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조절기능이상

Search Result 617,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The Control System of Wood Pellet Boiler Based on Home Networks (홈 네트워크 기반의 펠릿 활용 난방 보일러 제어시스템)

  • Lee, Sang-Hoon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Convergence Signal Processing
    • /
    • v.15 no.1
    • /
    • pp.15-22
    • /
    • 2014
  • This paper presents the implementation of a control system of pellet boiler using wood pellet as carbon neutral material. The system also has the additional features to provide remote controlling and monitoring based on home networking technology through either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s or 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It consists of three kinds of sub-modules; a main controller provides basic and additional features such as a setting of temperature, a supplying of wood pellet, a controlling of ignition and fire-power, and a removing of soot. The second is temperature controller of individual rooms which is connected to the main controller through RS-485 links. And interface modules with PSTN and mobile networks can support remote controlling and monitoring the functions. The test results under the heating area of $172m^2$ show a thermal efficiency of 93.6%, a heating power of 20,640kcal/hr, and a fuel consumption of 5.54kg/hr. These results are superior to those of the conventional pellet boilers. In order to obtain the such high performance, we newly applied a 3-step ignition flow, a flame detection by $C_dS$ sensor, and a fire-power control by fine controlling of shutter to our pellet boiler.

Effect of Visual Sensory Improvement by Amblyopia Treatment on Improvement of Ocular Functions (약시 치료에 의한 시감각 개선이 안기능 향상에 미치는 효과)

  • Kim, Jae-Do
    • Journal of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 /
    • v.19 no.4
    • /
    • pp.551-555
    • /
    • 2014
  • Purpose: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if the improvement of visual sensory (VS) by amblyopia treatment affects the ocular functions in refractive errors, accommodative errors and phoria at distance and near. Methods: 10 subjects (17 eyes, mean age of $10.7{\pm}2.9$ years) who treated amblyopia completely, were participated for this study. Refractive errors, accommodative errors, and distance and near phoria were compared between before and after treatments of amblyopia. Refractive errors and accommodative errors at 40 cm were measured using openfield auto-refractor (NVision-5001, Shin Nippon, Japan) and using monocular estimated method (MEM) respectively. Phoria was determined at 3 m for distance and at 40 cm for near using Howell phoria card, cover test or Maddox rod. Results: Mean corrected visual acuity (CVA)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0.46{\pm}0.11$ (decimal notation) for before amblyopia treatment to a level of $1.03{\pm}0.13$ for after amblyopia treatment (p < 0.001). For spherical refractive error, hyperopia significantly decreased from $+2.29{\pm}0.86D$ to a level of $+1.1{\pm}2.38D$ (p < 0.05) but astigmatism did not significantly change; $-1.80{\pm}1.41D$ for before treatment and $-1.65{\pm}1.30D$D for after treatment (p > 0.05). Accommodative error significantly decreased from accommodative lag of $+1.1{\pm}0.75D$ to a level of $+0.5{\pm}0.59D$ (accommodative lag) (p < 0.05). Distance phoria significantly changed from eso $2.9{\pm}6.17PD$ (prism diopters) to a level of eso $0.2{\pm}3.49PD$ (p < 0.05), and near phoria also significantly changed from eso $0.4{\pm}2.32PD$ to level of exo $2{\pm}4.9PD$ (p < 0.05). There was a high correlation (r = 0.88, p < 0.001) between improvement of visual acuity and decrease of accommodative lag. Conclusions: Hyperopic refractive error decreased with improvement of CVA or VS by amblyopia treatment. And the improvement of VS by amblyopia treatment also improved accommodative error, and changed phoria coupled with accommodation.

The Effect of Balance Training using Force Platform on Postural Control and Central Somatosensory Pathway in Adults with C. N. S. Disorders (Force Platform을 이용한 평형성 훈련이 중추신경계 손상자의 자세조절 및 중추 감각신경전도로에 미치는 영향)

  • Kim Yoo-Sub;Kang Hyo-Young;Kim Tae-Yoon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v.11 no.3
    • /
    • pp.71-79
    • /
    • 1999
  • 본 연구의 목적은 균형 훈련이 중추신경계 손상자들의 자세 조절 및 중추감각신경전도로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자는 중추신경계 손상자로써 실험군 10명, 통제군 10명 등 총 20명을 선정하였으며, 실험군은 본 연구의 훈련 프로그램에 따라 12주간 force platform을 이용하여 균형훈련을 실시토록하였다. 자세조절 변인의 측정은 운동처치 전, 처치 후 8주 및 12주 후에 대상자들의 동적 및 정적 자세에서의 흔들림을 Dynamic Balance System을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체성감각 유발전위의 말초신경 근위부 유발전위$(N_9)$ 잠복기, 척수 유발전위$(N_{13})$ 잠복기, 뇌 유발전위 $(N_{20})$ 잠복기는 Neurotec을 이용하여 측정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정적 자세 조절 요인의 경우, 좌우 흔들림과 전후 흔들림은 실험군에서 8주 후부터 유의하게 (p<.05) 감소하였고, 실험군이 통제군에 비해 운동처치 8주 및 12주 후에 각각 유의하게(P<.05, P<.01) 흔들림이 감소하였다. 2. 전후 이동면과 전후 기울기면에서 동적 자세 조절의 변화는 전후 이동면에서 좌우 흔들림과 전후 흔들림은 실험군에서 8주 후부터 유의하게 (P<.05) 감소하였으며, 실험군이 통제군에 비해 운동처치 8주 및 12주 후에 각각 유의하게 (P<.05, p<.01) 흔들림이 감소하였다. 3. 체성감각 유발전위의 잠복기 변화는 실험군과 통제군에 있어서 말초신경 근위부 유발전위$(N_9)$ 잠복기와 척수 유발전위$(N_{13})$ 잠복기가 다소 증가하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실험군에 있어서 뇌 유발전위 $(N_{20})$ 잠복기는 8주 후부터 유의하게 (P<.05)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12주의 균형 훈련은 자세 조절에 있어서 전후와 좌우의 흔들림을 감소시킴으로써 정적인 상태나 동적인 상태에서의 자세 안정성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이는 자세 조절에 필요한 항중력근의 긴장성 수축을 유발시킬 뿐만 아니라 근육 긴장분포를 조절할 수 있다는 것으로 신경근 조절 기능의 향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뇌 유발전위 $(N_{20})$ 잠복기의 증가는 중추신경계의 감각기능의 신경학적 회복을 의미하는 것으로 중추신경계의 감각 운동통합에도 영향을 미쳐 운동기능의 향상을 기대할 수 이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 Serious Game Design and Prototype Development for Rehabilitation using KINECT Tools (KINECT를 활용한 재활 치료용 기능성 게임 개발)

  • Chae, Young Soog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 /
    • v.17 no.2
    • /
    • pp.248-256
    • /
    • 2014
  • This paper designs a serious game for rehabilitation of patients with body pains because they sit down for a long time in the same position, or less physical movement. Activity-based game induces to player improvements in physical exercise with fun elements of the game through entertainment to help the body function and substantially increases the player's commitment during challenging goal. This research is a game design that combines the treatment of color and movement of body to the rhythm of the music. We constructed with XNA Game Studio and KINECT interface with gesture recognition technology. We need to research of evaluation system and test for the actual effect of the treatment and advanced functions of game playes like adding various musics and variety of motion.

A Study on Diurnal Variations of Accommodation (일과 중 조절기능 변화에 관한 연구)

  • Lee, Jeong-Yun;Yu, Dong-Sik;Son, Jeong-Sik;Moon, Byeong-Yeon
    • Journal of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 /
    • v.15 no.1
    • /
    • pp.73-78
    • /
    • 201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diurnal variation of accommodation on people whose age are between 35 and 50 years old with frequent alternation of accommodation at period 1 (8:00-10:00), period 2(13:00-15:00) and period 3 (18:00-20:00). Methods: All \04 subjects were separated to nonpresbyopia and incipient presbyopia. Tests were done for amplitude of accommodation, accommodative facility and relative amplitude of accommodation. Results: Both nonpresbyopia and incipient presbyopia had the highest amplitude of accommodation in oculus dexter, oculus sinister and oculus uterque at period 2. In addition, the incipient presbyopia showe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daily change. The nonpresbyopia had the most accommodative facility at period 3 and incipient presbyopia had the most accommodative facility at period 2. Their daily variation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Both nonpresbyopia and incipient presbyopia had the most negative relative accommodation of daily change at period I. Both of them had the most positive relative accommodation at period 2. Conclusions: The incipient presbyopia had the highest amplitude of accommodation, accommodative facility. and positive relative accommodation (except the negative relative accommodation) at period 2.

그라프트중합에의한 다공성 폴리아미드막의 공경의 조절

  • 임성윤;김진홍;이영무
    • Proceedings of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2.10a
    • /
    • pp.45-46
    • /
    • 1992
  • 최근들어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서 고분자 재료를 이용하여 약물의 방출속도를 조절하며 이를 통해서 장기간에 걸쳐 치료 유효농도이상의 혈중농도를 유지 함으로써 치료효과를 극대화 하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고분자 재료를 이용한 macromolecular drug의 방출조절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Macromolercular drug은 인슐린, 알부민등의 단밸질과 유로키나제등의 효소와 같이 약효는 매우 높으나 적절한 투여 수단이 발견되지 않아 투여가 매우 번거로운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와같은 macromolecular drug의 대부분은 구강을 통해서 투여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며 체내 반감기도 매우 짧아서 절절한 투여방법의 개선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실에서는 macromolecular drug의 투여방법을 개선하고자 다공성 고분자막을 이용하였으며 생체 환경의 변화에 대해서 투과속도가 변화하는 자극감응성 고분자 막을 개발하고저 기질로 사용한 고분자 막의 표면에 기능성 모노머를 그라프트 반응을 통해서 도입하고 이의 이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PDF

Role of Oxytocin in Male Reproduction (수컷 생식에 옥시토신의 역할)

  • Lee, Sung-Ho
    • Development and Reproduction
    • /
    • v.13 no.2
    • /
    • pp.79-87
    • /
    • 2009
  • Due to its well-known function in parturition and milk ejection, oxytocin (OT) has been considered as a 'female neurohypophyseal hormone'. Recent studies, however, clearly indicate that OT has some local roles in male reproduction via both central and peripheral routes. In experimental rodents, OT is released within distinct brain regions in response to social stimuli, and the brain OT receptor (OTR) mediated actions were strongly involved in the regulation of a variety of male behaviors such as mating-associated behaviors. In particular, OT and/or OTR knockout mice provide important clues about the molecular regulatory mechanism of the socio-sexual behaviors. Several lines of evidence also show that OT is synthesized within rodents testis, epididymis and prostate, and the presence of OTRs in these organs. In rodent testes, OT might have a role in the modulation of steroidogenesis via stimulation of the conversion of testosterone (T) to dihydrotestosterone (DHT) by 5alpha-reductase. Similar effects of OT on this androgen conversion were observed in epididymis and prostate suggesting the OT's modulatory role, such as contractility induction, in these androgen-dependent organs. In this context, further investigations on the OT's role in male CNS and reproductive organs are likely to provide better understanding on the complex socio-sexual behaviors and a platform for development of therapeutics to treat some psychological and/or andrological problems.

  • PDF

Evaluation of The Physical Suitability of Chairs Using Conjoint Analysis (Conjoint Analysis를 이용한 의자의 물리적 적합도 평가)

  • 신미경;김진호;박수찬;최경주;윤지은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1999.11a
    • /
    • pp.32-37
    • /
    • 1999
  • 본 연구는 컨조인트 분석기법을 이용하여 의자의 물리적 적합도를 분석, 평가하여 사용자가 선호하는 최적의 의자를 제시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컨조인트 분석기법은 Marketing 분야에서 주로 많이 쓰여온 분석 방법으로서 제품의 중요한 속성들을 찾아내어 다양한 종류의 제품들에 대한 고객의 선호도를 분석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컨조인트 분석기법은 제품개발과 평가의 측면에서 매우 큰 가능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마켓팅 이외의 분야에서는 거의 적용되자 않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의자의 물리적 적합성 연구에 이 컨조인트 분석을 이용하여 그 적용의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이러한 적합성 연구에 컨조인트 분석기법이 타당한 분석기법인지 비교하기 위해 분산분석의 기법도 병행하여 실시하였다. 문헌 조사와 전문가 의견 수렴을 통하여 선행연구에서 추출된 의자의 물리적 적합도 요소인 안정성, 여유성, 적합성, 안락성등 4개의 적합도 요소를 채택하여 종속변수로 사용하였다. 또한 의자 자체의 설계 요소에 해당하는 휴먼인터페이스 요소(HIE)는 높이 조절 여부, 팔걸이 유무, Tilting 유무의 3가지 속성을 선택하여 독립변수로 사용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의자는 각 속성을 특징적으로 대표하는 8개의 의자들로서 구성하였고 63명의 피험자를 사용하여 실험하였다. 분석의 결과는 안정성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속성은 높이조절(HC)로서 남자와 여자 모두 높이조절 기능이 없을 때 안정성을 느낀다는 결과가 나왔다. 여유성에 영향을 주는 가장 큰 요인은 남자는 높이조절 기능이 있을 때, 여자는 팔걸이가 있을 때 여유성이 있다고 판단하였으며, 인체적합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남자와 여자 모두 Tilting 기능이, 안락성에 영향을 주는 주요인은 남자는 Tilting 기능이 있을 매, 여자는 높이조절 기능이 있을 때인 것으로 나타났다.감, 강연성, 회복성, 수분특성, 밀도감이었으며, 요인들로 설명되는 누적분산값은 67.18%였다.주관적 평가의 결과와 객관적 평가 결과를 이용해 마직물의 태를 평가하는 산출식을 제시하였다. 태 평가치의 경우 16가지 특성치를 모두 넣는 방법과 stepwise 방법, 또 Kawabatark 사용한 순차적 군 회귀법의 세가지 방법의 회귀식 중 16가지 특성치를 모두 넣는 방법의 결정계수가 가장 높았다.tosterone농도는 107.7$\pm$12.0 pmol/l이었고, 남성의 타액내 농도는 274.2$\pm$22.1 pmol/l이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본 연구에서 정립된 EIA 방법은 RIA를 대신하여 소규모의 실험실에서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려된다.또한 상실기 이후 배아에서 합성되며, 발생시기에 따라 그 영향이 다르고 팽창과 부화에 관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더욱이, 조선의 ${\ulcorner}$구성교육${\lrcorner}$이 조선총독부의 관리하에서 실행되었다는 것을, 당시의 사범학교를 중심으로 한 교육조직을 기술한 문헌에 의해 규명시켰다.nd of letter design which represents -natural objects and was popular at the time of Yukjo Dynasty, and there are some documents of that period left both in Japan and Korea. "Hyojedo" in Korea is supposed to have been influenced by the letter design. Asite- is also considered to have been "Japanese Letter Jobcheso." Therefore, the purpose of

  • PDF

Anti-diabetic peptides derived from milk proteins (우유단백질 유래 혈당 조절 기능성 펩타이드)

  • Kim, Seonyoung;Imm, Jee-Young
    • Food Science and Industry
    • /
    • v.51 no.4
    • /
    • pp.302-312
    • /
    • 2018
  • Bioactive peptides generated from milk proteins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prevention and alleviation of diabetes. Whey proteins possess direct insulinotropic effect by amino acids (especially branch chain amino acids) produced through its gastrointestinal digestion. Additionally, blood glucose level can be lowered by gut hormone which called incretin [glucose dependent insulinotropic polypeptide (GIP) and glucagon-like peptide-1 (GLP-1)]. However, physiological effects of incretin readily disappeared by dipeptidyl peptidase-4 (DPP-4) causing degradation of GLP-1. Several DPP-4 inhibitors are currently used as therapeutic medicines for the treatment of type II diabetes. More than 60 natural peptide (2-14 amino acids) DPP-4 inhibitors were identified in milk proteins. Peptide DPP-4 inhibitors act as substrate inhibitor and delay breakdown of GLP-1 both in vitro and in vivo. This review summarizes nutritional quality of milk proteins, absorption and mode of action of bioactive peptides, and finally up-to-dated knowledge on DPP-4 inhibitory peptides derived from milk proteins.

해조의 화학성분과 기능성

  • Hong, Sang-Pil;Jo, Gil-Seok
    • Bulletin of Food Technology
    • /
    • v.8 no.1
    • /
    • pp.3-14
    • /
    • 1995
  • 해조는 예로부터 특히 우리나라와 일본인들에 의해 임산부의 영양원, 조미소스, 미네랄, 식이섬유의 공급원으로서 애용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이들 해조성분이 가지는 생체유지기능에 관해서 점차 관심이 고조되면서 비식용해조를 포함한 다종의 해조내에 존재하고 있는 각종 기능성 물질에 대한 연구가 다각도로 진행되고 있다. 지금까지 해조에서 발견된 주요기능성 물질은 지방산 관련 화합물, 페놀류, terpenoid, 다당류, 아미노산류등이며 이들은 항균성, 항 바이러스성, 항종양활성, 항혈액응고성, 혈압조절등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따라서 해조류는 고차기능을 가지는 식품으로서의 가치뿐 아니라 향후 의약품의 원료로서도 귀중한 자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본고에서는 이상 해조가 가지는 화학적 특성과 다종의 해조내에 존재하는 각종 생리활성물질에 대하여 지금까지 연구된 내용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