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조종가능성

Search Result 72,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인과의 조종가능성 이론과 간섭

  • Eo, Yeong-Seo
    • Korean Journal of Logic
    • /
    • v.10 no.1
    • /
    • pp.109-130
    • /
    • 2007
  • 현장의 과학자들이 지닌 인과 개념을 가장 잘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는 인과의 조종가능성 이론은 인과 관계를 조종가능성으로 이해할 수 있다는 직관에 기초한다. 즉 C가 E의 원인이라는 것은 C를 조종함으로써 E를 변화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이 이론의 핵심 개념인 조종의 이해를 위해 최근 관심의 초점이 되는 간섭은 이상화된 실험 상태에서 국지적 변화를 일으키는 것이라고 이해할 수 있다. 우드워드는 간섭의 의미가 목적에 따라 다르게 구체화될 수 있다는 전제 아래 자신이 제시한 간섭 개념이 펄의 간섭 개념과 다르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본 논문은 이와 같은 우드워드의 주장이 설득력이 없다고 결론짓는다. 본 논문은 우드워드의 간섭 개념이 펄의 간섭 개념과 다르기보다는 펄의 간섭 개념이 암묵적으로 전제하고 있는 바를 구체화하고 있다고 논증한다.

  • PDF

광양항 제품부두 접이안 안전성에 대한 선박조종시뮬레이션 검토

  • Chae, Yang-Beom;Jeong, Jae-Hun;Jeong, Tae-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0.10a
    • /
    • pp.91-93
    • /
    • 2010
  • 부두의 접안능력 조정 가능성을 판단하기 위해서는 조정예상 가능한 선형을 대상으로 항만시스템의 전반적인 부분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이 중 선형 증가에 따른 통항 및 접안조종 안전성의 평가는 부두의 접안능력 조정 가능성을 판단하기 위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연구에서는 광양항 제품부두의 접안조종 안전성의 평가를 위해 선박조종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검토하였다.

  • PDF

항해하는 선박과 부유하는 컨테이너의 충돌 가능성에 관한 연구

  • Gong, Gil-Yeong;Lee, Sang-Gap;Jeong, Chang-Hyeon;Lee, Chun-Gi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1.06a
    • /
    • pp.4-6
    • /
    • 2011
  • 부유물 부근을 항해하는 선박의 조종 운동에 미치는 부유물의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선박과 부유물(40피트 콘테이너)을 형상화 하고 선박과 부유물간의 간섭영향을 수치 계산하였다. 이 논문에서 사용되어진 계산 방법은 충돌 회피를 위한 선박의 자동제어시스템과 해상교통제어시스템 및 항만 건설 등을 위한 초기 설계 단계에서 선박 조종성의 예측에 유용할 것이다.

  • PDF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the Wirecutter Length and the Control Input of Rotorcraft (회전익 항공기의 전선절단기 길이와 조종입력의 상호관계 연구)

  • Kim, Young-Jin;Lee, Seung-Jae;Chang, In-ki;Shim, Dai-S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45 no.1
    • /
    • pp.46-53
    • /
    • 2017
  • This paper shows a length of wirecutter using an analysis based on Rotorcraft's control input and taxiing speed. In case of selecting an inappropriate length of wirecutter which applies to rotorcraft for safety, this causes a collision between blade and wirecuter, or an accident by wire. We review the control input which was used in development stage, and establish the conditions of control input which are needed in taxiing. Based on these conditions, we review the collision possibility between blade and wirecutter through analysis in case of 20, 40, 60 kts taxiing speed. Following, this result is verified by comparison with that of a simulation test in rotorcarft. Finally, in case of high collision possibility, we presented the downsize length to avoid the collision and increment of non-protective area in flight, simultaneously.

Development of 3D Joystick for Flight Simulator using Gyro Sensor (자이로 센서를 활용한 비행 시뮬레이터용 3D 조이스틱 개발)

  • Cha-Hun Park;Sung-Ho Lee;Myeong-Chul Par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01a
    • /
    • pp.333-334
    • /
    • 2023
  • 비행시뮬레이터는 ICT 및 SW 응용분야에 속하는 기술로 항공기의 환경을 재현하는 시뮬레이션 환경을 제공한다. 시뮬레이터의 조종 장치인 일반적인 조이스틱을 대체한 기존 VR장비의 컨트롤러는 허공에 들고 조종하므로 정확하고 정교한 실제 항공기 조종에 사용하기에는 많은 문제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비행시뮬레이터와 VR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는 가속도 센서와 진동 센서를 적용한 3D 조이스틱을 제안한다. 이를 위하여 3축 센싱과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및 와이파이 통신을 위한 보드를 설계하고 유니티 기반의 가상 환경을 구현하여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정상적으로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조종 장치가 동작하였고 게임 및 구현된 보드에서 확인한 센싱값이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연구의 결과물은 비행시뮬레이터 외에도 VR 및 다양한 메타버스 관련 콘텐츠에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

  • PDF

A Basic Research on the Implementation of Ship Handling Simulator Using Virtual Reality Technology (인공 현실 기술을 이용한 선박 조종 시뮬레이터 구현에 관한 기초 연구)

  • 임정빈;이상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3 no.S1
    • /
    • pp.5-18
    • /
    • 1997
  • 이 논문에서는 가상현실로 잘 알려진 인간과 컴퓨터 상호 작용에서의 3차원 음장 재생을 위한 요소 기술을 논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가상 공간과 같은 가상 환경을 갖는 선박 조종 시뮬레이터의 구현 가능성을 검토하는데 있다. 이 연구에서는 머리 전달 함수(HRTF)를 이용한 3차원 음장 재생에서의 몇가지 핵심 기술을 고찰하고, 필터 탭수를 줄이기 위한 방법과 3차원 음장에서의 불연속 영역을 보간하기 위한 방법을 기술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Education Software for Drone Flying Control using Object-Tracking (Object-Tracking을 이용한 드론 비행 조정의 교육용 소프트웨어 개발)

  • Koo, Bon-Jae;Lee, Chae-Eun;Hong, Jang-Eui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8.10a
    • /
    • pp.882-884
    • /
    • 2018
  • 드론은 최근 기상관측, 영상촬영, 인명구조 등의 다양한 분야로 활용 가능성이 입증되고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드론 적용을 위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또한 민간용 시장으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확산은 일반인들도 드론에 대한 이해와 활용 관점을 가지게 되었고, 실험용 드론 시스템 제작/개발로 이어지고 고 있다. 그러나 드론은 비행체의 물리적 특성상 정밀한 제어가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많은 연습이 필요하다. 또한 법적으로 드론을 비행시킬 수 있는 공간이 다양하지 못하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드론을 처음 접하거나 조종이 미숙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드론의 비행 조종 연습을 할 수 있는 웹 기반의 교육용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그 실용 가능성을 평가한다.

Development of Multi Haptic Control Environments for Tele-operating Robot System (로봇 원격조종을 위한 멀티 햅틱 제어 환경 개발)

  • Choi, You-Rak;Lee, Jae-Cheol;Kim, Jae-Hee;Kim, Seung-Ho;Kwon, Oh-Seok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 /
    • v.16 no.6
    • /
    • pp.689-699
    • /
    • 2013
  • There are four methods such as 1:1, 1:N, N:1, and N:N in the tele-operating system for control the remote side robot. The operator must know the information of surroundings of the robot, collision possibility of the mobil equipment, and force feedback of the manipulator. The time delay problem occurs in the tele-operating and it causes vibration and expressive power of the manipulator owing to bidirectional force feedback. N:N control technique having been developed lately has a switching algorithm for the operator to select the target robot or it's partial equipment. When multi-operators work together to accomplish a task with multi-robots, the switching facility must be offered. And the automatic tuning skill to generalize the operator's tendency is needed also. We describes the methodologies and skills for developing a haptic-based tele-operating environments to makes it possible to control the remote multi-robots with multi-operators in this paper.

Piezo-Composite Actuator for Control Surface of a Small Unmanned Air Vehicle (소형 무인 비행체 조종면 작동용 압전 복합재료 작동기 연구)

  • Yoon, Bum-Soo;Park, Ki-Hoon;Yoon, Kwang-Joon
    • Composites Research
    • /
    • v.27 no.2
    • /
    • pp.47-51
    • /
    • 2014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develop lightweight and simple smart actuators in order to replace conventional hydraulic/pneumatic actuators, and to apply the developed actuators to the actuation systems of a small unmanned air vehicle. This research describes the procedures of design, manufacturing of the piezo-composite actuator, and the performance evaluation. From the test results of the developed devices, we found the possibility of piezo-composite actuator could be used as a control surface of a small UAV system. We have designed and manufactured two kinds of piezo-composite actuators, unimorph actuator and bimorph actuator. The manufactured actuators were evaluated through the performance testes. It was found that the bimorph type actuator showed more linear angle change for the same excitation voltage variation than unimorph type. It is expected that piezo-composite actuator has a possibility to be used not only as a control surface of small unmanned flying vehicle but also as a control surface actuator of a guided missile fin through the miniaturization of power supply and control system.

A case study on timing constraints verification for a safety-critical. real-time system (안전성이 중요한 실시간 시스템의 시간 제약성 검증에 관한 사례 연구)

  • Choi, Jin-Ho;Jee, Eun-Kyoung;Kim, Hyeon-Jeong;Bae, Doo-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1.06a
    • /
    • pp.166-169
    • /
    • 2011
  • 안전성이 중요한 실시간 내장형 시스템인 유도조종장치에서 시간 제약성을 만족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기존 유도조종장치 소프트웨어 개발에서는 주로 테스트 단계에서 시간 제약성 만족을 확인한다. 하지만 이 방법은 늦은 오류의 발견으로 인해 전체 소프트웨어 개발 비용이 커질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위해 본 논문에서는 설계 단계에 정형 기법을 적용하여 유도조총장치 소프트웨어의 시간 제약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실시간 시스템에 대한 모델링과 검증을 지원하는 TIMES 도구를 유도조종장치 소프트웨어 설계에 적용하는 사례 연구를 수혈하고 그 결과를 분석 및 평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