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omparative Study on Space Organization of Kindergarten in Korea and Japan

한국과 일본 유치원의 공간구성 실태 비교

  • 박성철 (한국교육개발원 교육시설.환경연구센터) ;
  • 송병준 (한국교육개발원 교육시설.환경연구센터) ;
  • 조진일 (한국교육개발원 교육시설.환경연구센터)
  • Received : 2016.02.22
  • Accepted : 2016.04.28
  • Published : 2016.04.30

Abstract

This study aims to find a direction for desirable space organization in future Korean kindergartens by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of space organization in Japanese kindergartens. This study includes comparisons and analyses of Korean and Japanese curricula, facility standards on the national level and standards of national subsidy, current numbers of kindergarteners and preschoolers, and changes in kindergarten facilities over the last 5 years. Six kindergartens each in Korea and Japan, which were constructed after 2011 or are recommended as being good in space organization and kindergarten planning, are selected. The contents of space organization analysis are 'entry and placement, outdoor space', 'space program,' and 'plan design and organization of unit space'. In conclusion, in terms of space organization, Korean and Japanese kindergartens are very similar to each other. However, Japanese kindergartens have more outdoor space about $9.75m^2$ and lot area about $11.89m^2$ than Korean kindergartens. The extra space was used to educate students in various contents regarding social network and physical activity. Furthermore, in Japan, special spaces such as "atelier classes" and "PTA" were used for various types of educ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will be developed, such as specific models and guidelines for the improvement of facilities Korea kindergarten.

본 연구는 한국과 일본 유치원의 공간조사 및 비교분석을 통해 향후 한국 공립유치원의 바람직한 공간구성 방향의 기초를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유치원 공간구성의 최근 경향을 조사하기 위해 최근 5년간 신축되거나 리모델링된 유치원을 추천 받아 시설도면, 실태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진입 및 배치, 옥외공간", "스페이스프로그램", "평면구조 및 단위공간계획"으로 구분하여 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결론적으로 공간의 구성형태, 배치형태, 실 면적, 면적구성 비율 등 공간 조직의 관점에서 한국과 일본 유치원은 유사성이 매우 많았으나, 대지면적과 옥외면적에 있어서 일본 유치원이 한국 유치원보다 대지면적은 $11.89m^2$, 체육장을 포함한 옥외면적은 $9.75m^2$(유아1인 기준) 만큼 더 많은 공간을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일본의 유치원은 "아뜰리에" 및 "PTA"와 같은 특성화된 공간 확보를 통해 다양한 교육활동 및 교육지원을 실시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상기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국 유치원의 시설개선을 위한 구체적인 모형 및 지침 등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고등학교 이하 각급학교 설립 운영 규정, 대통령령 제25963호, 2015.1.6.
  2. 교육부, 2015년도 단설유치원 교부 기준, 2015.
  3. 교육부,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해설서, 2013.
  4. 교육부, 유치원 교육과정(고시 제2015-61호).
  5. 박은희 이경선, 동북아문화연구, 2010.
  6. 박은희, 한국 유치원교육과정과 일본 유치원교육요령 비교, 일본문화연구, 2012.
  7. 안정주, 한일 유치원 교육과정 비교분석, 이화여자대학교, 유아교육학과 석사학위논문, 2006.
  8. 이호진, 학교시설 계획 설계 지침 및 시설기준 개발, 한국교육환경연구원, 2013.
  9. 이호진, 2013년도 유․초․중등 교육통계조사 계획 및 지침, 한국교육개발원, 2013.
  10. 일본 공립학교 건물의 교사 등 기준표.
  11. 일본 유치원 교육요령, 2008.3.
  12. 일본 유치원 설치기준(문부과학성령 제23호).
  13. 일본 학교교육법 제22조, 제23조, 2007.6.
  14. 일본 총무성 통계국, 공립학교시설 실태조사 (http://www.e-stat.go.jp/SG1/estat/NewList.do?tid=000001016713, 검색일 2015.09.25.).
  15. 일본 총무성 통계국, 학교 기본조사(2000-2014) (http://www.e-stat.go.jp/SG1/estat/NewList.do?tid=000001011528, 검색일 2015.09.25.).
  16. 임지연, 일본 유치원교육요령에 나타난 환경구성의 변천, 비교교육연구, 2013.
  17. 한국교육개발원, 2014년 기준 교육통계DB 참조 (2000-2014).