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조사면적

Search Result 2,891,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Microwave heating system을 이용한 구형활성탄의 재생특성

  • Kim, Beom-Jun;Kim, Yun-Gap;Choe, Seong-U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7.05a
    • /
    • pp.126-127
    • /
    • 2007
  • 본 연구는 Microwave를 이용하여 활성탄의 재생특성을 파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Microwave의 조사횟수를 달리하였을때 활성탄의 특성 변화분석하였다. BET 분석결과 조사 후 분석 값이 조사 후 분석 값보다 떨어짐을 알 수 있다. 이는 MW를 조사함으로써 활성탄의 온도가 상승이 되고 이로 인해 기공의 파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각 물질별로 20번씩 조사 하여서 나타난 결과를 보면 비표면적이 각각 8.2%(A), 5.68%(B), 0.38%(C) 줄었다. 활성탄 C의 경우는 조사 후 감소된 면적이 가장 적었는데 이는 먼저 제조하였던 활성탄의 경우는 활성탄의 성분이 제기능이 못할 정도로 소성을 하였거나 탄소성분의 변질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 PDF

친환경농업 - 친환경 채소류에 발생하는 긴털가루응애류

  • Gang, Taek-Jun
    • 농업기술회보
    • /
    • v.48 no.3
    • /
    • pp.20-21
    • /
    • 2011
  • 친환경 농산물의 시장규모는 약 8천억 규모(2008)에 달하고 점차 확대되고 있다. 2009년 기준 시설채소류의 재배면적은 74,140ha이며, 그중 친환경 재배면적은 약 10%를 차지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최근 친환경 유기농시설 재배농가에서 여러 건의 긴털가루응애류(Tyrophagus spp.)에 의한 피해가 조사되었다. 가루응애과에 속하는 긴털가루응애류의 피해는 볏짚, 갈대 등 유기물을 사용한 농가에서 주로 발생하고 있다. 현재까지 조사된 시설채소는 시금치와 오이 2종이다.

  • PDF

The Experimental Study for Variance of Depositation Due to Sediment Volume Concentration of Debris Flow (토석류의 토사체적농도에 따른 퇴적 특성 변화에 관한 실험 연구)

  • Choi, Youngdo;Kim, Sungduk;Lee, Hoji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isaster and Security
    • /
    • v.15 no.3
    • /
    • pp.15-21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edimentation area and runout distance in the downstream when debris flow occurred on a mountain slope through an experimental performance. Super typhoons and torrential rains caused by climate change cause large-scale debris flow disasters in the downstream areas of mountainous areas, mainly where sediments are deposited and flowed downstream.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diment deposited downstream, the disposition area and runout distance were investigated through experiments in the case of a straight channel and channel with berm, respectively. As experimental conditions, changes in sediment volume concentration and channel slope, and channel with or without berm, reduction rates in sedimentation area and runout distance were investigated. In the straight channel, the steeper the channel slope and the lower the sedimentation concentration, the sedimentation area and runout distnace were increased. In a channel with berm, the runout distance and sediment area increased as the slope became steeper and the sediment area decreased.

A Comparative Study on Space Organization of Kindergarten in Korea and Japan (한국과 일본 유치원의 공간구성 실태 비교)

  • Park, Sung-Chul;Song, Byung-Joon;Cho, Jin-Il
    • The Journal of Sustainable Design and Educational Environment Research
    • /
    • v.15 no.1
    • /
    • pp.19-29
    • /
    • 2016
  • This study aims to find a direction for desirable space organization in future Korean kindergartens by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of space organization in Japanese kindergartens. This study includes comparisons and analyses of Korean and Japanese curricula, facility standards on the national level and standards of national subsidy, current numbers of kindergarteners and preschoolers, and changes in kindergarten facilities over the last 5 years. Six kindergartens each in Korea and Japan, which were constructed after 2011 or are recommended as being good in space organization and kindergarten planning, are selected. The contents of space organization analysis are 'entry and placement, outdoor space', 'space program,' and 'plan design and organization of unit space'. In conclusion, in terms of space organization, Korean and Japanese kindergartens are very similar to each other. However, Japanese kindergartens have more outdoor space about $9.75m^2$ and lot area about $11.89m^2$ than Korean kindergartens. The extra space was used to educate students in various contents regarding social network and physical activity. Furthermore, in Japan, special spaces such as "atelier classes" and "PTA" were used for various types of educ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will be developed, such as specific models and guidelines for the improvement of facilities Korea kindergarten.

A Survey on Farm Management and Occurrence Area of Herbicide Resistant Paddy Weeds in Chungbuk Province (충북지역 제초제 저항성 논잡초의 농가 관리실태 및 발생면적 조사)

  • Kim, Eun-Jeong;Park, Jae-Seong;Lee, Chae-Young;Lim, Sang-Cheol;Song, Beom-Heon
    • Weed & Turfgrass Science
    • /
    • v.2 no.1
    • /
    • pp.1-7
    • /
    • 2013
  • Studies were carried out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establishing the weed control in Chungbuk, Korea. The present surveys targeting 260 farmers in Chungbuk province were conducted for the cultivation system, weeds occurrence and usage of herbicides. To estimate the occurring area of herbicide resistant weeds, soil samples from 400 paddy fields were collected twice on August, 2011 and April, 2012. In the results of survey, the 99.6% of farmers used the rice planting machine and the 78% of the farmers disseminated herbicides twice to control weeds before and after planting rice. The most commonly used herbicide were as follows; soil-applied herbicide : butachlor 46.6%, mid-term herbicide : mefenacet + pyrazosulfuron-ethyl 10.7%, foliar herbicides : bentazone 62%. The dominant paddy field weeds included Echinochloa crusgalli (16.2%), Scirpus juncoides (12.2%), Monochoria vaginalis (11.9%) and Sagittaria trifolia (9.5%). Occurrence area of sulfonylurea herbicide resistant weeds was 13,659 ha in 26.8% of the paddy area. Monochoria vaginalis showed the highest with 4,605 ha (36.4%) followed Scirpus juncoides (30.7%), and Lindernia dubia (10.6%) at 2011. Monochoria vaginalis and Scirpus juncoides occurred were evenly distributed and the most problematic weed in Chungbuk, Korea.

Design of Daylighting Aperture Using Daylight Factor Method and its Evaluation by Distribution of Sky Component (Daylight Factor Method를 이용한 채광창의 설계)

  • 지철근;권영혜
    • The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 /
    • v.3 no.1
    • /
    • pp.58-63
    • /
    • 1989
  • 이등분한 실의 주광율(Daylight Factor)의 비를 규제도의 지수로서 Lumen Method와 같이 정하고, 이를 만족하는 실의 깊이를 검토한 후, 설계 평균 주광율을 만족하는 창의 면적을 구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창의 면적 자체가 다른 벽면의 면적 변화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고려하지 않은 종래의 방법을 개선하였다. 이후 주광율 요소 중 가장 지배적인 양인 운천공으로부터 입사하는 성분(SCo: Sky Component from overcast Sky)의 분포를 창의 위치와 형태를 변화시켜 조사, 평가하였다.

  • PDF

한라산 아고산대의 초지 훼손특성(제1보)

  • 김태호
    • Proceedings of the KGS Conference
    • /
    • 2002.11a
    • /
    • pp.107-109
    • /
    • 2002
  • 한라산 아고산대에는 등산객의 급속한 증가에 따른 인위적인 요인과 더불어 아고산대 특유의 열악한 기후조건과 식생의 느린 회복력 등의 자연적인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등산로를 중심으로 훼손지가 넓게 분포하고 있다. 제주도(2000)의 최근 조사자료에 의하면, 해발고도 1,400m 이상 아고산대의 훼손면적은 225,870m2로서 이 가운데 가장 많은 등산객이 이용하는 어리목과 영실 등산로 주변의 훼손면적이 50,000m2와 32,500m2로서 각각 전체면적의 22.1%와 14.3%의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중략)

  • PDF

고냉지역에서 재배조건별 사료작물의 작부체계와 급여 가능일수로 작부면적 추정

  • 정종원;임영철;한성윤;최아랑;성경일;김병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Science Conference
    • /
    • 1999.06a
    • /
    • pp.88-89
    • /
    • 1999
  • Chung 등(1998)은 일반적인 고냉지역의 사료작물작부체계로 옥수수(수원 19호, P-3282)와 호밀(Kodiak, 호밀 18호)를 조합, 생산된 건물수량을 이용하여 착유소에서의 급여가능일수와 사료작물생산에 필요한 작부면적에 대하여 보고하였다. 그러나 고냉지역의 경우 기후, 토양 및 경영조건 등 재배조건이 다양하므로 이에 따른 보다 다양한 유형의 작부체계가 요구된다.(중략)

  • PDF

총체보리의 사료화 이용기술

  • Seo, Seong
    • Feed Journal
    • /
    • v.4 no.10 s.38
    • /
    • pp.84-89
    • /
    • 2006
  • 반추동물은 매일 일정량 이상의 조사료를 반드시 섭취하여야 하나 우리나라에서는 조사료 생산기반이 취약하여 양질 조사료의 자급률이 높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많은 농가에서는 볏짚과 배합사료 위주로 사양하고 있으며 부족한 조사료는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본 글에서는 최근 재배면적인 크게 증가하고 있는 사료용 총체보리의 사료적 가치, 곤포사일리지 조제와 품질 및 한우와 젖소 급여효과 등을 연구 분석하여 친환경적 양질조사료 자급달성을 도모하고자 한다.

  • PDF

Field Survey of River Environment at River Basin of Cheongmi-Cheon (청미천 유역의 하천환경 조사 - 2008년 식생 및 어류모니터링 결과를 바탕으로 -)

  • Kim, Jin-Hong;Jeong, Sun-Hy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984-1988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하천 식생 및 어류 모니터링 결과를 바탕으로 청미천 유역의 본류에 대한 하천 수변환경을 평가하였다. 하천 식생은 홍수 전과 후로 구분하여 2회 조사하였다. 식생 조사는 Braun-Blanque의 조사 방법에 따라 표본구 내의 출현식물에 대해 조사하였고 표본구 면적은 자생지 주변의 특징과 형성된 군락의 최소면적에 근거하여 $2{\ast}2m^2$ 결정하였다. 1, 2차 조사 결과 공히 국화과 식물이 많이 출현하였고 다음으로 벼과 식물이 많이 출현하였다. 청미천 조사구간에서 볼 수 있는 식물은 21개과 38종이 출현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중 국화과 7종과 벼과 5종, 콩과 4종으로 출현종이 많이 조사되었다. 화봉천 합류점에서는 총 123마리를 포획하여 동종 분류한 결과 1개과 3개아과 7개종이 출현하였다. 1지점의 경우 출현어종은 모두 잉어과로 피라미가 48%로 우점종을 차지하고 있었다. 죽산천 합류지점에서는 총 83마리를 포획하였으며, 출현어종은 1개과 2개아과 7개종의 어류이며 그중 붕어와 피라미가 각각 31%와 23%로 우점하고 있었다. 청미천 조사구간의 출현어종의 개체수를 보면 피라미 68.5%, 붕어 44.3%, 떡붕어 18.1%, 모래무지 14.3%, 왜매치 14.1% 순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기타 출현어종은 대부분 4% 내외로 피라미가 우점종으로 조사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