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조정 계수

Search Result 545, Processing Time 0.04 seconds

A-priori Comparative Assessment of the Performance of Adjustment Models for Estimation of the Surface Parameters against Modeling Factors (표면 파라미터 계산시 모델링 인자에 따른 조정계산 추정 성능의 사전 비교분석)

  • Seo, Su-Young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19 no.2
    • /
    • pp.29-36
    • /
    • 2011
  • This study performed quantitative assessment of the performance of adjustment models by a-priori analysis of the statistics of the surface parameter estimates against modeling factors. Lidar, airborne imagery, and SAR imagery have been used to acquire the earth surface elevation, where the shape properties of the surface need to be determined through neighboring observations around target location. In this study, parameters which are selected to be estimated are elevation, slope, second order coefficient. In this study, several factors which are needed to be specified to compose adjustment models a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mathematical functions, kernel sizes, and weighting types. Accordingly, a-priori standard deviations of the parameters are computed for varying adjustment models. Then their corresponding confidence regions for both 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estimate and the estimate itself are calculated in association with probability distributions. Thereafter, the resulting confidence regions are compared to each other against the factors constituting the adjustment models and the quantitative performance of adjustment models are ascertained.

시차종속변수(時差從屬變數)에 의한 우리 나라 원목수요분석(原木需要分析)

  • Kim, Jun-Sun
    •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 /
    • v.8 no.1
    • /
    • pp.131-147
    • /
    • 1998
  • 본 논문은 시차종속변수를 이용한 우리 나라 원목수요분석을 통해 장기원목수요의 변화를 예측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원목수요는 재화의 특성상 파생수요를 전제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에서는 1970년부터 1996년까지 27년간의 원목수요 자료를 이용하였다. 원목수요는 1980년대 들어서면서 1970년대와 같은 빠른 증가는 아니지만 지속적으로 완만히 증가하다가 1991년을 정점으로 하향 안정세를 보이고 있다. 분석에서는 적응적 기대모형과 부분적 조정모형을 사용하였다. 1977년에서 1979년까지 원목수요량의 급격한 증가를 설명하기 위하여 모형내에 더미변수를 사용하였다. 설명변수는 원목가격, 더미변수, 파생재화(목재 및 나무제품)의 가격과 시차종속변수를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 적응적 기대모형은 시차종속변수를 사용해야 할 만큼 유의한 결과를 얻을 수 없었다. 하지만 부분적 조정모형에서는 각 변수의 추정치가 전반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특히, 시차종속변수 추정치에 대한 t값이 2.07로 유의하게 나옴으로써 모형의 설명력을 높여 주었다. 부분적 조정모형의 수정계수는 0.74 정도로 나타났다. 부분적 조정모형의 가정하에 2010년까지 매년 원목가격지수 6.7%와 국내 목제품가격지수 5.8% 상승률에 근거한 방법과 원목가격지수 6.8%와 목제품가격지수 5.6%로 전제하여 원목수요를 전망하였다. 그 결과, 원목수요는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정한 가격상승률을 전제한 예측수요량이 일정한 가격지수의 상승을 전제한 경우보다 높게 나타났다.

  • PDF

A Study for Enhancing the Criterion of the Software Cost Estimation (소프트웨어 개발비 대가기준 개선에 관한 연구)

  • Kwon, Ki-Tae;Byun, Boon-Hee
    • The KIPS Transactions:PartD
    • /
    • v.13D no.6 s.109
    • /
    • pp.815-822
    • /
    • 2006
  • It is very important that they accurately predict the software development cost in the early stage of a software development. Because cost estimations are required when bidding for a contract or determining whether a project is feasible in terms of a cost-benefit analysis. The criterions of the software cost estimation was set up to calculate software development cost more exactly, which is applied to made up a budget of the software business or to calculate a suitable cost to start the business in our country. However, as the software technology and environment are changing very rapidly, it need to enhance the criterion of the cost estimation continuously. Therefore, we tried to apply technology of software and a variety of factors of environment changes in present. Most of all, we proposed an introduction and readjustment of the adjustment factor applying 14 general system characteristics to improve the accuracy of the cost estimation and the schedule adjustment factor that is required by practicians. For evaluating the accuracy in terms of the real data, we have used MMRE & PRED. In result, we proved that the accuracy was clearly improved by applying the scale factor and readjusted VAF with 14 general system characteristics. Moreover, we evaluated the accuracy of the schedule adjustment factor.

Design Polynomial Tuning of Multivariable Self Tuning Controllers (다변수 자기동조 제어기의 설계다항식 조정)

  • Cho, Won-Chul;Shim, Tae-Eu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elematics and Electronics S
    • /
    • v.36S no.11
    • /
    • pp.22-33
    • /
    • 1999
  • This paper presents the method for the automatic tuning of a design weighting polynomial parameters of a generalized minimum-variance stochastic ultivariable self-tuning controller which adapts to changes in the higher order nonminimum phase system parameters with time delays and noises. The self-tuning effect is achieved through the recursive least square algorithm at the parameter estimation stage and also through the Robbins-Monro algorithm at the stage of optimizing the design weighting polynomial parameters of the controller. The proposed multivariable self-tuning method is simple and effective compared with pole restriction method. The computer simulation results are presented to adapt the higher order multivariable system with nonminimum phase and with changeable system parameters.

  • PDF

An Adaptive Speech Enhancement System Using Lateral Inhibition and Time-Delay Neural Network (상호억제와 시간지연 신경회로망을 사용한 적응적인 음성강조시스템)

  • Choi, Jae-Seung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P
    • /
    • v.45 no.2
    • /
    • pp.95-102
    • /
    • 2008
  • This paper proposes an adaptive speech enhancement system based on an auditory system to enhance speech that is degraded by various background noises. As such, the proposed system detects voiced and unvoiced sections, adaptively adjusts the coefficients for both the lateral inhibition and the amplitude component according to the detected sections for each input fame, then reduces the noise signal using a time-delay neural network. Based on measuring the signal-to-noise ratio, experiments confirm that the proposed system is effective for speech degraded by various noises.

Speech Enhancement in Noisy Speech Using Neural Network (신경회로망을 사용한 잡음이 중첩된 음성 강조)

  • Choi, Jae-Seung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P
    • /
    • v.42 no.5 s.305
    • /
    • pp.165-172
    • /
    • 2005
  • In speech recognition under a noisy environment,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a system which reduces the noise and enhances the speech. Then it is effective to imitate the human auditory system which has an excellent analytical spectrum mechanism for speech enhancement. Accordingly, this paper proposes an adaptive method using the auditory mechanism which is called lateral inhibition. This method first estimates the noise intensity by neural network, then adaptively adjusts both the coefficients of the lateral inhibition and the adjusting coefficient of amplitude component according to the noise intensity for each input frame. It is confirmed that the proposed method is effective for speech degraded by white noise, colored noise, and road noise based on the spectral distortion measurement.

An Empirical Study on the Contrian Strategy's Abnormal Returns and Systematic Risk Change (반전거래전략의 투자성과와 체계적 위험의 변화에 관한 실증연구)

  • Woo, Choon-Sik;Kwak, Jae-Su다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
    • /
    • v.17 no.1
    • /
    • pp.67-89
    • /
    • 2000
  • 반전거래전략의 투자성과와 체계적 위험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시장모형과 Ibbotson(1975)의 RATS 모형을 이용하여 형성기간과 검증기간의 베타계수를 측정한 결과 체계적 위험의 변동가설에서 예견하는 것과 일치하는 결과를 발견할 수 있었다. 승자 포트폴리오의 베타계수는 검증기간에서 하락하는 한편 패자 포트폴리오와 차익 포트폴리오의 베타계수는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RATS 모형을 이용하여 검증기간의 비정상수익률을 측정한 결과, 차익 포트폴리오의 경우 시장조정수익률 모형을 이용할 때의 월평균비정상수익률(1.32%)보다 작은 0.87%(t=3.153)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반대거래전략의 투자성과가 체계적 위험의 변화에 기인하는 증거로서 의미를 갖는다. 한편 형성기간과 검증기간에서 베타계수와 월평균비정상수익률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베타계수와 월평균비정상수익률이 동일 방향으로 변화하였던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반전거래전략의 투자성과가 체계적 위험의 변화에 기인하는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Chan (1988)의 모형을 이용하여 체계적 위험과 시장위험프리미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Chan(1988)이 주장한 것처럼, 패자 포트폴리오와 차익 포트폴리오의 경우 베타계수와 시장위험프리미엄 사이에 양(+)의 상관관계가, 그리고 승자 포트폴리오의 경우에는 음(-)의 상관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Chan(1988)이 주장한 것처럼, 체계적 위험과 시장위험프리미엄의 변화 관계가 시장상황에 따라 영향을 받는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활황시장과 침체시장으로 분류하여 각 시장상황에 따라 베타계수를 추정하였다. 추정결과에 의하면, 패자 포트폴리오의 베타계수는 활황시장에서 1.0967(t=13.018), 침체시장에서 1.0883(t=15.310)을 보였으며, 승자 포트폴리오의 베타계수는 활황시장에서 0.9468(t=9.100), 침체시장에서 0.9086 (t=7.431)을 보였다. 다시 말하여 패자 포트폴리오의 베타계수는 시장상황에 따라 거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승자 포트폴리오의 베타계수는 침체시장보다 활황시장에서 크게 나타남으로써 체계적 위험 변동가설과 일치하는 결과를 보였다.

  • PDF

Hash 함수를 이용한 디지털 영상의 내용기반 인증방법

  • Im, Hyeon;Park, Sun-Yeong;Jo, Wan-H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tatistical Society Conference
    • /
    • 2002.05a
    • /
    • pp.119-125
    • /
    • 2002
  • 우리는 본 논문에서 디지털 영상에 대하여 Hash함수를 이용한 내용기반의 안전한 워터마킹 인증기술을 제시하려고 한다. 허가되지 않는 이미지의 내용변경을 막기 위해 안전한 워터마킹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하여 비밀키를 가지고 있는 Hash 함수가 사용되었고, 각 블록의 워터마크신호는 Hash함수의 출력결과를 Seed로 사용하여 의사난수를 발생시킨 값에 따라 생성되어진다. 이미지 기술벡터들은 블록기반 에지 이미지로부터 측정되는데 이 값들은 해롭지 않는 조작 등에 대해서는 쉽게 변화하지 않지만 고의적인 내용변경 등의 조작에 대해서는 이들 값들이 바꾸어지는 성질을 갖고 있다. 워터마크신호의 삽입은 블록기반 스펙트럼 방법에 기초를 두고 있으며 워터마크신호의 크기는 인지성과 강인성이 조화를 이루도록 AC 부 밴드의 지그재그 스캔라인의 DCT 계수들의 지역적인 통계량에 따라 조정되어진다. 또한 저작권인증의 확인을 위한 경계 값의 선택은 통계학적으로 분석되어진다. 수치적인 실험의 결과는 제안된 기술이 강력한 저작권인증의 수행을 위해서 매우 효율적인 것을 보여주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