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조직결합수

검색결과 551건 처리시간 0.025초

Co/NiMn의 교환 자기결합에 관한 연구 (Exchange coupling of Co/NiMn bilayer)

  • 안동환;조권구;주승기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171-177
    • /
    • 2000
  • RF 마그네트론 스퍼터링 증착법으로 제작한 Co/NiMn 이층막에서의 교환자기결합현상을 연구하였다. 어닐링의 온도와 시간에 따른 교환자기결합력(H$_{ex}$)의 변화를 조사하여 300 $^{\circ}C$에서 13시간의 열처리후에 최대의 교환결합자장을 얻을 수 있음을 보였고, NiMn과 Co층의 적층순서를 변화시켰을 때, NiMn 상층구조의 시편이 더 높은 교환자기결합력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상층의 Ta 보호막의 사용이 교환자기결합을 나타내는데 필수적임을 알 수 있었는데 , AES 분석은 Ta 보호층을 적용하지 않은 경우에, 산소원자가 막 내부의 깊은 곳까지 침투함으로 인하여 교환자기결합력이 일어나지 않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교환자기결합에 대한 Ta 바닥층의 효과를 연구하였다. Ta 바닥층은 높은 교환자기결합력을 얻기 위해서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낫다는 것을 알아내었다. X선 회절분석의 결과는, Ta 바닥층이 다층막에 우선방위조직을 형성시키는데 기여하지만, NiFe/NiMn 이층막에서의 경우와는 달리 교환자기결합에 반드시 필요한 조건이 아님을 보여주었다. 또한 Co층과 NiMn층의 두께에 따른 교환결합력의 영향을 조사하여, 교환결합력은 200 $\AA$ 이상의 NiMn층 적용 시 최대값을 가지며, Co층의 두께에 반비례함을 알 수 있었다.다.

  • PDF

PEO-$SO_3$를 이용한 항석회화 조직첨포의 개발(II) -동맥과 복막 이식 실험연구- (Development of Calcification-resistant Bovine Pericardium with PEO-$SO_3(II)$ -An implantation study of bovine pericardium at artery and peritoneum-)

  • 김형묵;백만종;김광택;이인성;김학제;이원규;박기동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11호
    • /
    • pp.1023-1030
    • /
    • 1998
  • 연구배경 : 인체내 이식된 생체조직들은 석회화 변성으로 인해 그 내구성이 단축된다. 이러한 조직들을 이식하기전에 글루타르알데하이드(GA)로 고정후 sulphonated polyethyleneoxide(PEO-SO3)를 결합시키고 또한 조직내 의 잔유 알데히드기를 제거함으로써 석회화에 대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재료 및 방법 : PEO-SO3 처리법과 잔유 알데히드기 제거의 석회화 방지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GA 고정 후 PEO-SO3로 처리한 소 심낭 첨포를 잔유 알데히드기 제거를 위해 무균 생리식염수에 보존한 saline 군과 0.65% GA 용액 에 보존한 GA군, 그리고 이미 상품화되어 임상에서 사용되고 있는 product군을 8마리 개의 경동맥과 대퇴동 맥 및 복막에 이식하여 6주 후 적출하여 칼슘량 및 병리조직 소견에 대해 알아보았다. 결과 : 경동맥에서 채취한 조직첨포의 칼슘량은 saline군에서 GA군과 product군에 비해 유의하게 적었다 (saline; 2.89$\pm$0.31 vs. GA; 6.14$\pm$1.08 vs. product; 22.82$\pm$5.00 mg/g; p< .05). 대퇴동맥과 복막 이식 첨포에서의 칼슘량 또한 saline군에서 다른 두 군에 비해 가장 적었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한편 병리조직 검사에서는 GA군에서 다른 두 군에 비해 조직의 석회화로 인한 변성 파괴가 심하였다. 결론 : 본 연구에서 소 심낭 조직 첨포와 결합한 PEO-SO3는 석회화를 감소시키고 또한 조직내 잔유 알데히드기 를 생리식염수로 세척하여 제거함으로써 항석회화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PEO-SO3로 처리한 소 심낭 조직은 석회화 변성에 대한 강한 저항성을 보임으로써 심혈관 첨포나 인공 조직 판막 개발 에 도움를 줄 수 있을 것이다.

  • PDF

토마토에서 칼슘수송체와 칼슘결합단백질 공동발현에 의한 칼슘결핍유사증상의 완화 (Restriction of Ca2+ deficiency-like symptoms by co-expressing a Ca2+ transporter and a Ca2+-binding protein in tomato)

  • 한증술;강호주;김창길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7권4호
    • /
    • pp.549-555
    • /
    • 2010
  • 본 연구는 칼슘 수송체의 하나인 sCAX1과 칼슘결합단백질의 하나인 CRT가 토마토에서 발현했을 때 tip-burn과 배꼽썩음병 (BER)이 토마토의 전 생육기간에 걸쳐 어떠한 양상으로 나타나는지를 관찰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어 수행하였고, 최종 연구 결과는 CRT 공동발현이 sCAX1 발현에 의해 야기된 병징을 억제시킬 수 있음을 확인시켰다. 양분공급이 불량한 환경하에 놓인 sCAX1 단독 발현 토마토 식물체는 그 근단 조직, 정단 조직 및 과실의 암술부착부위 조직에 토마토 재배 농가포장에서 빈번하게 관찰되는 칼슘결핍 증상과 일치하는 괴사현상을 나타내었다. sCAX1 형질전환체와 비형질전화체를 각각 대목과 접수로 달리 사용한 교호접목 실험을 통해 sCAX1 발현에 따른 tip-burn 병징이 토양으로부터의 칼슘이온 흡수에 장애를 받아 생긴 결과가 아님을 확인하였다. 형질전환을 통해 CRT 발현 토마토를 획득한 후 CRT가 sCAX1에 의한 불량한 특성 발현을 제어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양자간 교배조합을 작성하였다. sCAX1과 CRT를 토마토에서 공동발현 시켰을 때 완벽하지는 않지만 양극 조직의 괴사와 BER이 뚜렷하게 감소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sCAX1 발현에 의해 방해 받은 세포 내 칼슘 이온 관련 어떤 기구는 CRT 공동발현을 통해 복구될 수 있다는 하나의 모델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낮은 동전점을 갖는 $^{99m}Tc$ 표지 Succinic Acid 결합 Avidin의 생체내분포에 관한 연구 (Biodistribution Study of $^{99m}Tc$-Labeled Succinic Acid-Conjugated Low pI Avidin)

  • 정재민;백창흠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285-292
    • /
    • 1993
  • Avidin과 biotin의 높은 결합력을 이용하여 종양 영상을 개선하는 방법이 많이 연구되고 있다. 본 실험에서는 이러한 목적으로 쓰기 위하여 적당한 $^{99m}Tc$ 표지 avidin을 제조하였다. Avidin을 표지하기 위하여 우선 $^{99m}Tc$과 안정한 킬레이트를 형성할 수 있는 benzoylmercaptoacetyltriglycine (Bz-MAG3)과 biocytin을 화학적으로 결합시킨 Bz-MAG3-biocytin을 합성하였다. 이 화합물을 Tc-99m으로 표지시켜 avidin 또는 streptavidin을 1:1로 섞어 줌으로서 Tc-99m으로 표지된 avidin과 streptavidin을 제조하였다. 이들의 생쥐 생체내 분포를 조사한 결과 avidin의 경우 높은 간(56.6%, 10min)과 신장(28.5%, 10min) 축적을 보였고 streptavidin의 경우 높은 신장 축적 (28.9%, 21hr)을 보였다. Avidin의 높은 정상 조직 축적을 줄이기 위하여 succinic acid를 결합시켜 등전점(pI)을 낮춘 다음 같은 실험을 하여 본 결과 신장 축적율은 pI가 $7.0{\sim}9.3,\;5.5{\sim}6.2,\;4.0{\sim}4.8$로 낮아졌을 경우 19.0%, 3.1%, 1.7%로 각각 떨어졌지만 간에의 축적은 pI 변화에 따른 상관성을 찾아 볼 수가 없었다. 체내 제거율을 측정하여 본 결과 pI를 변화시킨 avidin과 변화시키지 않은 avdin들은 반감기가 13.5에서 16.0시간 사이로 큰 차이점을 보이지 않았는데 streptavidin은 반감기 61.5시간 정도로 느리게 제거된다는 것을 알았다. 이 실험의 결과 1. Avidin을 $^{99m}Tc$-MAG3-biocytin으로 안정하게 표지할 수 있었고, 2. pI가 낮아진 avidin은 신장에의 축적율이 크게 감소되었으며, 3. $^{99m}Tc$으로 표지된 avidin과 streptavidin은 먼저 간으로 흡수된 후 대사된 다음 신장으로 배설된다는 사실을 알았다.

  • PDF

브라질산 주머니쥐(Monodelphis domestica) 망막 내에서의 calretinin 면역반응성을 가지는 AII 무축삭세포의 동정 (Identification of Calretinin-immunoreactive AII Amacrine Cells in the Brazilian Opossum (Monodelphis domestica))

  • 정세진;전창진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71-277
    • /
    • 2014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브라질산 주머니쥐(Monodelphis domestica) 망막에서의 calretinin 면역반응성을 연구하는데에 있다. 칼슘결합단백질 calretinin은 칼슘매개-신호전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방법: 표준 면역조직화학법을 이용하여 브라질산 주머니쥐 망막을 대상으로 실험하였다. 결과: 브라질산 주머니쥐 망막에서 calretinin은 일부의 수평세포, AII 무축삭세포, 일부의 신경절세포에서 면역반응성을 보였다. 특히, calretinin 면역반응성을 가지는 모든 AII 무축삭세포는 또 다른 칼슘결합단백질인 parvalbumin을 발현하였다. 결론: 다른 포유류 망막과 다를 바 없이, 브라질산 주머니쥐 망막에서도 AII 무축삭세포에서 calretinin 면역반응성이 관찰되었다. 이를 통해 calretinin이 브라질산 주머니쥐 망막에서도 AII 무축삭세포의 marker로 이용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꿀벌의 독에 의한 생쥐 피부의 조직병리학적 및 미세구조적 변화 (Histopathological and Fine Structural Changes in Mouse Skin after Injection of Honeybee Venom)

  • 신상희;정문진;문명진
    • Applied Microscopy
    • /
    • 제27권2호
    • /
    • pp.145-153
    • /
    • 1997
  • 꿀벌(Apis mellifera)의 독에 의해 야기되는 포유동물 피부의 조직병리학적 및 미세구조적 변화와 그 수복과정을 확인하기 위하여 실험용 생쥐의 피부에 직침법으로 꿀벌의 독을 주입한 후, 회복된 시점까지 일정시간 간격으로 조직의 표본을 제작하여 광학 및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독 주입 직후의 표본에서는 표피의 상피세포와 진피의 결합조직에서 현저한 염증반응이 유도되었고, 일부세포의 괴사가 관찰되었다. 고배율의 전자현미경상에서 교원섬유의 직경이 크게 증가되었으며, 면역 단백물질로 추정되는 전자밀도가 높은 grain의 침착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조직병리현상은 독 주입 후 12시간이 경과된 조직의 표본에서 서서히 회복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봉침 주위 피부조직의 조직학적 및 미세구조적 변화는 수 일간 지속되었으나, 병리학적 반응은 3일 이내에 거의 거의 소멸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생쥐 피부에 대한 꿀벌 독의 병리반응은 다른 절지동물의 독에 비하여 비교적 경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나노 버블을 이용한 정련/염색 기술 개발 (The Technical Development of Scouring/Dyeing using Nanobubble)

  • 이창석;유선아;권영미;조장훈;안상욱
    • 한국염색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염색가공학회 2012년도 제46차 학술발표회
    • /
    • pp.33-33
    • /
    • 2012
  • 소비자의 기호에 따른 섬유 제품은 고급스러운 감촉 및 착용감, 신축성 등 기능성 측면이 증대되어 의류 및 인테리어용에 니트 제품 및 세데니아 원단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그러나 니트 제품은 조직이 복잡하며 장력에 의해 형태 변화가 심해 제품 개발에 대한 문제점이 발생하고 세데니아 원단 또한 장력에 매우 민감하다. 특히 정련/염색시 고부가가치 제품의 품질문제에 영향을 미치며, 제품손상과 불량률이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나노버블은 기포의 크기가 작고 에너지를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생지에 부착되어있는 호제들과 쉽게 결합할 뿐 아니라 생지로부터 쉽게 분리시킴으로써 정련성을 높이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정련제와 결합된 나노버블은 정련시 물에 잘 용해되지 않는 스판오일, 방사유제등을 잘 흡착하여 분리시키기 때문에 정련효과를 병행해서 얻을 수 있다. 즉 정련효과가 현저하게 향상됨으로써 정련제의 양도 기존의 정련 방식에 비하여 적게 사용하여도 동일한 정련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발생기포의 양을 조절할 수 있어 소포제 없이도 기포발생에 의한 현장사고를 방지함으로써 고품질의 정련제품을 얻을 수 있었다. 또한 기존 정련기술에 비해 정련시간 단축으로 인한 에너지 절감효과 및 이산화탄소 배출량 감소, 나노사이즈의 버블의 높은 분산력으로 과량의 수세공정 생략 등 친환경적 정련/염색 공정이 가능하다.

  • PDF

돈(豚)콜레라의 진단(診斷)을 위한 보체결합반응(補體結合反應)에 관(關)한 연구(硏究) (Complement Fixation Test for the Diagnosis of Hog Cholera)

  • 전윤성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9
    • /
    • 1966
  • 돈(豚)콜레라는 세계각처(世界各處)에서 널리 유행(流行)되는 돼지의 중요(重要)한 질병(疾病)이다. 그러나 이 질병(疾病)을 혈청학적(血淸學的)으로 진단(診斷)할 수 있는 간단(簡單)하고 고도(高度)로 특이(特異)한 방법(方法)은 아직 없다. 이 연구(硏究)에서는 보체결합반응(補體結合反應)을 이용(利用)한 보다 우수한 혈청적진단법(血淸的診斷法)을 실험(實驗)하여 좋은 성적(成績)을 얻었다. 검출항원(檢出抗原)은 감염돈(感染豚)의 췌장유제(膵臟乳劑)이 양성예(陽性例)에서의 역가(力價)는 1/16 이상이였다. 항혈청(抗血淸)은 조직배양원(組織培養源) 바이러스 재료(材料)를 가토(家兎)에 접종(接種)하여 만들었고 이의 역가(力價)는 1/32 이상이었다. 보체(補體)는 1.1~1.2 충분단위(充分單位)를 사용하였고 감작적혈구(感作赤血球)는 2 단위(單位) 2%로 하였다. 이 방법(方法)으로써 감염돈(感染豚)의 95% 이상이 특이적(特異的)으로 검출(檢出)될 수 있었고, 비감염돈(非感染豚)은 97% 이상이 음성(陰性)으로 검출(檢出)될 수 있었다. 따라서 이 방법(方法)은 돈(豚)콜레라를 진단(診斷)하는데 이용(利用)될 수 있는 보다 낳은 혈청학적(血淸學的) 방법(方法)으로 믿어진다.

  • PDF

破面解析과 그 應용 (I)

  • 김정규;서창민
    • 기계저널
    • /
    • 제24권1호
    • /
    • pp.35-42
    • /
    • 1984
  • 오늘날 전자현미경의 급속한 발전 및 이에 의한 파면해석의 수많은 연구결과에 의해 파괴의 정성적인 연구로부터 정량적인 연구로 발전하게 되었고, 또한 일부의 파면모양은 균열 또는 결합선단의 파괴역학적(fracture mechanics)연구의 진전과 함께 파괴역학의 파라메타로서 정량적으로 정리할 수 있게 되어 실험적 증거를 제공하는 것으로 중요시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전자현미경에 의한 파면해석을 중심으로 기술하고, 이것이 파괴원인 규명의 미시조직학적 및 파괴역학적 검토에 어떻게 이용되고 있는가를 설명하였다.

  • PDF

관련 위해물질-식품의 중금속 오염 현황과 관리방안

  • 윤기선
    • 식품기술
    • /
    • 제20권4호
    • /
    • pp.37-49
    • /
    • 2007
  • 중금속은 인류가 금속을 이용하기 시작하면서 위험인자로 대두되기 시작하여 산업화 과정과 함께 환경오염을 초래하였고 나아가 식품을 오염시키는 원인물질로 작용함으로써 인간의 건강을 위협하기에 이르렀다. 중금속은 체내에서 분해되기 어렵고 배출이 쉽지 않아 생물체에 축적되면 먹이 연쇄를 따라 농축되므로 먹이사슬의 최종소비자인 사람에게 식품의 중금속 오염은 심각한 문제다. 특히 수은, 납, 카드뮴은 식품 중에서 공통적으로 볼 수 있는 독성물질로 생체조직과 강한 결합을하여 생체 내에 축적되어 천천히 제거되는 유해물질이다. 본문에서는 국내.외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식품의 중금속 오염현황, 위해성, 관리방안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