 수치를 이용하여 파브리병의 심장 침범을 조기 진단할 수 있으며 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한 심근 질량 측정으로 치료 모니터링을 할 수 있다. 심장 자기공명영상은 파브리병 환자에서 다양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이에 대해 정리해보고자 한다.

토끼 관절 연골세포의 증식과 글리코스아미노글리칸 합성에 대한 808-nm 다이오드 레이저의 효능 평가 (In Vitro Effect of 808-nm Diode Laser on Proliferation and Glycosaminoglycan Synthesis of Rabbit Articular Chondrocytes)

  • ;황야원;최석화;김근형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295-300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알지네이트 비드에서 배양한 토끼의 관절 연골세포의 증식과 황산화 글리코스아미노글리칸 합성에 대한 808-nm InGaAs 다이오드 레이저의 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전의 연구들에서 서로 다른 종류의 세포에서 레이저의 양성 또는 음성 자극 효과가 알려졌다. 알지네이트 비드 내의 토끼 연골세포에 1.0W 세기의 808-nm InGaAs 다이오드 레이저가 $31J/cm^2$ (1 그룹), $62J/cm^2$ (2 그룹)의 에너지 밀도로 상응하는 그룹에 10초, 20초 동안 24, 48, 72, 96시간째에 각각 조사되었다. 대조군은 처리하지 않았다. 1차 레이저 조사 1주, 2주 후에 MTT 분석이 실시되었다. 황산화 글리코스아미노글리칸 합성은 DMMB 분석을 통해 평가되었다. 조직학적 평가를 위한 세포의 분포와 세포 주변의 황산화 글리코스아미노글리칸 침착은 알시안 블루 염색을 통해 평가되었다. MTT 분석을 통해 알지네이트 비드에서 세포 증식에는 양성 자극 효과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DMMB 분석을 통해서 2 그룹의 2주차 연골세포에서 황산화 글리코스아미노글리칸 생성이 특이적으로 증가했음을 알 수 있었다. 알시안 블루 염색상에서도 2 그룹 연골세포에서 양성 염색상이 특이적으로 많은 비율을 차지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1.0 W 세기의 808-nm InGaAs 다이오드 레이저가 연골세포 증식에 영향이 없으나 알지네이트 비드에서 세포 분비 활동을 자극하여 황산화 글리코스아미노글리칸 침착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참느릅나무에서 추출된 catechin 유도체 화합물의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 (Tyrosinase Inhibition-mediated Anti-melanogenic Effects by Catechin Derivatives Extracted from Ulmus parvifolia)

  • 황태혁;이효정;강동민;문경미;유재철;안미정;문동규;우동균
    • 생명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69-175
    • /
    • 2023
  • 자외선으로 야기되는 피부조직의 손상에 대한 방어기전으로 멜라닌세포는 멜라닌 색소를 생산한다. 이러한 멜라닌 생성에는 tyrosinase 효소가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그러나 과다한 멜라닌 생성은 피부조직에 주근깨와 검버섯 등의 과다 색소침착 병변을 일으킨다. 따라서 tyrosinase 발현이나 활성을 조절함으로써, 과도한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물질을 발굴하는 것은 임상적인 의미가 있다. Catechin은 tyrosinase 발현을 저해함으로써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화합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B16F10 마우스 흑색종 세포주와 버섯에서 추출된 tyrosinase를 사용하여, 참느릅나무의 줄기 껍질에서 추출 및 동정된 catechin 유도체 화합물(C5A, C7A, C7G, 및 C7X)의 멜라닌 생성 억제 효능을 검증하였다. 먼저, B16F10 세포주에서,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농도의 catechin 유도체 화합물 처리는, 모두α-MSH로 촉진된 멜라닌 생합성을 억제하는 효능을 보였다. Catechin 유도체 화합물의 이러한 효능은 멜라닌 생합성 저해제로 잘 알려진 kojic acid와 비슷한 수준이였다. 또한, C5A와 C7A는 버섯에서 추출된 tyrosinase의 효소 활성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억제하였다. 또한, 컴퓨터 분석을 통해 C5A와 C7A는 kojic acid와 유사한 수준으로 tyrosinase의 active site에 결합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이에 더하여, 4종류의 catechin 유도체 화합물 모두가 α-MSH 처리된 B16F10 세포주에서 tyrosinase 단백질 발현을 감소시켰다. 본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참느릅나무에서 추출/동정된 catechin 유도체 화합물은 멜라닌세포의 멜라닌 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이러한 catechin 유도체 화합물이 피부의 과다 색소침착 질환 제어를 위한 새로운 조절 물질로 응용될 수 있음을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