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조작표시

검색결과 66건 처리시간 0.027초

형광램프용 Dimming 형 전자식 안정기 및 원격제어시스템의 회로설계 (Design of an electronic dimming ballast circuit for a fluorescent lamp and its remote control system)

  • 송상빈;곽재영;여인선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17-23
    • /
    • 1999
  • 이 논문에서는 현재 사용되고 있는 Dimming 형 IC의 특성에 최적인 전자식 안정기의 인버터내 회로상수를 결정하여 Dimming 형 전자식 안정기를 제작하였고, 제작된 안정기를 이용하여 형광램프의 전기적 특성과 광출력 특성을 비교하여 회로상수 선정법의 타당성을 증명하였다. 또한 제작된 Dimming 형 전자식 안정기를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수동조작 뿐만 아니라 PC를 통한 원격자동제어가 가능하도록 하였고, 램프의 동작 상태, 주위 온도, 전자식 안정기의 이상유무를 PC의 화면상에 표시되도록 프로그램하여 원격제어시스템을 구축하였다.

  • PDF

교합력 측정기기의 개발과 임상적 신뢰도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and Clinical Reliability of a Measuring Device for Bite Force)

  • 송태영;김기석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26권3호
    • /
    • pp.301-308
    • /
    • 2001
  • 지금까지 여러 가지 형태의 기기를 이용하여 보고된 사람의 교합력은 그 최대치가 매우 다양하다. 본 연구에서는, 교합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새로운 측정기기를 개발하였다. 본 기기를 이용하여 전치부 교합력 측정 시에는 대칭적으로 최대한 물도록 하악을 유도하여 최대 교합력을 측정하였고, 구치부는 편측으로 물도록 하악을 유도하여 최대 교합력을 측정하였다. 교합 시 치아간 수직고경은 15.1mm 였다. 측정기기 내 strain gauge를 사용하여 전기저항의 변화를 힘으로 전환하였다.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수치를 계산하면 액정화면에 수치가 표시된다. 실험실 내 기기교정 검사에서는 50kg과 100kg의 부하를 가하였다. 개발된 교합력 측정기기의 임상적 신뢰도를 시험하기 위해 건강한 치과대학 재학생 10명을 대상으로 최대 교합력을 측정 하였다. 이 새로운 측정기기로 측정된 교합력은 이전연구에서 기록되었던 것보다 더 높은 수치가 나왔다. 또한 제1대구치와 전치부에서 최대 교합력을 측정한 경우 실험자 내와 실험자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신뢰성을 얻을 수 있었다. 본 기기는 안정적이고 조작성이 쉽다고 판명되었다. 그러므로, 본 기기는 더 큰 연구 집단의 선별검사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치주질환이 있는 치아나 임플란트, 악관절 장애를 가진 환자의 교합력 측정과 같이 특정된 경우의 교합력 측정에도 유용할 것이다.

  • PDF

유연한 단일링크 로봇 조작기의 최적귀환제어 (Optimal feedback control of a flexible one-link robotic manipulator)

  • 하영균;김승호;이상조;박영필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11권6호
    • /
    • pp.923-934
    • /
    • 1987
  • 본 연구에서는 유연한 로봇 조각기를 허브가 있는 첨단질량이 부착된 유연한 외팔보로 모델링하고 Hamilton의 원리에 의하여 유도된 운동방정식을 Galerkin의 모우 드 합 방접을 이용하여 유한차원화하여 상태방정식으로 표시하였다. 계를 제어 모우 드부(controlled mode part)와 잔류 모우드부(residual mode part)로 나누어 제어 모 우드부에 대해 최적제어 이론을 도입하여 귀환계수(feedback ccefficient)를 구하였으 며 측정이 불가능한 상태변수(inaccessible state)를 근사적으로 추정하기 위하여 Lu- enberger 관측기가 사용되었다.2차 성능계수(quadratic performance index)내의 입 력에 대한 가중치의 변화에 따른 제어효과 및 계의 여러 모우드중 중요 모우드만 제어 하는 제어기를 사용함에 따른 Spillover 효과가 계의 제어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시뮬 레이션을 통하여 고찰하였으며, 또한 실험을 통하여 이론의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우물수원 보호구역의 범위 결정에 대한 지형정보시스템의 응용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pplication to Wellhead Protection Area Delineation)

  • 김철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1권1호
    • /
    • pp.27-34
    • /
    • 1998
  • 우물수원의 보호구역의 범위를 결정하기 위해서 GIS를 이용한 지하수 모의모형ㅇ과 Arc/Info의 Grid 함수를 이용하였다. GIS를 이용한 지하수 모형은 Arcview GIS를 사용하여 모형의 시간변화를 고려하고 자료의 입력 및 조작, 모의, 결과의 표시 등을 GIS내에 통합한 모형으로 개발하였다. 모형을 적용하기 위해 미국환경의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적용시킨 결과 지하수 모형에서 계산된 수두 분포와 우물의 영향권을 계산한 값이 본 논문에서 계산한 값과 거의 비슷한 값을 나타내어 모형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본 모형은 GIS내에서 모든 처리가 이루어지므로 우물수원의 보호구역의 범위를 설정하는데 효율적인 방법이 될수 있을 것이다.

  • PDF

안과 진단 및 치료기기의 원격조정 표적 추적장치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Target Tracing Equipment by Remote Control for a Medical Theraphy and Diagnosis of an Ophthalmology)

  • 어윤기;박호창;이석록;양연식;정동명
    • 대한의용생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의용생체공학회 1996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9-32
    • /
    • 1996
  • 기존의 안과 진단 및 치료 기기의 안구 고정장치는 진단 및 치료에 있어서 피검사자와 검사자에 사이에 충분한 협조가 되지 않을 경우 진단의 비효율성과 치료의 안정성등의 문제가 발생하고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보완하기 위하여 SLO의 전면 세극등을 소형의 반사경으로 대치하고 표시등을 후면의 먼거리에 수직으로 배열시켜서 피검사자에게 적당한 높이의 고정등을 선택하게하여 수직방향의 안구 위치를 고정시키고 SLO(Scanning Laser Ophthalmoscope)의 좌우 회전기능으로 표적의 수평방향을 근절시킨 후에 검사자의 조작으로 원격조정되는 서보장치를 이용하여 다시 반사경을 전방향으로 미세하게 회전되게하여 정확한 위치로 안구를 이동시키게 하는 원격조정 표적 추적장치를 개발하였다. 이에 따라 피검사자는 거울에 비친 먼거리의 허상을 보게 되어 세극등을 이용한 근접주사방식의 단점인 안구의 축동, 폭주등으로 인한 환자의 눈의 피로를 최소화하면서 피검사자의 안구를 검사자가 원하는 위치로 고정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임상실험에서 안과 진단의 정확성과 관리도를 높이고 치료의 효율성과 안전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원격조정 추적장치로써의 성능을 확인하였다.

  • PDF

홈서비스로봇의 맵빌딩을 위한 효율적인 휴먼-로봇 상호작용방식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icient Human-Robot Interaction Style for a Map Building Process of a Home-service Robot)

  • 이우훈;김연지;김현진;양경혜;박용국;방석원
    • 디자인학연구
    • /
    • 제18권2호
    • /
    • pp.155-164
    • /
    • 2005
  • 홈서비스로봇은 지능적으로 인간과 상호작용하고 스마트하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주변 환경에 대한 충분한 공간정보를 파악하고 있어야 한다. 따라서 인간과 로봇이 공조하여 맵빌딩을 수행할 경우 보다 효율적으로 태스크를 수행하기 위한 상호작용 방식에 대해 연구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우선 청소용 로봇의 맵빌딩 태스크를 분석하여 맵빌딩수순(태스크우선/방우선), 표시창 설치(본체/본체+리모컨), 로봇 유도방식(푸쉬방식/풀방식), 피드백 제시양식 (GUI/GUI+TTS)등 4 가지 디자인 요인을 추출하고 그에 대한 잠정적 해결안을 제시하였다. 디자인 요인과 잠정적 해결안을 실험 변인과 수준으로 정의하고 맵빌딩 태스크의 수행도와 행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였다. 이를 위해 총 8종류의 실험용 프로토타입을 제작하고 16명의 가정주부를 대상으로 사용성 평가를 실시하여 실증적인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실험결과 맵빌딩 수순이라는 측면에서는 예상과 같이 태스크우선 방식보다는 방우선 방식에서 우수한 태스크 수행도를 보였다. 표시창 설치라는 디자인 요인에 대해서는 리모컨에 표시창이 부착되어 있는 경우 높은 작업수행도와 주관적 만족도를 나타냈다. 로봇 유도방식 측면에서는 예상과는 달리 풀방식과 푸쉬방식 사이에서 태스크 수행도에 큰 차이를 발견할수 없었고 오히려 푸쉬방식에 대한 높은 주관적 만족도를 나타냈다. 피드백 제시양식에 대한 분석결과에서도 예상과 달리 TTS에 의한 부가적인 조작지침 제시는 부정적 이라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맵빌딩을 통해 환경정보를 취득하기 이전 청소용 로봇의 자율성은 초보적인 상태이기 때문에 사용자는 단지 이동성이 있는 가전제품과 상호작용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총체적으로 보아 전통적인 가전제품을 조작할 때 사용되는 리모컨기반 상호작용방식을 청소용 로봇의 빌빌딩 과정에서도 선호하는 것으로 보인다.

  • PDF

전자해도 활용을 위한 SVG 변환 연구 (A Study on Implementation of SVG for ENC Applications)

  • 오세웅;박종민;서기열;서상현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10호
    • /
    • pp.1930-1936
    • /
    • 2007
  • 선박 안전항해를 위한 필수 데이터인 전자해도는 종이해도를 전자화한 공인 디지털 해도로서 IEC 8211이라는 특정 엔코딩 방식을 취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조작이 어려운 특징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자해도의 조작과 응용서비스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전자해도 SVG(Scalar Vector Graphic) 변환연구를 수행하였다. SVG는 웹 환경에서 지도 서비스를 위 한 벡터 그래픽으로서 GIS 매핑시스템이나 고도의 기술이 요구되지 않는다. 전자해도를 SVG로 변환함으로서 첫째, 공간 검색이 용이하며, 둘째로 특정 GIS 시스템 없이 고 품질의 벡터 그래픽 및 주제도 작성이 가능하며, 셋째로 해상교통 정 보와 연계된 SVG 정보 서비스는 템플릿으로 활용되어 다양한 해상교통 정보와 결합된 새로운 정보 서비스가 가능해진다. 전자해도의 SVG 변환 기술 개발로 해양지리정보 표현에 많은 활용이 예상된다.

균등 분배 문제와 분수의 크기 비교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문제해결 분석 (An Analysis on the Elementary Students' Problem Solving about Equal Sharing Problem and Fraction Order)

  • 이대현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1권4호
    • /
    • pp.303-326
    • /
    • 2018
  • 초등학교 수학에서 분수는 어려운 학습 내용으로 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분수 개념의 역사-발생적 과정이나 실생활 맥락을 적용한 지도 방법을 대안으로 제시하고 있는데, 균등 분배 문제는 균등 분배 상황에서 학생들이 분수 개념을 자연스럽게 경험할 수 있는 문제로 주목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조사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균등 분배 문제와 균등 분배 상황으로 해결 가능한 분수의 크기 비교 문제에 대하여 초등학교 2, 4, 6학년 학생들의 문제해결 정도와 문제해결 방법을 분석하였다. 검사 결과, 정답률은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증가하였지만, 학년별로는 문제에 제시된 수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즉, 문제에 제시된 수에 의해 분할이 쉬운 문제의 정답률이 높게 나타났으며, 분할에 어려움이 있는 문제의 경우에 정답률이 낮게 나타났다. 그리고 문제해결 방법에서도 학년별로 차이가 나타났으며, 학년별로 사용하는 전략에 일정한 경향이 나타났다. 학생들이 문제를 해결할 때는 문제에 제시된 수에 따라 즉각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전략에 영향을 받았으며, 학생들의 학습 경험도 영향을 끼침을 알 수 있었다.

웹과 스마트폰 기반의 온실 환경 제어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Greenhouse Environment Monitoring & Control System Based on Web and Smart Phone)

  • 김동억;이운용;강동현;강인철;홍순중;우영회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18권1호
    • /
    • pp.101-112
    • /
    • 2016
  • 본 연구는 원예시설의 원격제어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하고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감시 및 제어 기능과 안정성을 높인 ICT기반 온실제어시스템을 개발하고 비닐하우스에 적용하여 그 성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온실 환경 제어 시스템은 온실의 환경 정보를 취득하는 센서와 센서G/W로 구성된 센서부와 온실의 환경을 제어하는 PLC, 이더넷 통신을 통해 환경 정보 데이터와 구동부의 작동상태를 수집하고 외부 서버와 연계되어 환경정보와 제어정보를 전달하는 로컬서버, 천.측창, 커튼 등을 작동시키는 구동부, 재배작물과 작동부 감시를 위한 카메라 등으로 구성하였다. 온실 환경 제어 시스템은 현장제어와 원격 제어 간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원격/로컬 상태 구분을 위한 선택 스위치와 원격제어에 따른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안전장치를 마련하였다. 즉, 각 내부장치를 동작시키는 전자개폐기, 조작 스위치로부터 상태를 수집하며, 모터 등 과부하 발생 시 과부하계전기의 TRIP신호를 감지하여 운영자의 컴퓨터와 스마트폰으로 경보가 보내지도록 구현하였다. 소프트웨어는 웹브라우저를 이용한 HMI(Human Machine Interface) 구현으로 관리자 페이지를 통해 다수의 브라우저에서도 지원 가능하도록 하였다. 또한, 모바일 웹방식을 도입하여 안드로이드, 아이폰 등 운영체제와 상관없이 구동할 수 있도록 구현하였다. 제어화면은 운영자가 한눈에 알아보기 쉽게 온실의 모형과 부대 장치와 작동기기를 이미지화하여 동작 상태를 표시하도록 하였으며, 작동 버튼을 클릭하여 수동조작도 가능하도록 구현하였다. 온실 환경 제어 시스템 성능시험결과 천창, 측창, 수평커튼, 측면커튼은 작동 조건에 따라 모두 성공적으로 작동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소프트웨어의 데이터 수집 및 디스플레이 상태, 이벤트 출력, 영상모니터링 등 계측 및 제어성능 모두 양호하게 나타났다.

그리드에서 작업 흐름을 효과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JCML과 GUI 기반의 편집기 (A JCML and a GUI-based Editor for Specifying Job Control Flow on Grid)

  • 황석찬;최재영;이상산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시스템및이론
    • /
    • 제31권3_4호
    • /
    • pp.152-159
    • /
    • 2004
  • 그리드는 기존의 컴퓨팅 환경을 대체하는 새로울 환경으로 각광받고 있다. 그러나 그리드가 원천적으로 가지고 있는 이질적인 특성으로 인한 사용상의 복잡함 때문에 일반 사용자가 사용하기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그리드 안경에서 사용자에게 편리하고 향상된 작업 환경을 제공하고 효율적인 작업의 수행을 돕는 JCML(Job Control Markup Language)과 편집기에 대해 소개한다. JCML은 기존의 글로버스에서 사용하는 RSL을 향상시킨 작업 제어 언어이다. JCML은 표준 XML 문서 형식으로 설계되어 그리드 서비스와의 데이타 호환성을 제공하며, 작업의 표현과 의존성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GXL(Graph eXchange Language)을 이용한 그래프 방식으로 노드와 에지를 사용하여 두 노드간의 의존성을 표현한다. 그리고 JCML 편집기는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GUI 기반의 비주얼 환경을 제공하며, 끌어다 놓기와 같은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복잡한 작업 지시를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